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은둔형 외톨이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을 위한 실질적인 개입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은둔형 외톨이와 부모를 위해 직접 가정을 방문하는 은둔형 외톨이 가정방문 상담 프로그램(HCH: Home-visiting Counseling program for Hikikomori) 구안하여 은둔형 외톨이의 은둔 성향, 무망감, 분노표현과 부모의 부모 양육 태도,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대한 HCH의 효과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G 광역시에 소재한 다양한 기관(구청 사회복지사례관리팀, 동 행정복지센터, 시 및 구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시 및 구 정신건강복지센터, G교육청 대안교육지원센터, 사회복지기관, 신경정신과 병원, 학교 상담교사, 상담대학원, 민간상담 기관, 교회)에서 모집되었으며, 모집 기간은 2017년 6월부터 2018년 7월까지 실시되었다. 모집된 은둔형 외톨이 성향을 보이는 25세 이하 청소년과 부모를 면담하고 본 연구의 목적과 취지, 절차를 설명하였다. 청소년과 부모가 가정방문 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할 것을 동의하면 프로그램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고,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하는 것은 거부하되 연구에 관심을 보이면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은둔형 외톨이 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7명과 은둔형 외톨이 부모 중 1인(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7명)이 최종 선정되었다. 주 1회, 1회당 60분씩 120분 동안 은둔형 외톨이를 위한 상담이 진행되고 이후 부모를 위한 상담 8회기 실시되었고, 총 8회기 중 2회기(4, 5회기)는 은둔형 외톨이와 부모가 함께하는 프로그램이 적용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프로그램 실시 전과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2차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청소년에게 사용된 측정 도구는 히키코모리 체크리스트(HBCL, 이윤지 외, 2015)), 한국어판 무망감 척도(신민섭 외, 1990),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전겸구 외, 1997)이다. 부모에게 사용된 측정 도구는 부모 양육태도 척도(오성심, 이종승, 1982), 부모-자녀 의사소통척도(민하영, 1991) 이었다. HCH가 은둔형 외톨이의 은둔성향, 무망감,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력과 은둔형 외톨이 부모의 부모 양육 태도,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다변량분석(Repeated Measure MANOVA)과 각 척도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서 반복측정 분석(Repeated Measures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은둔형 외톨이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을 위한 실질적인 개입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은둔형 외톨이와 부모를 위해 직접 가정을 방문하는 은둔형 외톨이 가정방문 상담 프로그램(HCH: Home-visiting Counseling program for Hikikomori) 구안하여 은둔형 외톨이의 은둔 성향, 무망감, 분노표현과 부모의 부모 양육 태도,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대한 HCH의 효과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G 광역시에 소재한 다양한 기관(구청 사회복지사례관리팀, 동 행정복지센터, 시 및 구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시 및 구 정신건강복지센터, G교육청 대안교육지원센터, 사회복지기관, 신경정신과 병원, 학교 상담교사, 상담대학원, 민간상담 기관, 교회)에서 모집되었으며, 모집 기간은 2017년 6월부터 2018년 7월까지 실시되었다. 모집된 은둔형 외톨이 성향을 보이는 25세 이하 청소년과 부모를 면담하고 본 연구의 목적과 취지, 절차를 설명하였다. 청소년과 부모가 가정방문 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할 것을 동의하면 프로그램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고,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하는 것은 거부하되 연구에 관심을 보이면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은둔형 외톨이 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7명과 은둔형 외톨이 부모 중 1인(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7명)이 최종 선정되었다. 주 1회, 1회당 60분씩 120분 동안 은둔형 외톨이를 위한 상담이 진행되고 이후 부모를 위한 상담 8회기 실시되었고, 총 8회기 중 2회기(4, 5회기)는 은둔형 외톨이와 부모가 함께하는 프로그램이 적용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프로그램 실시 전과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2차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청소년에게 사용된 측정 도구는 히키코모리 체크리스트(HBCL, 이윤지 외, 2015)), 한국어판 무망감 척도(신민섭 외, 1990),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전겸구 외, 1997)이다. 부모에게 사용된 측정 도구는 부모 양육태도 척도(오성심, 이종승, 1982), 부모-자녀 의사소통척도(민하영, 1991) 이었다. HCH가 은둔형 외톨이의 은둔성향, 무망감,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력과 은둔형 외톨이 부모의 부모 양육 태도,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다변량분석(Repeated Measure MANOVA)과 각 척도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서 반복측정 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HCH가 은둔형 외톨이의 은둔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의 은둔형 외톨이들은 은둔성향에서 통제집단과 달리 사전점수보다 사후점수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은둔형 외톨이를 위한 가정방문 상담 프로그램은 은둔형 외톨이의 은둔성향을 낮추는 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HCH가 은둔형 외톨이의 무망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 은둔형 외톨이들은 무망감에서 사전점수보다 사후 점수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은둔형 외톨이를 위한 가정방문 상담 프로그램은 은둔형 외톨이의 무망감을 낮추는 데 효과가 있었다. 셋째, HCH가 은둔형 외톨이의 분노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의 은둔형 외톨이들은 분노표현 하위요인에서 부정적 표현인 분노표출과 분노억제에서 사전점수보다 사후 점수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긍정적 표현인 분노조절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넷째, HCH가 은둔형 외톨이 부모의 부모 양육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 부모의 부모 양육 태도 하위요인 중 자율에서는 사전점수보다 사후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애정, 성취, 합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은둔형 외톨이를 위한 가정방문 상담 프로그램은 은둔형 외톨이 부모의 부모 양육 태도를 변화시키는데 부분적으로 효과가 있었다. 다섯째, HCH가 은둔형 외톨이 부모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 부모의 의사소통 하위요인인 개방형, 폐쇄형에서 사전점수와 사후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은둔형 외톨이를 위한 가정방문 상담 프로그램은 은둔형 외톨이 부모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변화시키는 데 효과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HCH는 은둔형 외톨이의 은둔성향, 무망감, 분노표현에 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 되었으나, 부모의 부모 양육 태도에서는 부분적인 효과가 있었고, 부모-자녀 의사소통에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일단 8회기라는 단기적 개입 효과의 지속성 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관련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으며, 부모 양육 태도와 의사소통 외에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다루고 부모 효능감을 향상하는 상담 프로그램을 보충할 필요가 있다고 보인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은둔형 외톨이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을 위한 실질적인 개입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은둔형 외톨이와 부모를 위해 직접 가정을 방문하는 은둔형 외톨이 가정방문 상담 프로그램(HCH: Home-visiting Counseling program for Hikikomori) 구안하여 은둔형 외톨이의 은둔 성향, 무망감, 분노표현과 부모의 부모 양육 태도,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대한 HCH의 효과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G 광역시에 소재한 다양한 기관(구청 사회복지사례관리팀, 동 행정복지센터, 시 및 구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시 및 구 정신건강복지센터, G교육청 대안교육지원센터, 사회복지기관, 신경정신과 병원, 학교 상담교사, 상담대학원, 민간상담 기관, 교회)에서 모집되었으며, 모집 기간은 2017년 6월부터 2018년 7월까지 실시되었다. 모집된 은둔형 외톨이 성향을 보이는 25세 이하 청소년과 부모를 면담하고 본 연구의 목적과 취지, 절차를 설명하였다. 청소년과 부모가 가정방문 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할 것을 동의하면 프로그램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고,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하는 것은 거부하되 연구에 관심을 보이면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은둔형 외톨이 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7명과 은둔형 외톨이 부모 중 1인(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7명)이 최종 선정되었다. 주 1회, 1회당 60분씩 120분 동안 은둔형 외톨이를 위한 상담이 진행되고 이후 부모를 위한 상담 8회기 실시되었고, 총 8회기 중 2회기(4, 5회기)는 은둔형 외톨이와 부모가 함께하는 프로그램이 적용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프로그램 실시 전과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2차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 청소년에게 사용된 측정 도구는 히키코모리 체크리스트(HBCL, 이윤지 외, 2015)), 한국어판 무망감 척도(신민섭 외, 1990),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전겸구 외, 1997)이다. 부모에게 사용된 측정 도구는 부모 양육태도 척도(오성심, 이종승, 1982), 부모-자녀 의사소통척도(민하영, 1991) 이었다. HCH가 은둔형 외톨이의 은둔성향, 무망감,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력과 은둔형 외톨이 부모의 부모 양육 태도,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다변량분석(Repeated Measure MANOVA)과 각 척도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서 반복측정 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HCH가 은둔형 외톨이의 은둔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의 은둔형 외톨이들은 은둔성향에서 통제집단과 달리 사전점수보다 사후점수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은둔형 외톨이를 위한 가정방문 상담 프로그램은 은둔형 외톨이의 은둔성향을 낮추는 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HCH가 은둔형 외톨이의 무망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 은둔형 외톨이들은 무망감에서 사전점수보다 사후 점수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은둔형 외톨이를 위한 가정방문 상담 프로그램은 은둔형 외톨이의 무망감을 낮추는 데 효과가 있었다. 셋째, HCH가 은둔형 외톨이의 분노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의 은둔형 외톨이들은 분노표현 하위요인에서 부정적 표현인 분노표출과 분노억제에서 사전점수보다 사후 점수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긍정적 표현인 분노조절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넷째, HCH가 은둔형 외톨이 부모의 부모 양육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 부모의 부모 양육 태도 하위요인 중 자율에서는 사전점수보다 사후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애정, 성취, 합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은둔형 외톨이를 위한 가정방문 상담 프로그램은 은둔형 외톨이 부모의 부모 양육 태도를 변화시키는데 부분적으로 효과가 있었다. 다섯째, HCH가 은둔형 외톨이 부모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 부모의 의사소통 하위요인인 개방형, 폐쇄형에서 사전점수와 사후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은둔형 외톨이를 위한 가정방문 상담 프로그램은 은둔형 외톨이 부모의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변화시키는 데 효과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HCH는 은둔형 외톨이의 은둔성향, 무망감, 분노표현에 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 되었으나, 부모의 부모 양육 태도에서는 부분적인 효과가 있었고, 부모-자녀 의사소통에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일단 8회기라는 단기적 개입 효과의 지속성 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관련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으며, 부모 양육 태도와 의사소통 외에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다루고 부모 효능감을 향상하는 상담 프로그램을 보충할 필요가 있다고 보인다.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d examine the effect of Home-visiting Counseling program for Hikikomori(HCH) on Hikikomori behavior, hopelessness, anger expression of Hikikomori and parenting attitude, parent-child communication of Hikikomori parent. The subjects were recruited fr...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d examine the effect of Home-visiting Counseling program for Hikikomori(HCH) on Hikikomori behavior, hopelessness, anger expression of Hikikomori and parenting attitude, parent-child communication of Hikikomori parent. The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various organizations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youth counseling and welfare center,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G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ocial welfare organs, mental hospitals, schools(middle, high, university), counseling center, church etc.) and recruited period was from June, 2017 to July, 2018. 15 Hikikomori under 25 years old and his/her parent showed interests in HCH participated as experimental group, while 17 Hikikomori under 25 years old and his/her parent who were interested in HCH but not willing to join in HCH participated as control group. A total of 8 sessions were held once a week and took about 120 minutes (60 minutes for Hikikomori and 60 minutes for Hikikomori parent) for each session. Among 8 sessions, Hikikomori and his/her parent had a session together in 4th and 5th session.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HCH, Hikikomori behavior, hopelessness, anger expression of Hikikomori and parenting attitude, parent-child communication of Hikikomori parent data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HCH. Statistical analyses of data were mean, standard deviation, Repeated measure MANOVA, and Repeated measure ANOVA. Cronbach's alpha was computed for the reliability of the scales. SPSSWIN 23.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HCH was proven to be effective for the reduction of Hikikomori behavior. The Hikikomori behavior of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HCH. Second, HCH wasproven to be effective for the reduction of hopelessness. The hopelessness of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HCH. Third, HCH was proven to be effective for the reduction of anger expression and anger suppression but was proven to be effective for the increase of anger control. The anger expression and anger suppression of Hikikomori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HCH. Fourth, HCH was proven to be partially effective for the parenting attitude of Hikikomori parent. Among subscale of parenting attitude, only autonom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HCH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ffection, accomplishment, and rationality. Fifth, HCH was proven ineffective for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subscale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open communication and closed communic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implementation of HCH.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d examine the effect of Home-visiting Counseling program for Hikikomori(HCH) on Hikikomori behavior, hopelessness, anger expression of Hikikomori and parenting attitude, parent-child communication of Hikikomori parent. The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various organizations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youth counseling and welfare center,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G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ocial welfare organs, mental hospitals, schools(middle, high, university), counseling center, church etc.) and recruited period was from June, 2017 to July, 2018. 15 Hikikomori under 25 years old and his/her parent showed interests in HCH participated as experimental group, while 17 Hikikomori under 25 years old and his/her parent who were interested in HCH but not willing to join in HCH participated as control group. A total of 8 sessions were held once a week and took about 120 minutes (60 minutes for Hikikomori and 60 minutes for Hikikomori parent) for each session. Among 8 sessions, Hikikomori and his/her parent had a session together in 4th and 5th session.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HCH, Hikikomori behavior, hopelessness, anger expression of Hikikomori and parenting attitude, parent-child communication of Hikikomori parent data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HCH. Statistical analyses of data were mean, standard deviation, Repeated measure MANOVA, and Repeated measure ANOVA. Cronbach's alpha was computed for the reliability of the scales. SPSSWIN 23.0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HCH was proven to be effective for the reduction of Hikikomori behavior. The Hikikomori behavior of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HCH. Second, HCH wasproven to be effective for the reduction of hopelessness. The hopelessness of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HCH. Third, HCH was proven to be effective for the reduction of anger expression and anger suppression but was proven to be effective for the increase of anger control. The anger expression and anger suppression of Hikikomori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HCH. Fourth, HCH was proven to be partially effective for the parenting attitude of Hikikomori parent. Among subscale of parenting attitude, only autonom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HCH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ffection, accomplishment, and rationality. Fifth, HCH was proven ineffective for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subscale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open communication and closed communic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implementation of HCH.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