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구밀도경사함수를 이용한 도시축소현상 진단 - 영주시를 사례로 -
A Diagnosis of Shrinking City Using Population Gradient Curve: A Case Study on the City of Yeong-ju 원문보기

地域硏究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35 no.4, 2019년, pp.33 - 45  

김민석 (국립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  변태근 ((주)유진도시건축연구소) ,  이상호 (국립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전 세계적인 저성장 기조로 인하여 주요 선진국에서는 도시축소문제가 도시정책의 주요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국토연구원의 연구결과(2016)에 따르면 우리나라 77개 도시 중 23개 도시가 지속적 또는 일시적 축소도시로 진단되었다. 그러나 축소도시를 진단하는 기준은 단순한 인구통계학적인 측면에 머물러 있으며, 도시의 공간적 축소패턴은 고려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간구조 분석방법의 하나인 인구밀도경사함수를 이용하여 다핵도시인 영주시의 특성을 고려한 도시축소현상을 진단하였다. 진단결과, 영주시는 CBD의 인구밀도 및 인구밀도경사도가 증가하는 축소도시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동지역의 경우 CBD의 인구밀도 및 인구밀도경사도가 감소하는 스프롤(sprawl) 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풍기읍의 경우 CBD의 인구밀도만 감소하는 단순축소 현상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 도시 내에서도 중심지마다 공간변화의 패턴이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다핵구조를 갖는 도시의 경우에는 도시 전체뿐만 아니라 세부 지역에 대한 개별적인 진단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the global low growth trend, urban shrinkage is a major issue of urban policy in major industrialized countrie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of the KRIHS(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16), 23 out of 77 cities in Korea were diagnosed as continuous or temporary shrinki...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별 특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다핵공간구조를 반영할 수 있는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구밀도경사함수의 기본식에부도심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더미변수를 추가하였으며, 분석의 범위를 도심과 부도심으로 구분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 하지만, 기존의 인구밀도경사함수는 도시 공간구조의 특성을 배제하여 단일 도심으로 가정하고 분석하였으며, 분석의 편의를 위하여 읍면동의 행정구역 단위로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석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기본모델에 더미변수를 추가하거나 CBD의 위치를 조정하는 등의 변화를 주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영주시는 축소도시로 나타났으며, 영주시의 공간적인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모델의 변화를 주어 분석한 결과, 부도심(풍기읍)을 더미변수로 처리하는 것이 설명력이 높게 나타났다.
  • 본 연구는 다핵구조의 중·소도시 중 비교적 단순한 구조(1도심-1부도심)인 영주시를 공간적 범위로 하여 도시축소현상을 진단하였다. 통계자료로 파악할 수 있는 동지역으로의 인구집중 및 외곽지역의 인구감소 현상을 공간상에서 좀 더 정확하게 파악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가설 설정

  • 하지만, 기존의 인구밀도경사함수는 도시 공간구조의 특성을 배제하여 단일 도심으로 가정하고 분석하였으며, 분석의 편의를 위하여 읍면동의 행정구역 단위로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석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기본모델에 더미변수를 추가하거나 CBD의 위치를 조정하는 등의 변화를 주어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축소란? 도시축소는 지속적이고 심각한 인구감소와 함께 나타나는 물리적 스톡의 공급 과잉현상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구형수, 2016). 우리나라의 중소도시들은 저출생·고령화로 인한 도시축소에 직면해있으며, 국토연구원(구형수, 2016)에서는 우리나라 77개 도시 중 23개 도시를 지속적 또는 일시적 축소도시로 진단하였다.
도시의 공간구조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도시의 공간구조는 도시의 중심지가 하나인 단핵구 조와 도시의 중심지가 도심 및 1개 이상의 부도심으로 구분되어 있는 다핵구조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구밀도경사함수를 활용하여 도시축소의 공간적인 현황을 진단하였으며, 특히 인구밀도경사함수에도시의 특성(다핵구조)을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도시의 공간적 축소패턴을 고려하는 도시공간구조 분석방법에는 어떤것이 있는가? 그러나 축소도시를 진단하는 기준은 단순한 인구통계학적인 측면에 머물러 있으며, 도시의 공간적 축소패턴은 고려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간구조 분석방법의 하나인 인구밀도경사함수를 이용하여 다핵도시인 영주시의 특성을 고려한 도시축소현상을 진단하였다. 진단결과, 영주시는 CBD의 인구밀도 및 인구밀도경사도가 증가하는 축소도시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강병기.최봉문.권일, 1997, 서울 인구밀도분포의 공간적 변화 분석 및 예측 시뮬레이션, 국토계획, 제32권 6호, pp.49-65. 

  2. 강세진, 2009, 인천광역시 내 중심기능의 유형 분류 및 공간적 분포패턴 변화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44권 2호, pp.195-207. 

  3. 구형수.김태환.이승욱.민범식, 2016, 저성장 시대의 축소도시 실태와 정책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4. 김재익.정현욱, 2006, 대도시 인구 및 주택밀도함수의 특성 - 구광역시 사례연구, 주택연구, 제14권 1호, pp.195-213. 

  5. 김형기.서경천.이성호, 2003, 도심의 인구밀도곡선 및 스카이라인 곡선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38권 5호, pp.231-246. 

  6. 남광우.이성호, 2001, 인구밀도 및 인구잠재력의 공간적 변동성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1966-1995년)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36권 4호, pp.57-76. 

  7. 신정엽.김진영, 2012, 도시 스프롤에 대한 논의 재조명과 공간 분석 방법론에 토대한 도시 스프롤 측정 연구-수도권을 사례로, 서울법학, 제19권 3호, pp.317-354. 

  8. 윤갑식.이갑정, 2013, 인구밀도경사함수를 이용한 우리나라 도시공간구조의 지역별.규모별 변화특성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16권 3호, pp.445-457. 

  9. 이상준.유완, 1988, 가로망에 따른 인구밀도 및 지가분포의 변화,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제8권 2호, pp.281-284. 

  10. 이상호, 2018, 한국의 지방소멸 2018 - 2013-2018년까지의 추이와 비수도권 인구이동을 중심으로, 고용동향브리프, 한국고용정보원. 

  11. 이희연.심재헌, 2003, GIS지리정보학, 법문사. 

  12. 정창무.이춘근, 2004, 수도권 공간구조의 적정성 분석 - 인구분포를 중심으로, 규제연구, 제13권 1호, pp.101-129. 

  13. 최형관.장문현.이민석.김화환, 2018, 정규 격자망 분석을 통한 도시쇠퇴 측정 고도화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24권 1호, pp.143-158. 

  14. 최호현.김선범, 2011, 울산시 공간구조의 변화특성,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제27권 3호, pp.261-268. 

  15. 한상욱.오상진.박병호, 2008, 대도시 인구중심 및 밀도변화 패턴 분석 - 50-100만 도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0권 3호, pp.67-82. 

  16. 허윤경.이주영, 2009, 울산의 도시공간구조 변화 분석, 국토계획, 제44권 2호, pp.111-121. 

  17. 황민아.김정은.윤기범.황희연, 2012, 도시 내 방향별 섹터의 지가분포 특성에 대한 시계열적 분석-청주시 도심으로부터 거리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47권 4호, pp.293-313. 

  18. 국가통계포털(KOSIS), http://kosis.kr. 

  19.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 http://sgis.kostat.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