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보육 현장에서 초임 국공립어린이집 원장들은 다양한 운영 관리와 역할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원장 본연의 역할수행을 잘하는 것은 기관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에 그들이 겪는 어려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초기 교육이나 지원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예비 원장을 조력해 줄 수 있는 기초자료나 원장 준비과정을 지원하는 제도적인 측면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2018년 하반기 사립 유아교육 기관 관련 문제로 인해 공공성과 투명성이 보다 강화되어야 한다는 여론이 일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현재 국공립어린이집 확대와 함께 원장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원장을 준비하는 인원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므로 원장 준비과정과 이들을 지원하는 제도에 대해 깊이 탐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공립어린이집 원장 심사 준비과정 경험이 있는 서울특별시 D구와 S구 현직 원장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과 집단 면담을 실시 하였고 그들이 준비 과정에서 겪은 다양한 경험 및 예비 원장에게 필요한 지원체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예비 원장들의 준비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 및 원장으로서의 직무와 역할수행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게 되었다.
1. 현직 원장들이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이 되는 준비과정에서 겪은 경험은 어떠한가? 2. 국공립어린이집 원장 준비과정에 있는 예비 원장에게 필요한 지원체계는 무엇인가?
본 연구를 위해 면담자료는 ...
논 문 요 약
현 국공립어린이집 원장 준비과정의 경험에 관한 연구
김 문 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이 윤 형)
현재 보육 현장에서 초임 국공립어린이집 원장들은 다양한 운영 관리와 역할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원장 본연의 역할수행을 잘하는 것은 기관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에 그들이 겪는 어려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초기 교육이나 지원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예비 원장을 조력해 줄 수 있는 기초자료나 원장 준비과정을 지원하는 제도적인 측면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2018년 하반기 사립 유아교육 기관 관련 문제로 인해 공공성과 투명성이 보다 강화되어야 한다는 여론이 일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현재 국공립어린이집 확대와 함께 원장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원장을 준비하는 인원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므로 원장 준비과정과 이들을 지원하는 제도에 대해 깊이 탐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공립어린이집 원장 심사 준비과정 경험이 있는 서울특별시 D구와 S구 현직 원장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과 집단 면담을 실시 하였고 그들이 준비 과정에서 겪은 다양한 경험 및 예비 원장에게 필요한 지원체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예비 원장들의 준비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 및 원장으로서의 직무와 역할수행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게 되었다.
1. 현직 원장들이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이 되는 준비과정에서 겪은 경험은 어떠한가? 2. 국공립어린이집 원장 준비과정에 있는 예비 원장에게 필요한 지원체계는 무엇인가?
본 연구를 위해 면담자료는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분석을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 범주화, 주제 분석 등을 통하여 내용을 정리하였다. 이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통해 ‘국공립어린이집 원장 준비과정 경험’과 ‘예비 원장 지원체계’에 대한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현직 원장들은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이 되기 위한 심사 준비과정에서 본인의 교육철학에 따라 각기 다른 준비를 하였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원장 심사 기준표에 따라 예산 편성 시 예산의 흐름을 이해하고 배우는 과정과 운영계획서 작성 시 다른 사람과 차별화되는 부분, 지역적 특색, 학부모의 요구를 파악하여 책자에 다 녹여 내는 부분에 대해 연구하는 자세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면접 심사 준비를 위해서는 지원하는 구 특성 및 추진 방향을 파악하여 PPT를 제작하고 제한된 시간 안에 자신의 철학과 전문성을 갖고 적절히 답하는 부분에 중점을 두고 준비해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예비 원장이 실제 원장으로서 역할수행에 도움이 될 기초 지원의 내용으로는 관리 영역별 원장의 직무와 역할, 조직문화에서 인간관계 형성 및 리더십 발휘, 국공립 기관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인식의 전환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공정한 원장 심의를 위해 필요한 절차와 과정을 서류 심사와 면접 심사, 심의 위원회 구성에 대해 살펴본 결과 심사과정이 전반적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원장들은 국공립 확충에 따른 질 높은 원장의 수요 충원을 위해 예비 원장들을 위한 교육에 관한 지원과 행정에 관한 지원이 동시에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교육에 관한 지원 측면에서는 예비 원장을 위한 교육이 정착되고 의무화될 수 있도록 지자체 차원보다 국가적 정책의 큰 테두리 안에서 체계화된 지침 마련 및 교육내용 보완 등의 교육지원 체계가 구축될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또한 행정에 관한 지원 측면에서는 교육에 대한 예산 투입과 대체 인력 지원, 초기 운영의 연계 시스템과 자격 기준 강화 제도가 마련되어 보육의 질적인 개선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원장 심사 준비과정 및 예비 원장들에게 필요한 지원체계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을 바탕으로 예비 원장의 성공적인 임용과 실제 원장으로서 역할 수행에 도움이 되고 더욱 활성화될 원장 준비과정의 공공성 기반 마련에 본 연구의 가치가 있으며, 예비 원장의 역량과 자질 강화에 필요한 교육과 행정에 관한 지원체계 방향 설정에 대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주요어 : 예비 원장, 국공립어린이집, 원장 준비과정, 원장 지원체계
* 본 논문은 2019년 6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임.
논 문 요 약
현 국공립어린이집 원장 준비과정의 경험에 관한 연구
김 문 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지도교수 이 윤 형)
현재 보육 현장에서 초임 국공립어린이집 원장들은 다양한 운영 관리와 역할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원장 본연의 역할수행을 잘하는 것은 기관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에 그들이 겪는 어려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초기 교육이나 지원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예비 원장을 조력해 줄 수 있는 기초자료나 원장 준비과정을 지원하는 제도적인 측면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2018년 하반기 사립 유아교육 기관 관련 문제로 인해 공공성과 투명성이 보다 강화되어야 한다는 여론이 일었다. 이러한 영향으로 현재 국공립어린이집 확대와 함께 원장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원장을 준비하는 인원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므로 원장 준비과정과 이들을 지원하는 제도에 대해 깊이 탐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공립어린이집 원장 심사 준비과정 경험이 있는 서울특별시 D구와 S구 현직 원장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과 집단 면담을 실시 하였고 그들이 준비 과정에서 겪은 다양한 경험 및 예비 원장에게 필요한 지원체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예비 원장들의 준비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 및 원장으로서의 직무와 역할수행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게 되었다.
1. 현직 원장들이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이 되는 준비과정에서 겪은 경험은 어떠한가? 2. 국공립어린이집 원장 준비과정에 있는 예비 원장에게 필요한 지원체계는 무엇인가?
본 연구를 위해 면담자료는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분석을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 범주화, 주제 분석 등을 통하여 내용을 정리하였다. 이에 대한 내용 분석을 통해 ‘국공립어린이집 원장 준비과정 경험’과 ‘예비 원장 지원체계’에 대한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현직 원장들은 국공립어린이집 원장이 되기 위한 심사 준비과정에서 본인의 교육철학에 따라 각기 다른 준비를 하였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원장 심사 기준표에 따라 예산 편성 시 예산의 흐름을 이해하고 배우는 과정과 운영계획서 작성 시 다른 사람과 차별화되는 부분, 지역적 특색, 학부모의 요구를 파악하여 책자에 다 녹여 내는 부분에 대해 연구하는 자세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면접 심사 준비를 위해서는 지원하는 구 특성 및 추진 방향을 파악하여 PPT를 제작하고 제한된 시간 안에 자신의 철학과 전문성을 갖고 적절히 답하는 부분에 중점을 두고 준비해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예비 원장이 실제 원장으로서 역할수행에 도움이 될 기초 지원의 내용으로는 관리 영역별 원장의 직무와 역할, 조직문화에서 인간관계 형성 및 리더십 발휘, 국공립 기관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인식의 전환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공정한 원장 심의를 위해 필요한 절차와 과정을 서류 심사와 면접 심사, 심의 위원회 구성에 대해 살펴본 결과 심사과정이 전반적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원장들은 국공립 확충에 따른 질 높은 원장의 수요 충원을 위해 예비 원장들을 위한 교육에 관한 지원과 행정에 관한 지원이 동시에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교육에 관한 지원 측면에서는 예비 원장을 위한 교육이 정착되고 의무화될 수 있도록 지자체 차원보다 국가적 정책의 큰 테두리 안에서 체계화된 지침 마련 및 교육내용 보완 등의 교육지원 체계가 구축될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또한 행정에 관한 지원 측면에서는 교육에 대한 예산 투입과 대체 인력 지원, 초기 운영의 연계 시스템과 자격 기준 강화 제도가 마련되어 보육의 질적인 개선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원장 심사 준비과정 및 예비 원장들에게 필요한 지원체계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을 바탕으로 예비 원장의 성공적인 임용과 실제 원장으로서 역할 수행에 도움이 되고 더욱 활성화될 원장 준비과정의 공공성 기반 마련에 본 연구의 가치가 있으며, 예비 원장의 역량과 자질 강화에 필요한 교육과 행정에 관한 지원체계 방향 설정에 대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주요어 : 예비 원장, 국공립어린이집, 원장 준비과정, 원장 지원체계
* 본 논문은 2019년 6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임.
A Study on Experiences of the Preparation Process Among Directors Working at Public Child Care Centers
by Kim, Mun Kyu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
A B S T R A C T
A Study on Experiences of the Preparation Process Among Directors Working at Public Child Care Centers
by Kim, Mun Kyu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 Lee, Yoon Hyung
First-time directors at public child care centers oftentimes have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various management skills and roles. Being fine directors is important because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quality of the child care center, thus education or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help them with their difficulties. However, there are very limited resources for future directors or the preparation process for becoming a director. In particular, because of the issues raised by private child care centers in 2018, the needs for of strengthening publicity and transparency have been raised. As a result, the demand for fine directors is increasing along with the expansion of the number of public child care center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educators preparing for the director position will grow. Thus,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in-depth process of preparation and support system that child care directors go through. In an effort to achieve the study’s objective, the researcher conducted an in-depth individual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six child care directors that had experiences with the preparation process at public child care centers in D-and S-Gu, Seoul. By examining various experiences that the directors had in the preparation process and figuring out what support system would be needed for future directors in the preparation process, the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directors in the preparation process and establish a foundation for them to better perform their job and role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developed.
1. What experiences did current directors have in the preparation process of becoming a director at a public child care centers? 2. What support system will be needed in the preparation process for future directors at public child care centers?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qualitative analysis method and summarized through coding, categorizing, and analyzing categories. As a result, conclusions were drawn based on the proposed research questions: “experiences with the preparation process of a director at public child care centers" and “support system for future directors.” The conclusions indicated that current directors went through different preparation based on their own education philosophies in the preparation process, but they all needed to understand how budget works in the budgeting process based on the evaluation criteria table and to figure out their discriminative features, local characteristics, and parent needs, reflecting them in a booklet. When preparing for the interview, they should make a PPT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s of the neighborhood they were applying for and focus on responding to questions based on their philosophy and professionalism within a limited time. Also, for the support system for future directors, they needed to carry out their jobs and roles as a director in each management domain, for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leadership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encourage a deeper understanding and awareness in relation to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centers. In addition, the procedures and processes including document review, interviews, and the development of committee members, needed to be a fairer selection process for future directors. Current directors insisted that there should be more support for education and administration to hire quality administrators and increase the professionalism of future directors. For education, there was a need for educational support system, such as systemized guidelines and modifying educational contents at a national level as opposed to the local government level, through providing mandatory education. For administration, there was a need to improve child care in quality with the increased education budgets, more support for substitutes, a connection system in management during early transition, and enhancement of qualification criteria. These findings shed light on experiences in the preparation process among current directors at public child care centers and a support system for future director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helped future directors’ preparation and successful appointment, current directors’ better performance, and further establishment of the selection process for public child care directors, and consequently contributed to establish support system with regards to education and administration for future directors and their strengthened roles and qualities.
Keywords : future director, public child care centers, preparation process, support system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June 2019.
A B S T R A C T
A Study on Experiences of the Preparation Process Among Directors Working at Public Child Care Centers
by Kim, Mun Kyu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 Lee, Yoon Hyung
First-time directors at public child care centers oftentimes have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various management skills and roles. Being fine directors is important because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quality of the child care center, thus education or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help them with their difficulties. However, there are very limited resources for future directors or the preparation process for becoming a director. In particular, because of the issues raised by private child care centers in 2018, the needs for of strengthening publicity and transparency have been raised. As a result, the demand for fine directors is increasing along with the expansion of the number of public child care center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educators preparing for the director position will grow. Thus,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in-depth process of preparation and support system that child care directors go through. In an effort to achieve the study’s objective, the researcher conducted an in-depth individual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six child care directors that had experiences with the preparation process at public child care centers in D-and S-Gu, Seoul. By examining various experiences that the directors had in the preparation process and figuring out what support system would be needed for future directors in the preparation process, the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directors in the preparation process and establish a foundation for them to better perform their job and role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developed.
1. What experiences did current directors have in the preparation process of becoming a director at a public child care centers? 2. What support system will be needed in the preparation process for future directors at public child care centers?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qualitative analysis method and summarized through coding, categorizing, and analyzing categories. As a result, conclusions were drawn based on the proposed research questions: “experiences with the preparation process of a director at public child care centers" and “support system for future directors.” The conclusions indicated that current directors went through different preparation based on their own education philosophies in the preparation process, but they all needed to understand how budget works in the budgeting process based on the evaluation criteria table and to figure out their discriminative features, local characteristics, and parent needs, reflecting them in a booklet. When preparing for the interview, they should make a PPT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s of the neighborhood they were applying for and focus on responding to questions based on their philosophy and professionalism within a limited time. Also, for the support system for future directors, they needed to carry out their jobs and roles as a director in each management domain, for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leadership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encourage a deeper understanding and awareness in relation to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centers. In addition, the procedures and processes including document review, interviews, and the development of committee members, needed to be a fairer selection process for future directors. Current directors insisted that there should be more support for education and administration to hire quality administrators and increase the professionalism of future directors. For education, there was a need for educational support system, such as systemized guidelines and modifying educational contents at a national level as opposed to the local government level, through providing mandatory education. For administration, there was a need to improve child care in quality with the increased education budgets, more support for substitutes, a connection system in management during early transition, and enhancement of qualification criteria. These findings shed light on experiences in the preparation process among current directors at public child care centers and a support system for future director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helped future directors’ preparation and successful appointment, current directors’ better performance, and further establishment of the selection process for public child care directors, and consequently contributed to establish support system with regards to education and administration for future directors and their strengthened roles and qualities.
Keywords : future director, public child care centers, preparation process, support system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June 2019.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