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현직 음악교사로서 방과 후 합창을 지도하고 있는 지휘자를 대상으로 방과 후 합창수업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실태조사와 함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합창단을 지도하고 있는 지휘자들의 운영지도 방법을 조사하여 그 내용을 토대로 현직 음악교사의 방과 후 학교 합창수업에 필요한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지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 10개 중학교에 재직 중인 12명의 음악교사와 학령기 지휘자 3명 총...
본 연구의 목적은 현직 음악교사로서 방과 후 합창을 지도하고 있는 지휘자를 대상으로 방과 후 합창수업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실태조사와 함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합창단을 지도하고 있는 지휘자들의 운영지도 방법을 조사하여 그 내용을 토대로 현직 음악교사의 방과 후 학교 합창수업에 필요한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지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 10개 중학교에 재직 중인 12명의 음악교사와 학령기 지휘자 3명 총 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방과 후 학교 합창수업의 운영실태조사와 효과적인 합창지도방안의 내용구성을 위해 설문지와 인터뷰면접을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총 15문항으로 7개의 선다형 문항과 1개의 서술형 문항, 7개 혼합형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터뷰 지는 합창지도교사, 학령기 지휘자로 구분되어 총 27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인터뷰 면접은 음악교사로서 방과 후 학교 합창수업을 지도하고 있는 교사 3명과 학령기 합창단 지휘자 3명을 2016년 11월 1일, 11월 2일, 11월 3일, 11월 7일, 11월 8일, 11월 9일 총 6번에 걸쳐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방과 후 학교 합창수업은 외부강사에 의해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외부강사에 많이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교음악교사의 합창전문지식의 부족과 과중한 학교업무와의 병행에서 생기는 어려움 때문에 본교음악교사가 방과 후 학교를 통해 합창 반을 개설하는 사례가 적어지고 있었고, 외부강사에 비해 적은 교수비용을 받고 있는 것도 본교음악교사의 합창수업 개설의지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합창 지도 시 교사의 전공과 상관없이 발성지도와 같은 전문지식 부족에서 오는 어려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6번의 인터뷰면접을 통해 얻은 내용을 종합하면, 음악교사는 합창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실력향상에만 몰두하지 말고, 학생을 이해하려는 마음을 가지고 수업에 임해야 하며, 합창수업이 부담스럽고 어려운 시간이 아니라 재미있고 흥미 있는 시간이라는 것을 인식시켜 편안한 시간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를 위해 지도교사는 학생들에게 맞는 제재 곡 선택과 연습 시 발생되는 잘못된 부분들을 교정해주고 시연할 수 있어야 하며, 학생들에게 심리적인 압박감을 주지 않고 학생들에게 자신감을 주며, 기다려주는 배려를 통해 학생들이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방과 후 학교 합창교육의 발전을 위해 방과 후 학교 합창교육은 본교교사를 통해 이루어져야 하며 본교음악교사가 합창수업을 위한별도 교육을 통해 전문성을 가져야 하고 본교 음악교사는 학생들이 합창수업에 흥미를 갖고 재미있게 수업에 임하도록 노력하고 학생들이 합창을 통해 자신감, 협동심, 책임감을 갖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연구 결과가 방과 후 학교 합창수업 활성화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직 음악교사로서 방과 후 합창을 지도하고 있는 지휘자를 대상으로 방과 후 합창수업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실태조사와 함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합창단을 지도하고 있는 지휘자들의 운영지도 방법을 조사하여 그 내용을 토대로 현직 음악교사의 방과 후 학교 합창수업에 필요한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지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 10개 중학교에 재직 중인 12명의 음악교사와 학령기 지휘자 3명 총 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방과 후 학교 합창수업의 운영실태조사와 효과적인 합창지도방안의 내용구성을 위해 설문지와 인터뷰면접을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총 15문항으로 7개의 선다형 문항과 1개의 서술형 문항, 7개 혼합형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터뷰 지는 합창지도교사, 학령기 지휘자로 구분되어 총 27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인터뷰 면접은 음악교사로서 방과 후 학교 합창수업을 지도하고 있는 교사 3명과 학령기 합창단 지휘자 3명을 2016년 11월 1일, 11월 2일, 11월 3일, 11월 7일, 11월 8일, 11월 9일 총 6번에 걸쳐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방과 후 학교 합창수업은 외부강사에 의해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외부강사에 많이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교음악교사의 합창전문지식의 부족과 과중한 학교업무와의 병행에서 생기는 어려움 때문에 본교음악교사가 방과 후 학교를 통해 합창 반을 개설하는 사례가 적어지고 있었고, 외부강사에 비해 적은 교수비용을 받고 있는 것도 본교음악교사의 합창수업 개설의지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합창 지도 시 교사의 전공과 상관없이 발성지도와 같은 전문지식 부족에서 오는 어려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6번의 인터뷰면접을 통해 얻은 내용을 종합하면, 음악교사는 합창수업에 참여하는 학생의 실력향상에만 몰두하지 말고, 학생을 이해하려는 마음을 가지고 수업에 임해야 하며, 합창수업이 부담스럽고 어려운 시간이 아니라 재미있고 흥미 있는 시간이라는 것을 인식시켜 편안한 시간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를 위해 지도교사는 학생들에게 맞는 제재 곡 선택과 연습 시 발생되는 잘못된 부분들을 교정해주고 시연할 수 있어야 하며, 학생들에게 심리적인 압박감을 주지 않고 학생들에게 자신감을 주며, 기다려주는 배려를 통해 학생들이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방과 후 학교 합창교육의 발전을 위해 방과 후 학교 합창교육은 본교교사를 통해 이루어져야 하며 본교음악교사가 합창수업을 위한별도 교육을 통해 전문성을 가져야 하고 본교 음악교사는 학생들이 합창수업에 흥미를 갖고 재미있게 수업에 임하도록 노력하고 학생들이 합창을 통해 자신감, 협동심, 책임감을 갖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연구 결과가 방과 후 학교 합창수업 활성화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after - school chorus instruction as a School-affiliated music teacher and to provide a practical and effective instructional plan for the School-affiliated music teacher after-school choral class. In this study, 15 teachers w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after - school chorus instruction as a School-affiliated music teacher and to provide a practical and effective instructional plan for the School-affiliated music teacher after-school choral class. In this study, 15 teachers which consist of 12 School-affiliated music teachers and 3 school - age conductors among 10 middl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Paper survey and interview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operational status of after-school choral classes and to construct effective choral guidance programs. The paper survey consists of 15 questions, 7 multiple choice questions, 1 narrative question, and 7 mixed questions. The interview is composed of a total of 27 questions divided into chorus guidance teachers and school - age leaders. The Interview was held on November 1, November 2, November 3, November 7, November 7, and November 8, and November 9, 2016, total 6 times with 3 School-affiliated teachers and 3 school-age conductors. As a result, after - school choral classes were often dependent on external instructors. Because of lack of expertise of chorus of School-affiliated music teachers and heavy school work and less teaching fee, there were few cases where School-affiliated music teachers opened after - school chorus classes. Through the whole interview, We can make this conclusion that School-affiliated music teachers should not only focus o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chorus class, but also have to work on the class with the intention of understanding the students. In order to do this, the instructor must be able to correct and demonstrate the mistakes that occur in the selection and practice of the correct song for the students, so that students feel confident and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fter-school choral education should be taught by School-affiliated music teachers who receive special education choral classes so that students can have confidence, cooperation and sense of responsibility through chorus. I hope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activation of after school chorus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after - school chorus instruction as a School-affiliated music teacher and to provide a practical and effective instructional plan for the School-affiliated music teacher after-school choral class. In this study, 15 teachers which consist of 12 School-affiliated music teachers and 3 school - age conductors among 10 middl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Paper survey and interview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operational status of after-school choral classes and to construct effective choral guidance programs. The paper survey consists of 15 questions, 7 multiple choice questions, 1 narrative question, and 7 mixed questions. The interview is composed of a total of 27 questions divided into chorus guidance teachers and school - age leaders. The Interview was held on November 1, November 2, November 3, November 7, November 7, and November 8, and November 9, 2016, total 6 times with 3 School-affiliated teachers and 3 school-age conductors. As a result, after - school choral classes were often dependent on external instructors. Because of lack of expertise of chorus of School-affiliated music teachers and heavy school work and less teaching fee, there were few cases where School-affiliated music teachers opened after - school chorus classes. Through the whole interview, We can make this conclusion that School-affiliated music teachers should not only focus o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chorus class, but also have to work on the class with the intention of understanding the students. In order to do this, the instructor must be able to correct and demonstrate the mistakes that occur in the selection and practice of the correct song for the students, so that students feel confident and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fter-school choral education should be taught by School-affiliated music teachers who receive special education choral classes so that students can have confidence, cooperation and sense of responsibility through chorus. I hope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activation of after school chorus class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