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어린이집 유아반 교사의 효능감, 반성적 사고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daycare center infant teachers’ efficacy and reflective thinking to role-performance원문보기
본 연구는 어린이집 유아반 교사의 효능감과 반성적 사고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어린이집 유아반 교사 327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질문지 방법으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교사효능감 측정을 위하여 Enochs와 Riggs(1990)가 개발한 과학교수효능감 검사도구(Science ...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어린이집 유아반 교사의 효능감과 반성적 사고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어린이집 유아반 교사 327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질문지 방법으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교사효능감 측정을 위하여 Enochs와 Riggs(1990)가 개발한 과학교수효능감 검사도구(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TEBI)를 일반적인 어린이집 상황에 맞게 문항 수정을 한 신혜영(2004)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측정하기 위해 김하종(2015)이 개발한 도구를 기초로 김현진(2016), 박은혜, 조운주(2015), 황윤세(2013) 등의 연구를 고찰한 후, 반성적 사고 하위요인을 일상, 교수, 학습측면으로 분류·재구성하고 구안한 설문문항을, 전문가의 점토를 통해 수정·보완한 김진미(2017)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반 교사의 역할수행 측정도구는 이희경, 김성수(2000)가 개발한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박복매(2011)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유아반 교사의 배경변인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교사효능감, 반성적 사고, 역할수행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구하기 위해 신뢰도 계수(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셋째, 각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교사효능감, 반성적 사고, 역할수행에 관한 검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 처리를 위해 ANOVA, 사후검증(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넷째, 교사효능감, 반성적 사고, 역할수행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반 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 반성적 사고, 역할수행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연령은 교사효능감, 반성적 사고, 역할수행 하위요인인 상담 및 정서적 지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학력은 교사효능감 하위요인의 개인효능감과 반성적 사고에서, 경력은 교사효능감과 반성적 사고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어린이집 형태는 교사효능감, 반성적 사고 하위요인의 일상, 역할수행 하위요인의 교육 및 교수활동과 상담 및 정서적 지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급여는 교사효능감 하위요인의 개인효능감과 반성적 사고, 역할수행 하위요인인 연구 및 반성적 실천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교사효능감, 반성적 사고는 유아반 교사의 역할수행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교사효능감과 반성적 사고가 높을수록 역할수행 수준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아반 교사의 역할수행 하위요인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에 대해 살펴본 결과, 보육 및 기본생활지도, 교육 및 교수활동, 상담 및 정서적 지원, 역할수행 전체에서는 교사효능감 중 개인효능감과 반성적 사고 모두에서 영향을 미쳤으며, 연구 및 반성적 실천에서는 교사효능감과 반성적 사고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련적 역할에서는 반성적 사고의 모든 하위요인에서만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 유아반 교사의 효능감, 반성적 사고가 역할수행능력과 관계가 있으며, 변인들 간에 긴밀한 영향을 주고 받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또한 이를 통해 어린이집 유아반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상황과 그에 따른 교사의 역할특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 유아반 교사의 역할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어린이집 유아반 교사의 효능감과 반성적 사고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어린이집 유아반 교사 327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질문지 방법으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교사효능감 측정을 위하여 Enochs와 Riggs(1990)가 개발한 과학교수효능감 검사도구(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TEBI)를 일반적인 어린이집 상황에 맞게 문항 수정을 한 신혜영(2004)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측정하기 위해 김하종(2015)이 개발한 도구를 기초로 김현진(2016), 박은혜, 조운주(2015), 황윤세(2013) 등의 연구를 고찰한 후, 반성적 사고 하위요인을 일상, 교수, 학습측면으로 분류·재구성하고 구안한 설문문항을, 전문가의 점토를 통해 수정·보완한 김진미(2017)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반 교사의 역할수행 측정도구는 이희경, 김성수(2000)가 개발한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박복매(2011)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유아반 교사의 배경변인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교사효능감, 반성적 사고, 역할수행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구하기 위해 신뢰도 계수(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셋째, 각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교사효능감, 반성적 사고, 역할수행에 관한 검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 처리를 위해 ANOVA, 사후검증(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넷째, 교사효능감, 반성적 사고, 역할수행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반 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교사효능감, 반성적 사고, 역할수행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연령은 교사효능감, 반성적 사고, 역할수행 하위요인인 상담 및 정서적 지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학력은 교사효능감 하위요인의 개인효능감과 반성적 사고에서, 경력은 교사효능감과 반성적 사고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어린이집 형태는 교사효능감, 반성적 사고 하위요인의 일상, 역할수행 하위요인의 교육 및 교수활동과 상담 및 정서적 지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급여는 교사효능감 하위요인의 개인효능감과 반성적 사고, 역할수행 하위요인인 연구 및 반성적 실천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교사효능감, 반성적 사고는 유아반 교사의 역할수행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교사효능감과 반성적 사고가 높을수록 역할수행 수준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아반 교사의 역할수행 하위요인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에 대해 살펴본 결과, 보육 및 기본생활지도, 교육 및 교수활동, 상담 및 정서적 지원, 역할수행 전체에서는 교사효능감 중 개인효능감과 반성적 사고 모두에서 영향을 미쳤으며, 연구 및 반성적 실천에서는 교사효능감과 반성적 사고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관련적 역할에서는 반성적 사고의 모든 하위요인에서만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 유아반 교사의 효능감, 반성적 사고가 역할수행능력과 관계가 있으며, 변인들 간에 긴밀한 영향을 주고 받고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또한 이를 통해 어린이집 유아반의 다양하고 복합적인 상황과 그에 따른 교사의 역할특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 유아반 교사의 역할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eacher efficacy and reflective thinking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affect role performance. To do so, 327 teachers employed at childcare centers in Seoul, Incheon, and other Gyeonggi areas were selected for study participants, and da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eacher efficacy and reflective thinking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affect role performance. To do so, 327 teachers employed at childcare centers in Seoul, Incheon, and other Gyeonggi areas were selected for study participants, and data were collected for survey. The instrument of Shin Hae-Young(2004) that modified questions in STEBI(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for teachers(Enochs & Riggs; 1990) to match the circumstances of common childcare centers was used to measure teacher efficacy. In order to measure reflective thinking of childcare teachers, survey questions and the instrument of Kim Jin-Mi(2017) were used; the former was made by classifying and re-organizing reflective thinking in the perspectives of daily life, teaching, and learning after considering studies of Kim Hyun-Jin(2016), Park Eun-Hye & Cho Un-Ju(2015), and Hwang Yun-Se(2013) based on the measuring instrument of Kim Ha-Jong(2015), and the latter was modified and complemented through an expert’s review. The instrument of Park Bok-Mae(2011) that modified and complemented the instrument of Lee Hee-Gyeong and Kim Seong-Su(2001) was used to measure role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ers.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were analyzed with SPSS WIN 20.0 program.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childcar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Second, reliability coefficient(Cronbach’s α) was calculated to get reliability of each measuring instrument for teacher efficacy, reflective thinking and role performance. Third, tests on teacher efficacy, reflective thinking, and role performance using each measuring instrument were conducted, and ANOVA and post-hoc test(Scheffé test) were performed to get results. Fourth,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scerta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efficacy, reflective thinking, and role performance. Fif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what affects role performance. The study results shows as follows. First, upon examination of differences between teacher efficacy, reflective thinking, and role performance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unseling and emotional support (subfactors of teacher efficacy, reflective thinking, and role performance) by age; there were differences in self-efficacy (subfactor of teacher efficacy) and reflective thinking by education, and in teacher efficacy and reflective thinking by work experie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daily life(subfactor of reflective thinking), and instructional and teaching activity, and counseling and emotional support(subfactors of role performance) by type of a childcare center; there were differences in self-efficacy(subfactor of teacher efficacy), reflective thinking, and research and reflective practice(subfactors of role performance) by salary. Second, teacher efficacy and reflective thinking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role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ers, in other words, it clearly showed that the higher teacher efficacy and reflective thinking results in higher levels of role performance. Third, upon examination of the relative effects on subfactors of role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ers, it was found that both self-efficacy(subfactor of teacher efficacy) and reflective thinking affected chidcare and basis guidance, instructional and teaching activity, and counseling and emotional support; teacher efficacy and all subfactors of reflective thinking affected research and reflective practice; and only all subfactors of reflective thinking affected the relevant role. The findings showed that teacher efficacy and reflective thinking of childcare teachers have a relationship to role performance ability, and that variables are closely affected to one another. Moreover, we hope this study would not only help understand diverse and complicated circumstances of childcare class and resulting rol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but also be used as the basis for improving the role performance ability of childcare teacher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eacher efficacy and reflective thinking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affect role performance. To do so, 327 teachers employed at childcare centers in Seoul, Incheon, and other Gyeonggi areas were selected for study participants, and data were collected for survey. The instrument of Shin Hae-Young(2004) that modified questions in STEBI(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for teachers(Enochs & Riggs; 1990) to match the circumstances of common childcare centers was used to measure teacher efficacy. In order to measure reflective thinking of childcare teachers, survey questions and the instrument of Kim Jin-Mi(2017) were used; the former was made by classifying and re-organizing reflective thinking in the perspectives of daily life, teaching, and learning after considering studies of Kim Hyun-Jin(2016), Park Eun-Hye & Cho Un-Ju(2015), and Hwang Yun-Se(2013) based on the measuring instrument of Kim Ha-Jong(2015), and the latter was modified and complemented through an expert’s review. The instrument of Park Bok-Mae(2011) that modified and complemented the instrument of Lee Hee-Gyeong and Kim Seong-Su(2001) was used to measure role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ers.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were analyzed with SPSS WIN 20.0 program.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childcar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Second, reliability coefficient(Cronbach’s α) was calculated to get reliability of each measuring instrument for teacher efficacy, reflective thinking and role performance. Third, tests on teacher efficacy, reflective thinking, and role performance using each measuring instrument were conducted, and ANOVA and post-hoc test(Scheffé test) were performed to get results. Fourth,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scerta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efficacy, reflective thinking, and role performance. Fif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find out what affects role performance. The study results shows as follows. First, upon examination of differences between teacher efficacy, reflective thinking, and role performance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unseling and emotional support (subfactors of teacher efficacy, reflective thinking, and role performance) by age; there were differences in self-efficacy (subfactor of teacher efficacy) and reflective thinking by education, and in teacher efficacy and reflective thinking by work experie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daily life(subfactor of reflective thinking), and instructional and teaching activity, and counseling and emotional support(subfactors of role performance) by type of a childcare center; there were differences in self-efficacy(subfactor of teacher efficacy), reflective thinking, and research and reflective practice(subfactors of role performance) by salary. Second, teacher efficacy and reflective thinking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role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ers, in other words, it clearly showed that the higher teacher efficacy and reflective thinking results in higher levels of role performance. Third, upon examination of the relative effects on subfactors of role performance of childcare teachers, it was found that both self-efficacy(subfactor of teacher efficacy) and reflective thinking affected chidcare and basis guidance, instructional and teaching activity, and counseling and emotional support; teacher efficacy and all subfactors of reflective thinking affected research and reflective practice; and only all subfactors of reflective thinking affected the relevant role. The findings showed that teacher efficacy and reflective thinking of childcare teachers have a relationship to role performance ability, and that variables are closely affected to one another. Moreover, we hope this study would not only help understand diverse and complicated circumstances of childcare class and resulting rol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but also be used as the basis for improving the role performance ability of childcare teacher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