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지방 중소도시의 도시 축소 현상의 시각화와 그 영향에 관한 실험적 예측 : 경북의 7개 축소도시를 대상으로 A Study of Visualization about Shrinking Phenomenon in Small and Medium-sized Local Cities and Experimental Forecast about the Impacts : Targeting 7 Shrinking Cities in Gyeongsangbuk-do원문보기
최근 전 세계적으로 저성장의 도시정책으로 방향이 전환되고 있다. 해외에서는 도시의 축소된 규모에 맞추어 재조정 하는 적정규모화(Rigthg-sizing) 혹은 현명한 축소(Shrinking Smart) 전략이 주목받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지방중소도시 역시 인구감소 및 고령화로 인한 도시의 축소 현상을 겪고 있으나 대응책이 미흡하며, 여전히 성장 위주의 도시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경북의 축소도시들을 대상으로 도시 축소 시뮬레이션을 시행하여 우리나라 축소도시가 당면한 실태를 시각적으로 제시하고, 도시 축소에 따른 재정적 영향의 예측 시도를 통하여 대책마련의 필요성을 경각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시뮬레이션에서는 국토연구원의 보고서에서 축소도시로 선정된 경북의 7개의 지방중소도시를 대상도시로 하였으며, 인구감소추세에 따라 네 시점(인구정점시점, 현재인구시점, 2030년 인구시점, 2040년 인구시점)을 설정하여 각 시점별 인구수에 상응하는 면적으로 도시를 축소하는 시뮬레이션을 시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현재 지방중소도시의 도시지역 면적은 인구수에 비하여 크게 팽창되어 있는 상태임을 확인하였다. 현재 인구수에 필요한 면적은 현재 도시지역 면적의 약30~40%에 불과하며, 향후 약 20년 후에는 현재 도시지역의 약 20%만을 필요로 하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도시 축소에 따른 재정적 변화 예측에 관하여 대중교통시설의 유지·관리비용, 공공시설 유지·관리비용, 도시지역 행정운영비용을 중심으로 재정적 변화를 개괄적으로 예측하였으며, 그 결과 도시가 축소됨에 따라 도시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저성장의 도시정책으로 방향이 전환되고 있다. 해외에서는 도시의 축소된 규모에 맞추어 재조정 하는 적정규모화(Rigthg-sizing) 혹은 현명한 축소(Shrinking Smart) 전략이 주목받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지방중소도시 역시 인구감소 및 고령화로 인한 도시의 축소 현상을 겪고 있으나 대응책이 미흡하며, 여전히 성장 위주의 도시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경북의 축소도시들을 대상으로 도시 축소 시뮬레이션을 시행하여 우리나라 축소도시가 당면한 실태를 시각적으로 제시하고, 도시 축소에 따른 재정적 영향의 예측 시도를 통하여 대책마련의 필요성을 경각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시뮬레이션에서는 국토연구원의 보고서에서 축소도시로 선정된 경북의 7개의 지방중소도시를 대상도시로 하였으며, 인구감소추세에 따라 네 시점(인구정점시점, 현재인구시점, 2030년 인구시점, 2040년 인구시점)을 설정하여 각 시점별 인구수에 상응하는 면적으로 도시를 축소하는 시뮬레이션을 시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현재 지방중소도시의 도시지역 면적은 인구수에 비하여 크게 팽창되어 있는 상태임을 확인하였다. 현재 인구수에 필요한 면적은 현재 도시지역 면적의 약30~40%에 불과하며, 향후 약 20년 후에는 현재 도시지역의 약 20%만을 필요로 하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도시 축소에 따른 재정적 변화 예측에 관하여 대중교통시설의 유지·관리비용, 공공시설 유지·관리비용, 도시지역 행정운영비용을 중심으로 재정적 변화를 개괄적으로 예측하였으며, 그 결과 도시가 축소됨에 따라 도시 인프라 유지·관리비용의 효율이 최소35%~최대90%까지 증가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지방 중소도시들은 저출산·고령화·저성장이라는 메가트렌드를 인정해야 한다. 줄어드는 미래를 받아들여야 현실에 맞는 정책을 수립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서 우리나라 지방중소도시의 축소 현상의 심각성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저성장의 도시정책으로 방향이 전환되고 있다. 해외에서는 도시의 축소된 규모에 맞추어 재조정 하는 적정규모화(Rigthg-sizing) 혹은 현명한 축소(Shrinking Smart) 전략이 주목받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지방중소도시 역시 인구감소 및 고령화로 인한 도시의 축소 현상을 겪고 있으나 대응책이 미흡하며, 여전히 성장 위주의 도시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경북의 축소도시들을 대상으로 도시 축소 시뮬레이션을 시행하여 우리나라 축소도시가 당면한 실태를 시각적으로 제시하고, 도시 축소에 따른 재정적 영향의 예측 시도를 통하여 대책마련의 필요성을 경각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시뮬레이션에서는 국토연구원의 보고서에서 축소도시로 선정된 경북의 7개의 지방중소도시를 대상도시로 하였으며, 인구감소추세에 따라 네 시점(인구정점시점, 현재인구시점, 2030년 인구시점, 2040년 인구시점)을 설정하여 각 시점별 인구수에 상응하는 면적으로 도시를 축소하는 시뮬레이션을 시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현재 지방중소도시의 도시지역 면적은 인구수에 비하여 크게 팽창되어 있는 상태임을 확인하였다. 현재 인구수에 필요한 면적은 현재 도시지역 면적의 약30~40%에 불과하며, 향후 약 20년 후에는 현재 도시지역의 약 20%만을 필요로 하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도시 축소에 따른 재정적 변화 예측에 관하여 대중교통시설의 유지·관리비용, 공공시설 유지·관리비용, 도시지역 행정운영비용을 중심으로 재정적 변화를 개괄적으로 예측하였으며, 그 결과 도시가 축소됨에 따라 도시 인프라 유지·관리비용의 효율이 최소35%~최대90%까지 증가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지방 중소도시들은 저출산·고령화·저성장이라는 메가트렌드를 인정해야 한다. 줄어드는 미래를 받아들여야 현실에 맞는 정책을 수립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서 우리나라 지방중소도시의 축소 현상의 심각성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Recently, the city development policies are being switched to the policies focusing on recession worldwide. Therefore, each country is focusing on the strategy, which is rebuilding the size of the city such as ‘right sizing’ or ‘shrinking smart’. Even though South Korea is also facing the phenomena ...
Recently, the city development policies are being switched to the policies focusing on recession worldwide. Therefore, each country is focusing on the strategy, which is rebuilding the size of the city such as ‘right sizing’ or ‘shrinking smart’. Even though South Korea is also facing the phenomena that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re downsized because of a decrease in population and an aging society problem, there is lack of solutions and even they are still planning city development policies based on prospect of high growth.
For that reason, this study tried to run downsizing simulation with shrinking local cities in Gyeongsangbuk-do and to visualize the realities that the cities are facing. So this study aims to forecast financial impacts of the results and to warn necessity for preparing measures as the cities are shrinking.
In this simulation, 7 small and medium-sized local cities are targeted which were chosen as shrinking cities in Gyeongsangbuk-do. And the simulation set 4 viewpoints (population peak, current population, 2030 population, and 2040 population) and downsized the cities’ area to the size corresponding the number of population in each viewpoint.
Results from the simulation show the fact that the area of small and medium sized local cities are expanded a lot compared to the current number of population. In addition, we could find the results that needed area depends on the population is merely 20% to 30% of actual urban area and also it will be reduced to 20% in next 20 years. Moreover, this study is expecting the financial variation in running costs of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and public facilities and administrative managing costs in the cities. As a result, the urban infrastructure running costs efficiency increased at least 30% to 90% at a maximum as the cities shrink.
Small and medium sized local cities have to admit that they are facing a ‘trends’ such as low birthrate, aging society, and sluggish economic growth and have to accept shrinking futures to establish realistic policies. Therefo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warning seriousness of shrinking phenomena that small and medium sized local cities are facing in Korea.
Recently, the city development policies are being switched to the policies focusing on recession worldwide. Therefore, each country is focusing on the strategy, which is rebuilding the size of the city such as ‘right sizing’ or ‘shrinking smart’. Even though South Korea is also facing the phenomena that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re downsized because of a decrease in population and an aging society problem, there is lack of solutions and even they are still planning city development policies based on prospect of high growth.
For that reason, this study tried to run downsizing simulation with shrinking local cities in Gyeongsangbuk-do and to visualize the realities that the cities are facing. So this study aims to forecast financial impacts of the results and to warn necessity for preparing measures as the cities are shrinking.
In this simulation, 7 small and medium-sized local cities are targeted which were chosen as shrinking cities in Gyeongsangbuk-do. And the simulation set 4 viewpoints (population peak, current population, 2030 population, and 2040 population) and downsized the cities’ area to the size corresponding the number of population in each viewpoint.
Results from the simulation show the fact that the area of small and medium sized local cities are expanded a lot compared to the current number of population. In addition, we could find the results that needed area depends on the population is merely 20% to 30% of actual urban area and also it will be reduced to 20% in next 20 years. Moreover, this study is expecting the financial variation in running costs of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and public facilities and administrative managing costs in the cities. As a result, the urban infrastructure running costs efficiency increased at least 30% to 90% at a maximum as the cities shrink.
Small and medium sized local cities have to admit that they are facing a ‘trends’ such as low birthrate, aging society, and sluggish economic growth and have to accept shrinking futures to establish realistic policies. Therefor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warning seriousness of shrinking phenomena that small and medium sized local cities are facing in Korea.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