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올바른 인성을 겸비한 창의, 융합형 인재양성에 목표를 두고 있고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성격은 음악성과 창의성을 함께 계발하여 삶 속에서 음악을 향유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국악교육의 변천 및 특징을 살펴본 결과 해방이후부터 1980년대까지는 일제 강점기로 인해 우리나라 교육과정이 체계화 되는 과정으로 이 때의 국악교육은 저조하였지만 제 7차 교육과정과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접어 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올바른 인성을 겸비한 창의, 융합형 인재양성에 목표를 두고 있고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성격은 음악성과 창의성을 함께 계발하여 삶 속에서 음악을 향유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국악교육의 변천 및 특징을 살펴본 결과 해방이후부터 1980년대까지는 일제 강점기로 인해 우리나라 교육과정이 체계화 되는 과정으로 이 때의 국악교육은 저조하였지만 제 7차 교육과정과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접어 들어서 적극적으로 국악 교육을 강조하고 국악 관련 학습을 체계화 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은 국악 교육이 더욱 강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음악① 교과서 14종 국악곡 중 국악기악곡의 비중을 알아보고, 장르별로 국악기악곡의 수록 빈도수와 비율을 분석하였다. 또한 내용영역을 표현, 감상, 생활화로 분류하여 그 비율을 나타냈고 이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국악기악곡의 비중을 조사한 결과 14종 음악교과서의 국악기악곡의 평균비율은 22%로 나타났다. 국악가창곡이 78%인 것에 비해 국악기악곡의 비중이 현저히 적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국악기악곡의 비중이 가장 높은 교과서는 <다락원> 38%이며 그 다음으로 <동아출판>으로 36%로 확인되었다. 국악기악곡의 빈도수를 분석한 결과 ‘수제천’이 9회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대취타’, ‘사물놀이’, ‘청소년을 위한 국악 관현악 입문’ 3곡이 동일하게 7회로 나타났다. 국악기악곡을 장르별로 의식음악, 정악, 민속악, 창작음악 4가지로 분류하고 분석한 결과 <성안당>, <교학사> 33%로 의식음악의 비율이 가장 높고 <금성출판사> 75%로 정악의 비율이 높았다. <박영사>는 50%로 민속악의 비율이 높고 <음악과 생활>은 57%로 창작음악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내용영역 중 표현영역에서 가장 비율이 높은 교과서는 <박영사> 66%, 감상영역의 비율이 가장 높은 교과서는 <천재>, <미래엔>, <지학사>, <교학사>로 100%, 생활화 영역의 비율이 가장 높은 교과서는 <아침나라> 14%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국악기악학습이 감상영역에 편중되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국악기악곡의 문제점이 보완되고 학생들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국악기악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우리는 많은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가 이후 국악교육의 향후 개선 방향에 도움되고 국악기악곡의 다양한 수록과 영역의 확대를 기대하는 바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올바른 인성을 겸비한 창의, 융합형 인재양성에 목표를 두고 있고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성격은 음악성과 창의성을 함께 계발하여 삶 속에서 음악을 향유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국악교육의 변천 및 특징을 살펴본 결과 해방이후부터 1980년대까지는 일제 강점기로 인해 우리나라 교육과정이 체계화 되는 과정으로 이 때의 국악교육은 저조하였지만 제 7차 교육과정과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접어 들어서 적극적으로 국악 교육을 강조하고 국악 관련 학습을 체계화 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은 국악 교육이 더욱 강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음악① 교과서 14종 국악곡 중 국악기악곡의 비중을 알아보고, 장르별로 국악기악곡의 수록 빈도수와 비율을 분석하였다. 또한 내용영역을 표현, 감상, 생활화로 분류하여 그 비율을 나타냈고 이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국악기악곡의 비중을 조사한 결과 14종 음악교과서의 국악기악곡의 평균비율은 22%로 나타났다. 국악가창곡이 78%인 것에 비해 국악기악곡의 비중이 현저히 적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국악기악곡의 비중이 가장 높은 교과서는 <다락원> 38%이며 그 다음으로 <동아출판>으로 36%로 확인되었다. 국악기악곡의 빈도수를 분석한 결과 ‘수제천’이 9회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대취타’, ‘사물놀이’, ‘청소년을 위한 국악 관현악 입문’ 3곡이 동일하게 7회로 나타났다. 국악기악곡을 장르별로 의식음악, 정악, 민속악, 창작음악 4가지로 분류하고 분석한 결과 <성안당>, <교학사> 33%로 의식음악의 비율이 가장 높고 <금성출판사> 75%로 정악의 비율이 높았다. <박영사>는 50%로 민속악의 비율이 높고 <음악과 생활>은 57%로 창작음악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내용영역 중 표현영역에서 가장 비율이 높은 교과서는 <박영사> 66%, 감상영역의 비율이 가장 높은 교과서는 <천재>, <미래엔>, <지학사>, <교학사>로 100%, 생활화 영역의 비율이 가장 높은 교과서는 <아침나라> 14%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국악기악학습이 감상영역에 편중되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국악기악곡의 문제점이 보완되고 학생들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국악기악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우리는 많은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가 이후 국악교육의 향후 개선 방향에 도움되고 국악기악곡의 다양한 수록과 영역의 확대를 기대하는 바이다.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imed to creative and converged talent based on its core competencies, and the nature of the 2015 revised music and education curriculum is to develop both musical ability and creativity to enjoy music in practical life. The history and feature of the Traditional Korean 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imed to creative and converged talent based on its core competencies, and the nature of the 2015 revised music and education curriculum is to develop both musical ability and creativity to enjoy music in practical life. The history and feature of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education from Japanese occupation by the 1980s to liberation, the curriculum was in the process of structured. During this perio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as low; however, 7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2007 curriculum revision actively emphasized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traditional music related to systematize learning. As a result of this, The revised curriculum 2009 and 2015 clearly shows the increased emphasis o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is research is the compare and analysis of the different types of 14 music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 following by 2015 curriculum revision. This research analyzes the importance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amo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frequency, expression, impression, and daily life of the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depends on the genre. The result of the importance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is that the average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is 22 percent from different 14types of textbooks. It shows that the importance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is markedly low compared to Korean traditional vocal music which has 75 percent. In addition, the textbook, “Darackone,” has the highest percentage which shows 38 percent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DongA publisher” was following with 36 percent. As a result of the frequency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Soojecheon” has the highest frequency which is nine times, and “DaeChiTa,” “Samulnori,” and “The int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Teenagers” have seven times equally. When we classify the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to different genre such as ritual music, classical music, folk music, and creative music, “SungAnDang” and “KyoHackSa” has the highest importance of ritual music with 33 percent, and “KumgSung publisher” has the highest importance of classical music with 75 percent. “ParkYoungSa” has the highest importance in folk music with 50 percent and “Music and Life” has the highest importance in creative music with 57 percent. From the content, the textbook that has the highest importance in expression part is “ParkYongSa”-66 percent, the highest importance in impression part is “CheonJae”, “MiraeAnn”, “Jihaksa”, and “Kyohacksa” with 100 percent, and the highest importance in daily life part is “Ahchimnara” with 14 percent. Through this, we can see that the learning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focuses on only impression parts.
Therefore,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 should make efforts to reduce the problems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and ensure that students learn them effectively. Furthermore, I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assist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and expand the various Korean Traditional musical piece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imed to creative and converged talent based on its core competencies, and the nature of the 2015 revised music and education curriculum is to develop both musical ability and creativity to enjoy music in practical life. The history and feature of the Traditional Korean music education from Japanese occupation by the 1980s to liberation, the curriculum was in the process of structured. During this perio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as low; however, 7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2007 curriculum revision actively emphasized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traditional music related to systematize learning. As a result of this, The revised curriculum 2009 and 2015 clearly shows the increased emphasis on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is research is the compare and analysis of the different types of 14 music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 following by 2015 curriculum revision. This research analyzes the importance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amo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frequency, expression, impression, and daily life of the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depends on the genre. The result of the importance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is that the average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is 22 percent from different 14types of textbooks. It shows that the importance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is markedly low compared to Korean traditional vocal music which has 75 percent. In addition, the textbook, “Darackone,” has the highest percentage which shows 38 percent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DongA publisher” was following with 36 percent. As a result of the frequency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Soojecheon” has the highest frequency which is nine times, and “DaeChiTa,” “Samulnori,” and “The int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Teenagers” have seven times equally. When we classify the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to different genre such as ritual music, classical music, folk music, and creative music, “SungAnDang” and “KyoHackSa” has the highest importance of ritual music with 33 percent, and “KumgSung publisher” has the highest importance of classical music with 75 percent. “ParkYoungSa” has the highest importance in folk music with 50 percent and “Music and Life” has the highest importance in creative music with 57 percent. From the content, the textbook that has the highest importance in expression part is “ParkYongSa”-66 percent, the highest importance in impression part is “CheonJae”, “MiraeAnn”, “Jihaksa”, and “Kyohacksa” with 100 percent, and the highest importance in daily life part is “Ahchimnara” with 14 percent. Through this, we can see that the learning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focuses on only impression parts.
Therefore,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 should make efforts to reduce the problems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and ensure that students learn them effectively. Furthermore, I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assist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and expand the various Korean Traditional musical piec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