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 감상은 다양한 음악 체험을 위한 당위를 넘어 세계화 시대에 민족 문화의 올바른 인식과 정체성 확립을 위해 꼭 필요하다. 그러나 급속한 근대화 물결 속의 사회적 풍토,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내용 부재, 국악 교수법에 관한 연구 부족 등으로 학교 현장에서는 국악을 외면하는 분위기가 팽배하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국악 감상 수업은 악곡을 한번 들려주거나 교사용 지도서에 의존한 악곡 설명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학생의 발달 단계와 국악 곡의 특성을 고려한 감상 지도 방법에 관해 다양한 연구 개발이 시급하다...
국악 감상은 다양한 음악 체험을 위한 당위를 넘어 세계화 시대에 민족 문화의 올바른 인식과 정체성 확립을 위해 꼭 필요하다. 그러나 급속한 근대화 물결 속의 사회적 풍토,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내용 부재, 국악 교수법에 관한 연구 부족 등으로 학교 현장에서는 국악을 외면하는 분위기가 팽배하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국악 감상 수업은 악곡을 한번 들려주거나 교사용 지도서에 의존한 악곡 설명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학생의 발달 단계와 국악 곡의 특성을 고려한 감상 지도 방법에 관해 다양한 연구 개발이 시급하다고 본다. 감상 지도에 관한 기존 연구는 대부분 악곡의 주제 및 개념에 대한 분석 능력, 악곡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종합적 능력, 음악 미적 감수성과 함께 창의적으로 해석하는 능력 등 주로 인지적 능력의 계발에 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초등학교 단계에서는 다양한 교수 매체를 활용하여 감상 곡을 노래 부르기, 율동하기, 악기 연주하며 감상하기, 시각 자료나 감상 지침서 활용하기 등과 같이 몸으로 직접 체험하여 감각적으로 수용하고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특히 가사가 없고 일상생활에서 친숙하지 않은 국악 기악곡을 감상할 때 온 몸을 사용하는 활동 중심의 감상은 흥미 유발 및 집중력을 높이고 다양한 음악적 표현력 또한 신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악 감상 제재곡의 대표적 악곡인 영산회상을 고찰한 후 초등학교 수준의 감상 지도 요소를 선정하고, 현재 초등학교에서 춘앵전의 반주 음악으로 감상되고 있는 평조회상을 중심으로 가창·기악·신체표현 영역의 통합 활동을 통한 감상 지도의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연구의 내용은 영산회상의 종류와 형성과정, 장단, 선율 및 시김새, 관련 궁중 정재 등을 고찰하고,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이해 요소 중 영산회상 관련 개념을 참고하여 초등학생의 수준에 맞는 영산회상 감상 지도 요소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선정한 감상 지도 요소를 장단과 궁중정재, 선율과 시김새, 음색과 연주 형태의 세 가지로 분류하여 각각 신체표현, 가창, 기악 활동과 연계하여 감상 지도 내용을 제시하였다. 감상 지도 내용은 학생들의 감상 수준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기초, 기본, 심화의 세 단계로 제시하였다. 첫째, 악곡을 감상하면서 장단과 궁중정재 파악을 위해 신체표현 활동과 함께 감상하도록 하였다. 기초 단계로 우리 춤의 기본 움직임 표현하며 감상하기, 기본 단계로 정재의 기본 춤사위 표현하며 감상하기, 심화 단계로 창의적으로 춤사위 표현하며 감상하기를 제시하였다. 둘째, 악곡을 감상하면서 선율과 시김새 파악을 위해 가창 활동과 함께 감상하도록 하였다. 기초 단계로 가락선 그리기 및 율명창 하며 감상하기, 기본 단계로 선율에 가사 넣어 부르며 감상하기, 심화 단계로 선율 재구성하여 노래 부르며 감상하기를 제시하였다. 셋째, 악곡을 감상하면서 음색과 연주형태 파악을 위해 기악 활동과 함께 감상하도록 하였다. 기초 단계로 악기 종류 및 연주형태 탐색하며 감상하기, 기본 단계로 음색 탐색하며 감상하기, 심화 단계로 악기 음색 흉내 내어 구음 표현하며 감상하기를 제시하였다. 넷째, 감상 지도의 실제에서는 평조회상 중 세령산, 염불도드리, 타령을 선정하여 위에 제시된 내용 중 기초 단계에 해당하는 방법을 감상 수업 모형에 적용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평조회상의 감상 지도 요소에 따라 활동을 연계하여 감상 지도 방법을 구안하였으나 각 악곡을 중심으로 한 감상 지도 연구는 미흡하다. 또한 평조회상 중 세령산, 염불도드리, 타령 이외의 곡과 현악 영산회상, 삼현 영산회상 등의 지도 방법에 대해서도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국악 감상은 다양한 음악 체험을 위한 당위를 넘어 세계화 시대에 민족 문화의 올바른 인식과 정체성 확립을 위해 꼭 필요하다. 그러나 급속한 근대화 물결 속의 사회적 풍토,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내용 부재, 국악 교수법에 관한 연구 부족 등으로 학교 현장에서는 국악을 외면하는 분위기가 팽배하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국악 감상 수업은 악곡을 한번 들려주거나 교사용 지도서에 의존한 악곡 설명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학생의 발달 단계와 국악 곡의 특성을 고려한 감상 지도 방법에 관해 다양한 연구 개발이 시급하다고 본다. 감상 지도에 관한 기존 연구는 대부분 악곡의 주제 및 개념에 대한 분석 능력, 악곡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종합적 능력, 음악 미적 감수성과 함께 창의적으로 해석하는 능력 등 주로 인지적 능력의 계발에 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초등학교 단계에서는 다양한 교수 매체를 활용하여 감상 곡을 노래 부르기, 율동하기, 악기 연주하며 감상하기, 시각 자료나 감상 지침서 활용하기 등과 같이 몸으로 직접 체험하여 감각적으로 수용하고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특히 가사가 없고 일상생활에서 친숙하지 않은 국악 기악곡을 감상할 때 온 몸을 사용하는 활동 중심의 감상은 흥미 유발 및 집중력을 높이고 다양한 음악적 표현력 또한 신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악 감상 제재곡의 대표적 악곡인 영산회상을 고찰한 후 초등학교 수준의 감상 지도 요소를 선정하고, 현재 초등학교에서 춘앵전의 반주 음악으로 감상되고 있는 평조회상을 중심으로 가창·기악·신체표현 영역의 통합 활동을 통한 감상 지도의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연구의 내용은 영산회상의 종류와 형성과정, 장단, 선율 및 시김새, 관련 궁중 정재 등을 고찰하고,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이해 요소 중 영산회상 관련 개념을 참고하여 초등학생의 수준에 맞는 영산회상 감상 지도 요소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선정한 감상 지도 요소를 장단과 궁중정재, 선율과 시김새, 음색과 연주 형태의 세 가지로 분류하여 각각 신체표현, 가창, 기악 활동과 연계하여 감상 지도 내용을 제시하였다. 감상 지도 내용은 학생들의 감상 수준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기초, 기본, 심화의 세 단계로 제시하였다. 첫째, 악곡을 감상하면서 장단과 궁중정재 파악을 위해 신체표현 활동과 함께 감상하도록 하였다. 기초 단계로 우리 춤의 기본 움직임 표현하며 감상하기, 기본 단계로 정재의 기본 춤사위 표현하며 감상하기, 심화 단계로 창의적으로 춤사위 표현하며 감상하기를 제시하였다. 둘째, 악곡을 감상하면서 선율과 시김새 파악을 위해 가창 활동과 함께 감상하도록 하였다. 기초 단계로 가락선 그리기 및 율명창 하며 감상하기, 기본 단계로 선율에 가사 넣어 부르며 감상하기, 심화 단계로 선율 재구성하여 노래 부르며 감상하기를 제시하였다. 셋째, 악곡을 감상하면서 음색과 연주형태 파악을 위해 기악 활동과 함께 감상하도록 하였다. 기초 단계로 악기 종류 및 연주형태 탐색하며 감상하기, 기본 단계로 음색 탐색하며 감상하기, 심화 단계로 악기 음색 흉내 내어 구음 표현하며 감상하기를 제시하였다. 넷째, 감상 지도의 실제에서는 평조회상 중 세령산, 염불도드리, 타령을 선정하여 위에 제시된 내용 중 기초 단계에 해당하는 방법을 감상 수업 모형에 적용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평조회상의 감상 지도 요소에 따라 활동을 연계하여 감상 지도 방법을 구안하였으나 각 악곡을 중심으로 한 감상 지도 연구는 미흡하다. 또한 평조회상 중 세령산, 염불도드리, 타령 이외의 곡과 현악 영산회상, 삼현 영산회상 등의 지도 방법에 대해서도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Having an appreciation for Korean music is necessary not only to experience a variety of music but also to recognize our own culture appropriately and establish identity in the international age. However, Korean music is being ignored at school due to the social climate in the waves of modernization...
Having an appreciation for Korean music is necessary not only to experience a variety of music but also to recognize our own culture appropriately and establish identity in the international age. However, Korean music is being ignored at school due to the social climate in the waves of modernization, the absence of Korean music contents in the National Curriculum, the lack of studies on teaching methods in Korean music, etc. In this situation, Korean music appreciation class is being conducted just on the level of letting students listen to a piece of music once or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piece based on the teacher's guide. To improve this situation, it is urgent to develop teaching methods in Korean music appreciation that consider a developmental stage of student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al pieces. Previous studies on teaching music appreciation mostl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abilities such as an ability to analyze the theme and concept of musical pieces, an ability to understand musical pieces synthetically, an ability to interpret musical pieces creatively with aesthetic sensibility. However, music appreciation class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should focus on receiving and expressing music sensuously through firsthand experiences such as singing the piece, dancing or doing rhythmic motions to the piece, playing the piece with various instruments, using visual aids or guidelines for appreciation, etc. Especially, activity-based appreciation methods that utilize all the body parts are expected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s and attention, and develop various musical expression abilities when students appreciate musical pieces that are unfamiliar or have no lyric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e the teaching method in Korean music appreciation through integrated musical activities that combine singing, playing instruments, and expressing with movement, focused on Pyeongjohoesang, which is currently appreciated at elementary school . For this purpose, Yeongsanhoesang, which is the representative Korean musical piece for appreciation, was examined and appreciation elements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were selected. To be specific, types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Yeongsanhoesang, Jangdan, melody, Sigimsae, related Korean court dances were examined, and appreciation elements that are appropriate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were selected after considering the elements related to Yeongsan hoesang among the ones of the 7th curriculum. After that, selected appreciation elem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Jangdan and Korean court dance, melody and Sigimsae, and tone and performance type. These three categories correspond to three musical activities, that is, expressing with movement, singing, and playing instruments. The contents of teaching were suggested based on this correspondence, and were also presented by three levels (beginning, intermediate, and advanced) so that students can choose activities by their abilities. The contents of teaching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ere guided to appreciate Pyeongjohoesang with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in order to understand Jangdan and Korean court dance. Three different level activities were designed as follows: appreciating while doing basic movement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s a beginning level, appreciating while doing basic movements of Korean court dance as an intermediate level, and appreciating while expressing creatively with body according to Hanbae as an advanced level. Second, students were guided to appreciate Pyeongjohoesang with singing activities in order to comprehend the melody and Sigimsae. Three different level activities were designed as follows: appreciating while drawing a melody-line and singing the melody with Yulmyeongchang as a beginning level, appreciating while adding lyrics to the melody as an intermediate level, and appreciating while singing the reconstructed melody as an advanced level. Third, students were guided to appreciate Pyeongjohoesang with instrumental activities in order to grasp the tone and performance type. Three different level activities were designed as follows: appreciating while exploring types of instruments and performances as a beginning level, appreciating while exploring the tone of the instrument as an intermediate level, appreciating while imitating the tone of the instrument with an oral sound as an advanced level. Fourth, for the application of designed activities, three musical pieces (Seryeongsan, Yeombludodueri, Taryeong) were selected from Pyeongjohoesang, and three beginning-level activities from each section were applied to the model of music appreciation class . This study developed the teaching method in appreciating Pyeongjohoesang by designing firsthand activities according to the appreciation elements that are supposed to be learned. However, it suggested teaching activities only for three musical pieces from Pyeongjohoesang, not for every piece from Pyeongjohoesang. Therefore, continuing research for the teaching methods in more musical pieces besides Seryeongsan, Yeombludodueri, Taryeong from Pyeongjohoesang, hyeonak yeongsanhoesang, and samhyeon yeongsanhoesang needs to be conducted.
Having an appreciation for Korean music is necessary not only to experience a variety of music but also to recognize our own culture appropriately and establish identity in the international age. However, Korean music is being ignored at school due to the social climate in the waves of modernization, the absence of Korean music contents in the National Curriculum, the lack of studies on teaching methods in Korean music, etc. In this situation, Korean music appreciation class is being conducted just on the level of letting students listen to a piece of music once or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piece based on the teacher's guide. To improve this situation, it is urgent to develop teaching methods in Korean music appreciation that consider a developmental stage of student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al pieces. Previous studies on teaching music appreciation mostl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abilities such as an ability to analyze the theme and concept of musical pieces, an ability to understand musical pieces synthetically, an ability to interpret musical pieces creatively with aesthetic sensibility. However, music appreciation class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should focus on receiving and expressing music sensuously through firsthand experiences such as singing the piece, dancing or doing rhythmic motions to the piece, playing the piece with various instruments, using visual aids or guidelines for appreciation, etc. Especially, activity-based appreciation methods that utilize all the body parts are expected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s and attention, and develop various musical expression abilities when students appreciate musical pieces that are unfamiliar or have no lyric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e the teaching method in Korean music appreciation through integrated musical activities that combine singing, playing instruments, and expressing with movement, focused on Pyeongjohoesang, which is currently appreciated at elementary school . For this purpose, Yeongsanhoesang, which is the representative Korean musical piece for appreciation, was examined and appreciation elements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were selected. To be specific, types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Yeongsanhoesang, Jangdan, melody, Sigimsae, related Korean court dances were examined, and appreciation elements that are appropriate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were selected after considering the elements related to Yeongsan hoesang among the ones of the 7th curriculum. After that, selected appreciation elem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Jangdan and Korean court dance, melody and Sigimsae, and tone and performance type. These three categories correspond to three musical activities, that is, expressing with movement, singing, and playing instruments. The contents of teaching were suggested based on this correspondence, and were also presented by three levels (beginning, intermediate, and advanced) so that students can choose activities by their abilities. The contents of teaching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ere guided to appreciate Pyeongjohoesang with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in order to understand Jangdan and Korean court dance. Three different level activities were designed as follows: appreciating while doing basic movement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as a beginning level, appreciating while doing basic movements of Korean court dance as an intermediate level, and appreciating while expressing creatively with body according to Hanbae as an advanced level. Second, students were guided to appreciate Pyeongjohoesang with singing activities in order to comprehend the melody and Sigimsae. Three different level activities were designed as follows: appreciating while drawing a melody-line and singing the melody with Yulmyeongchang as a beginning level, appreciating while adding lyrics to the melody as an intermediate level, and appreciating while singing the reconstructed melody as an advanced level. Third, students were guided to appreciate Pyeongjohoesang with instrumental activities in order to grasp the tone and performance type. Three different level activities were designed as follows: appreciating while exploring types of instruments and performances as a beginning level, appreciating while exploring the tone of the instrument as an intermediate level, appreciating while imitating the tone of the instrument with an oral sound as an advanced level. Fourth, for the application of designed activities, three musical pieces (Seryeongsan, Yeombludodueri, Taryeong) were selected from Pyeongjohoesang, and three beginning-level activities from each section were applied to the model of music appreciation class . This study developed the teaching method in appreciating Pyeongjohoesang by designing firsthand activities according to the appreciation elements that are supposed to be learned. However, it suggested teaching activities only for three musical pieces from Pyeongjohoesang, not for every piece from Pyeongjohoesang. Therefore, continuing research for the teaching methods in more musical pieces besides Seryeongsan, Yeombludodueri, Taryeong from Pyeongjohoesang, hyeonak yeongsanhoesang, and samhyeon yeongsanhoesang needs to be conducted.
Keyword
#초등음악교육 평조회상 영산회상 감상지도 통합활동 음악감상교육 국악감상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