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 산딸기속 분류군들에 대한 주요 형질 및 형질의 변이한계를 파악하고 형질의 진화경향성을 추론, 기존 분류체계의 타당성 검토 및 분류군들의 간의 유연관계를 규명하고자 형태학적 연구 및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형태학적 형질에서 식물체 습성, 줄기의 습성 및 유형, 줄기표면의 가시종류, 잎의 종류, 화서의 종류, 화경표면의 가시 종류 및 특성, 꽃받침 형태, 개화시 꽃받침과 꽃잎의 자세, 열매 색 등은 분류군을 구분하는 유용한 형질이였다. 본 속의 분류군의 유연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nrDNA의 ...
한국산 산딸기속 분류군들에 대한 주요 형질 및 형질의 변이한계를 파악하고 형질의 진화경향성을 추론, 기존 분류체계의 타당성 검토 및 분류군들의 간의 유연관계를 규명하고자 형태학적 연구 및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형태학적 형질에서 식물체 습성, 줄기의 습성 및 유형, 줄기표면의 가시종류, 잎의 종류, 화서의 종류, 화경표면의 가시 종류 및 특성, 꽃받침 형태, 개화시 꽃받침과 꽃잎의 자세, 열매 색 등은 분류군을 구분하는 유용한 형질이였다. 본 속의 분류군의 유연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nrDNA의 ITS, 구간과 cpDNA의 trnL-F 구간과 trnL-trnF(trnL-F)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산 산딸기속은 단계통을 이루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속내 분류체계에 따른 4아속 5절과 각 분류군의 유연관계 및 진화경향성을 나타내었다. 잎의 종류, 개화시 꽃잎의 자세, 꽃잎 색의 분류군별 나타나는 형질의 상이성을 통하여 진화경향성을 추론하였다. 거문딸기와 장딸기의 종간 잡종으로 인식되고 있는 제주산딸기는 장딸기보다 거문딸기와 더 가까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번 연구결과를 통하여 분류군의 실체가 모호한 단풍딸기, 가시복분자딸기, 거지딸기, 검은딸기, 줄딸기, 제주산딸기와 섬딸기, 멍석딸기, 복합체(R. ribisoideus, R. parvifolius complex)에 대해 원기재문 및 기준표본에 근거한 올바른 학명제시 및 형태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런 결과를 종합 분석하여, 한국산 산딸기속을 4아속 5절의 총 19분류군으로 정리하였고, 검색표 및 기재문을 제시하였다.
한국산 산딸기속 분류군들에 대한 주요 형질 및 형질의 변이한계를 파악하고 형질의 진화경향성을 추론, 기존 분류체계의 타당성 검토 및 분류군들의 간의 유연관계를 규명하고자 형태학적 연구 및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형태학적 형질에서 식물체 습성, 줄기의 습성 및 유형, 줄기표면의 가시종류, 잎의 종류, 화서의 종류, 화경표면의 가시 종류 및 특성, 꽃받침 형태, 개화시 꽃받침과 꽃잎의 자세, 열매 색 등은 분류군을 구분하는 유용한 형질이였다. 본 속의 분류군의 유연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nrDNA의 ITS, 구간과 cpDNA의 trnL-F 구간과 trnL-trnF(trnL-F)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산 산딸기속은 단계통을 이루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속내 분류체계에 따른 4아속 5절과 각 분류군의 유연관계 및 진화경향성을 나타내었다. 잎의 종류, 개화시 꽃잎의 자세, 꽃잎 색의 분류군별 나타나는 형질의 상이성을 통하여 진화경향성을 추론하였다. 거문딸기와 장딸기의 종간 잡종으로 인식되고 있는 제주산딸기는 장딸기보다 거문딸기와 더 가까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번 연구결과를 통하여 분류군의 실체가 모호한 단풍딸기, 가시복분자딸기, 거지딸기, 검은딸기, 줄딸기, 제주산딸기와 섬딸기, 멍석딸기, 복합체(R. ribisoideus, R. parvifolius complex)에 대해 원기재문 및 기준표본에 근거한 올바른 학명제시 및 형태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런 결과를 종합 분석하여, 한국산 산딸기속을 4아속 5절의 총 19분류군으로 정리하였고, 검색표 및 기재문을 제시하였다.
Comprehensive taxonomic studies on nineteen taxa of Korean Rubus L. (Rosaceae) were carried out. To reappraise variation of major characteristics and their evolution, reevaluate of the current classification system,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xonomic groups, morphological studies a...
Comprehensive taxonomic studies on nineteen taxa of Korean Rubus L. (Rosaceae) were carried out. To reappraise variation of major characteristics and their evolution, reevaluate of the current classification system,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xonomic groups, morphological studies and research in molecular biology were carried out. In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plant habit, stem habit, stem type, prickle and trichome type on stem surface, leaf type, inflorescence type, prickle and trichome type on peduncle, sepal shape, position of sepal and petal at flowering, and fruit colour were useful characters in dividing the taxonomic groups. For the molecular phylogenetic inference, using an internal transcribed spacer(ITS) of the nuclear ribosomal DNA and a trnL-trnF(trnL-F) intergenic region of the chloroplast DNA. Individual analysis of ITS and trnL-F data proved a monophyletic group which supports the traditional intrageneric classification system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axa in the section. R. nishimuranus was closer to R. trifidus than R. hirsutus which are recognized as interspecific hybrids of R. trifidus and R. hirsutus. As the results of comprehensive literary, nomenclatural, and morphological investigations, several taxonomically complex and ambiguous taxa clarified that R. palmatus, R. schizostylus, R. sorbifolius, R. croceacanthus, R. pungens, and R. ribisoideus, R. parvifolius complex. The evolutionary tendency was identified through the leaf type, position of petal at flowering, and petal colour.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Korean Rubus was organized into 4 subgenus, 5 section, and 19 species, and the relevant classification key and descriptions have been provided.
Comprehensive taxonomic studies on nineteen taxa of Korean Rubus L. (Rosaceae) were carried out. To reappraise variation of major characteristics and their evolution, reevaluate of the current classification system,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xonomic groups, morphological studies and research in molecular biology were carried out. In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plant habit, stem habit, stem type, prickle and trichome type on stem surface, leaf type, inflorescence type, prickle and trichome type on peduncle, sepal shape, position of sepal and petal at flowering, and fruit colour were useful characters in dividing the taxonomic groups. For the molecular phylogenetic inference, using an internal transcribed spacer(ITS) of the nuclear ribosomal DNA and a trnL-trnF(trnL-F) intergenic region of the chloroplast DNA. Individual analysis of ITS and trnL-F data proved a monophyletic group which supports the traditional intrageneric classification system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axa in the section. R. nishimuranus was closer to R. trifidus than R. hirsutus which are recognized as interspecific hybrids of R. trifidus and R. hirsutus. As the results of comprehensive literary, nomenclatural, and morphological investigations, several taxonomically complex and ambiguous taxa clarified that R. palmatus, R. schizostylus, R. sorbifolius, R. croceacanthus, R. pungens, and R. ribisoideus, R. parvifolius complex. The evolutionary tendency was identified through the leaf type, position of petal at flowering, and petal colour.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Korean Rubus was organized into 4 subgenus, 5 section, and 19 species, and the relevant classification key and descriptions have been provid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