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15 개정 중학교 음악교과서 14종을 중심으로 <영산회상>과 관련된 교수․학습내용을 분석하고 그 현황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비롯되었다.
영산회상의 교수·학습내용 분석하기 위해,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영산회상의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중학교 내용체계 및 감사영역에서 영산회상 관련요소를 분석하고, 영산회상의 유래·종류·악기편성과 음계·장단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2015개정 음악교과서의 영산회상 교수·학습 내용의 현황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2015 개정 중학교 음악교과서 14종을 중심으로 <영산회상>과 관련된 교수․학습내용을 분석하고 그 현황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비롯되었다.
영산회상의 교수·학습내용 분석하기 위해,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영산회상의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중학교 내용체계 및 감사영역에서 영산회상 관련요소를 분석하고, 영산회상의 유래·종류·악기편성과 음계·장단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2015개정 음악교과서의 영산회상 교수·학습 내용의 현황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악영산회상은 조선후기 역사·문화 배경 속에서 음악적 특징을 설명하고 감상하도록 제시했다. 그리고 한배의 변화에 따른 빠르기를 사람 걸음 거리, 동물의 속도, 가락선보로 설명하였다. 군악과 천년만세는 각각 피리보, 거문고를 제시하여 비교·감상 할 수 있으며 타령은 시김새를 유의하며 단소를 부를 수 있도록 기악곡을 제시했다.
현악영산회상·관악영산회상·평조회상은 다양한 연주 형태 및 악기편성·음색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함께 제시를 하였다. 관악영산회상은 연음형식, 대풍류(삼현육각)의 특징과 김홍도 <무동>의 작품을 통해 미술과의 융합수업을 제시했다. 그리고 영산회상 파생곡이며 4도 아래로 조옮김한 곡 평조회상은 일부 교과서에만 설명을 제시했고, 춘앵전의 반주음악으로써 신체표현 활동으로 제시했다.
영산회상 교수·학습 내용의 영역별 현황 분석을 살펴보면 세 갈래의 영산회상 중, 현악영산회상은 14종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모두 실려 있으며,감상 영역이 많았다. 현악영산회상(타령, 군악, 천년만세포함)은 26곡, 평조회상(타령포함)은 8곡, 관악영산회상은 7곡 순으로 많았고, 생활화영역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영산회상 교수·학습 분석내용 중, 공통적으로 지도할 내용과 중점을 두어야 할 내용들을 고찰 할 수 있을 것이다. 중학교 교과서 감상영역에 제시된 영산회상 관련 교수학습 내용의 현황을 분석하는 것으로 영산회상 관련 감상지도 연구에 참고 자료로 제시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중학교 음악교과서 14종을 중심으로 <영산회상>과 관련된 교수․학습내용을 분석하고 그 현황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비롯되었다.
영산회상의 교수·학습내용 분석하기 위해,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영산회상의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중학교 내용체계 및 감사영역에서 영산회상 관련요소를 분석하고, 영산회상의 유래·종류·악기편성과 음계·장단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2015개정 음악교과서의 영산회상 교수·학습 내용의 현황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악영산회상은 조선후기 역사·문화 배경 속에서 음악적 특징을 설명하고 감상하도록 제시했다. 그리고 한배의 변화에 따른 빠르기를 사람 걸음 거리, 동물의 속도, 가락선보로 설명하였다. 군악과 천년만세는 각각 피리보, 거문고를 제시하여 비교·감상 할 수 있으며 타령은 시김새를 유의하며 단소를 부를 수 있도록 기악곡을 제시했다.
현악영산회상·관악영산회상·평조회상은 다양한 연주 형태 및 악기편성·음색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함께 제시를 하였다. 관악영산회상은 연음형식, 대풍류(삼현육각)의 특징과 김홍도 <무동>의 작품을 통해 미술과의 융합수업을 제시했다. 그리고 영산회상 파생곡이며 4도 아래로 조옮김한 곡 평조회상은 일부 교과서에만 설명을 제시했고, 춘앵전의 반주음악으로써 신체표현 활동으로 제시했다.
영산회상 교수·학습 내용의 영역별 현황 분석을 살펴보면 세 갈래의 영산회상 중, 현악영산회상은 14종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모두 실려 있으며,감상 영역이 많았다. 현악영산회상(타령, 군악, 천년만세포함)은 26곡, 평조회상(타령포함)은 8곡, 관악영산회상은 7곡 순으로 많았고, 생활화영역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영산회상 교수·학습 분석내용 중, 공통적으로 지도할 내용과 중점을 두어야 할 내용들을 고찰 할 수 있을 것이다. 중학교 교과서 감상영역에 제시된 영산회상 관련 교수학습 내용의 현황을 분석하는 것으로 영산회상 관련 감상지도 연구에 참고 자료로 제시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elevant to yeongsanhoesang in fourteen kinds of music textbooks revised in 2015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nalyze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f yeongsanhoesang, I presented theoretical backgr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elevant to yeongsanhoesang in fourteen kinds of music textbooks revised in 2015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nalyze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f yeongsanhoesang, I presented theoretical background of yeongsanhoesang and music curriculum revised in 2015. I analyzed elements related to yeongsanhoesang in music curriculum revised in 2015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examined the origin, kinds, musical instruments, scales and rhythm of yeongsanhoesang. Based on the work, I found the current analysis result of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f yeongsanhoesang.
I suggested to explain the musical features of hyeonag yeongsanoesang in the history and culture background of the late Joseon dynasty. Besides I explained the tempo according to the change of hanbae by the walking distance, the speed of animals, and garaksunbow. Martial music and cheonnyeonmanse can be compared and appreciated with piribo and geomungo by students. Moreover I presented the instrumental music so that students could play the danso while paying attention to sigimsae for tareong. I suggested hyeonag yeongsanhoesang, gwanag yeongsanhoesang and pyeongjohoesang together to distinguish various types of performances, musical instruments, and tones. I presented integrated class with art through prolonged sounds, the features of daepunglyu (samhyeonyuggag), and a work of Kim Hong-do named Mudong. Some music textbooks only provided explainations for pyeongjohoesang that was derived from yeongsanhoesang and transposed down four scales. It was expressed as the musical accompaniment of chunaengjeon with body expression activities.
To analyze various parts of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f yeongsanhoesang, hyeonagyeongsanoesang were all included in fourteen kinds of music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re were lots of appreciation parts. There were twenty six songs of yeongsanhoesang (taryeong, martial music and cheonnyeonmanse), eight songs of pyeongjohoesang (taryeong) and seven songs of gwanag yeongsanoesang. There was no part for real life.
In this study, I will be able to examine common teaching contents and emphasize contents in teaching and learning analysis of yeongsanoesang. I try to suggest reference for teaching methods for appreciation of yeongsanoesang as I analyze teaching contents related to appreciation parts
of music textbooks for middle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elevant to yeongsanhoesang in fourteen kinds of music textbooks revised in 2015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nalyze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f yeongsanhoesang, I presented theoretical background of yeongsanhoesang and music curriculum revised in 2015. I analyzed elements related to yeongsanhoesang in music curriculum revised in 2015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examined the origin, kinds, musical instruments, scales and rhythm of yeongsanhoesang. Based on the work, I found the current analysis result of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f yeongsanhoesang.
I suggested to explain the musical features of hyeonag yeongsanoesang in the history and culture background of the late Joseon dynasty. Besides I explained the tempo according to the change of hanbae by the walking distance, the speed of animals, and garaksunbow. Martial music and cheonnyeonmanse can be compared and appreciated with piribo and geomungo by students. Moreover I presented the instrumental music so that students could play the danso while paying attention to sigimsae for tareong. I suggested hyeonag yeongsanhoesang, gwanag yeongsanhoesang and pyeongjohoesang together to distinguish various types of performances, musical instruments, and tones. I presented integrated class with art through prolonged sounds, the features of daepunglyu (samhyeonyuggag), and a work of Kim Hong-do named Mudong. Some music textbooks only provided explainations for pyeongjohoesang that was derived from yeongsanhoesang and transposed down four scales. It was expressed as the musical accompaniment of chunaengjeon with body expression activities.
To analyze various parts of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f yeongsanhoesang, hyeonagyeongsanoesang were all included in fourteen kinds of music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re were lots of appreciation parts. There were twenty six songs of yeongsanhoesang (taryeong, martial music and cheonnyeonmanse), eight songs of pyeongjohoesang (taryeong) and seven songs of gwanag yeongsanoesang. There was no part for real life.
In this study, I will be able to examine common teaching contents and emphasize contents in teaching and learning analysis of yeongsanoesang. I try to suggest reference for teaching methods for appreciation of yeongsanoesang as I analyze teaching contents related to appreciation parts
of music textbooks for middle school.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