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애착이론과 청소년의 내현화 및 외현화 문제의 관계: 사회정서기술의 매개효과 Social-Emotional Intervening Pathways between Attachment Theory and Mental Health Symptoms: Finding Relevant Treatment Targets in Youth원문보기
본 연구는 청소년의 애착유형에 따른 내현화 및 외현화 문제의 관계에서 사회정서기술(인지행동치료 관련 기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도 소재의 중학교에 재학중인 144명을 대상으로 하여 성인애착유형 질문지(ECR;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를 실시하여 애착유형에 따라 분류하였다. 사회정서기술의 측정을 위해 근거기반 사회정서 강점척도(Social-Emotional Evidence-based Developmental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애착유형에 따른 내현화 및 외현화 문제의 관계에서 사회정서기술(인지행동치료 관련 기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도 소재의 중학교에 재학중인 144명을 대상으로 하여 성인애착유형 질문지(ECR;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를 실시하여 애착유형에 따라 분류하였다. 사회정서기술의 측정을 위해 근거기반 사회정서 강점척도(Social-Emotional Evidence-based Developmental Strengths Questionnaire; SEEDS Questionnaire)를 실시하였고, 외현화 및 내현화 문제를 측정하기 위해 청소년 자기행동평가척도(K-YSR: Korean-Youth Self Report)를 실시하였다. 애착 유형에 따라 내현화 및 외현화 문제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통계로 분석한 결과, 애착유형에 따라 내현화 및 외현화 문제의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현화 문제에서는 두려움형-몰입된-거부형-안정형 순으로 순위가 높았고, 외현화 문제에서는 몰입된-두려움-안정형-거부형 순으로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애착유형과 내현화 및 외현화 문제의 경로에서 사회정서기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는데, 사회정서기술 중 자기계발(Talent Building) 기술이 애착불안 차원과 내현화 문제 사이의 경로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시에 애착회피 차원과 내현화 문제 사이의 경로를 부분매개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애착유형과 외현화 및 내현화 문제와의 경로에서 사회정서기술의 매개역할을 알아봄으로써 애착유형에 따른 정신건강증상의 연관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고, 사회정서기술(인지행동치료 관련 기술)의 중요성을 언급하여 실제 현장에서의 활용방안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애착유형에 따른 내현화 및 외현화 문제의 관계에서 사회정서기술(인지행동치료 관련 기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도 소재의 중학교에 재학중인 144명을 대상으로 하여 성인애착유형 질문지(ECR;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를 실시하여 애착유형에 따라 분류하였다. 사회정서기술의 측정을 위해 근거기반 사회정서 강점척도(Social-Emotional Evidence-based Developmental Strengths Questionnaire; SEEDS Questionnaire)를 실시하였고, 외현화 및 내현화 문제를 측정하기 위해 청소년 자기행동평가척도(K-YSR: Korean-Youth Self Report)를 실시하였다. 애착 유형에 따라 내현화 및 외현화 문제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통계로 분석한 결과, 애착유형에 따라 내현화 및 외현화 문제의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현화 문제에서는 두려움형-몰입된-거부형-안정형 순으로 순위가 높았고, 외현화 문제에서는 몰입된-두려움-안정형-거부형 순으로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애착유형과 내현화 및 외현화 문제의 경로에서 사회정서기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는데, 사회정서기술 중 자기계발(Talent Building) 기술이 애착불안 차원과 내현화 문제 사이의 경로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시에 애착회피 차원과 내현화 문제 사이의 경로를 부분매개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애착유형과 외현화 및 내현화 문제와의 경로에서 사회정서기술의 매개역할을 알아봄으로써 애착유형에 따른 정신건강증상의 연관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고, 사회정서기술(인지행동치료 관련 기술)의 중요성을 언급하여 실제 현장에서의 활용방안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social emotional skills (CBT-related skil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ation · externalization problems according to adolescent’s attachment styles. Total of 144 students attending middle schools in Seoul, Gyeonggi Provi...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social emotional skills (CBT-related skil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ation · externalization problems according to adolescent’s attachment styles. Total of 144 students attending middle schools in Seoul, Gyeonggi Province,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attachment style by conducting an ECR (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s). Social emotional skills were examined by the Social-Emotional Evidence-Based Developmental Strengths Questionnaire (SEEDS Questionnaire), and Korean Youth Self Report (K-YSR)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problems of internalization · externalization. As a result of Nonparametric Statist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ores of internalization ·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attachment style. In the internalization problem, the level was higher in the order of fearful-preoccupied-dismissing-secure style, while in the case of externalization problem exhibi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rder of preoccupied-fearful-secure-dismissing style. The mediation effects of social emotional skills were examined in the relationship of attachment style and internalization · externalization problems. Mediation Analyses suggested that Talent Building skill i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dimension and internalization problem, and also the path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dimension and internalization problem.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e the link between attachment style and mental health symptoms and significance of social emotional skill (CBT-related skills) in practical fields.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social emotional skills (CBT-related skil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ation · externalization problems according to adolescent’s attachment styles. Total of 144 students attending middle schools in Seoul, Gyeonggi Province,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attachment style by conducting an ECR (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s). Social emotional skills were examined by the Social-Emotional Evidence-Based Developmental Strengths Questionnaire (SEEDS Questionnaire), and Korean Youth Self Report (K-YSR)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problems of internalization · externalization. As a result of Nonparametric Statist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ores of internalization ·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attachment style. In the internalization problem, the level was higher in the order of fearful-preoccupied-dismissing-secure style, while in the case of externalization problem exhibi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rder of preoccupied-fearful-secure-dismissing style. The mediation effects of social emotional skills were examined in the relationship of attachment style and internalization · externalization problems. Mediation Analyses suggested that Talent Building skill i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dimension and internalization problem, and also the path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dimension and internalization problem.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e the link between attachment style and mental health symptoms and significance of social emotional skill (CBT-related skills) in practical fields.
Keyword
#Attachment style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 CBT Strength-based questionnaire
학위논문 정보
저자
오시현
학위수여기관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심리학과 임상 및 상담심리학
지도교수
Chad Ebesutani
발행연도
2019
총페이지
36
키워드
Attachment style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problem behaviors CBT Strength-based questionnair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