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지역 초등학교 합창부 실태를 조사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합창교육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초등학교 합창부 지도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의 영역은 개인적 배경, 합창부 지도, 합창부 운영 및 구성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이에 따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합창부 지도교사는 여교사가 대부분이며 5년미만의 저경력교사가 많았다. 또한, 합창을 지도하는 교사들의 지도이유는 학교업무의 일환이 가장 높았다. 둘째, 교사들은 합창 지도시 ‘발성’지도가 가장 어렵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다. 합창의 기본인 발성지도에 어려움이 많다는 것은 교사들이 합창에 관해 전문성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합창지도를 할 수 있는 자질을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합창부 구성에서 합창단의 규모는 ‘41명-60명’이 가장 많았고, 학년 구성은 ‘4학년-6학년’이 가장 많았다. 넷째, 합창 대회에 참가하는 이유는 ‘학교를 빛내기 위해’라고 답한 교사들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지도교사의 자아실현이나 학생들을 위해서가 아닌 학교사정에 의해 합창 대회에 참여하는 것으로 보아 지도교사들의 업무와 대회참가에 대한 부담감이 굉장히 높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외부 강사 활용 여부에 대해 조사한 결과 ‘활용하지 않는다.’의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 규모와 외부 강사 활용 여부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합창부 운영의 문제점은 연습시간 확보의 어려움, 학생·학부모·학교의 반대나 무관심, 예산 부족, 과중한 업무 등이 있었다. 이 중 ‘과중한 업무’가 74%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일곱째, 합창부 운영의 개선방안으로는 지도교사의 업무경감, 외부강사 지원, 예산 지원, 합창활동 홍보, 지도교사의 자율성 강화 등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합창교육 개선을 통한 학생의 음악적 경험 향상을 위해 경기도 초등학교 합창부 실태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하여 ...
국문초록
경기도 초등학교 합창부 실태조사
송초아 초등음악교육전공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지역 초등학교 합창부 실태를 조사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합창교육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초등학교 합창부 지도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의 영역은 개인적 배경, 합창부 지도, 합창부 운영 및 구성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이에 따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합창부 지도교사는 여교사가 대부분이며 5년미만의 저경력교사가 많았다. 또한, 합창을 지도하는 교사들의 지도이유는 학교업무의 일환이 가장 높았다. 둘째, 교사들은 합창 지도시 ‘발성’지도가 가장 어렵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다. 합창의 기본인 발성지도에 어려움이 많다는 것은 교사들이 합창에 관해 전문성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합창지도를 할 수 있는 자질을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합창부 구성에서 합창단의 규모는 ‘41명-60명’이 가장 많았고, 학년 구성은 ‘4학년-6학년’이 가장 많았다. 넷째, 합창 대회에 참가하는 이유는 ‘학교를 빛내기 위해’라고 답한 교사들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지도교사의 자아실현이나 학생들을 위해서가 아닌 학교사정에 의해 합창 대회에 참여하는 것으로 보아 지도교사들의 업무와 대회참가에 대한 부담감이 굉장히 높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외부 강사 활용 여부에 대해 조사한 결과 ‘활용하지 않는다.’의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 규모와 외부 강사 활용 여부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합창부 운영의 문제점은 연습시간 확보의 어려움, 학생·학부모·학교의 반대나 무관심, 예산 부족, 과중한 업무 등이 있었다. 이 중 ‘과중한 업무’가 74%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일곱째, 합창부 운영의 개선방안으로는 지도교사의 업무경감, 외부강사 지원, 예산 지원, 합창활동 홍보, 지도교사의 자율성 강화 등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합창교육 개선을 통한 학생의 음악적 경험 향상을 위해 경기도 초등학교 합창부 실태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하여 음악교육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아이들에게 합창을 발표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되어 소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어야 하고 교사와 학부모들의 합창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핵심어> 초등학교, 경기도, 합창부, 음악교육, 실태조사
국문초록
경기도 초등학교 합창부 실태조사
송초아 초등음악교육전공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지역 초등학교 합창부 실태를 조사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합창교육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초등학교 합창부 지도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의 영역은 개인적 배경, 합창부 지도, 합창부 운영 및 구성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SPSS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이에 따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합창부 지도교사는 여교사가 대부분이며 5년미만의 저경력교사가 많았다. 또한, 합창을 지도하는 교사들의 지도이유는 학교업무의 일환이 가장 높았다. 둘째, 교사들은 합창 지도시 ‘발성’지도가 가장 어렵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다. 합창의 기본인 발성지도에 어려움이 많다는 것은 교사들이 합창에 관해 전문성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합창지도를 할 수 있는 자질을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합창부 구성에서 합창단의 규모는 ‘41명-60명’이 가장 많았고, 학년 구성은 ‘4학년-6학년’이 가장 많았다. 넷째, 합창 대회에 참가하는 이유는 ‘학교를 빛내기 위해’라고 답한 교사들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지도교사의 자아실현이나 학생들을 위해서가 아닌 학교사정에 의해 합창 대회에 참여하는 것으로 보아 지도교사들의 업무와 대회참가에 대한 부담감이 굉장히 높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외부 강사 활용 여부에 대해 조사한 결과 ‘활용하지 않는다.’의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 규모와 외부 강사 활용 여부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합창부 운영의 문제점은 연습시간 확보의 어려움, 학생·학부모·학교의 반대나 무관심, 예산 부족, 과중한 업무 등이 있었다. 이 중 ‘과중한 업무’가 74%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일곱째, 합창부 운영의 개선방안으로는 지도교사의 업무경감, 외부강사 지원, 예산 지원, 합창활동 홍보, 지도교사의 자율성 강화 등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합창교육 개선을 통한 학생의 음악적 경험 향상을 위해 경기도 초등학교 합창부 실태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하여 음악교육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아이들에게 합창을 발표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되어 소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어야 하고 교사와 학부모들의 합창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