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일과 삶의 균형, 직원몰입, 조직지원인식, 이직효과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일과 삶의 균형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직원몰입의 매개효과와 조직지원 인식의 조절 효과를 포함하는 조절된 매개효과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밀레니얼 세대가 소속된 조직의 조직지원인식에 따라 일과 삶의 균형이 어떻게 직원몰입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을 통한 개인과 조직측면에서 시사점을 제공하자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을 바탕으로 연구문제를 총5가지 설정하였다. 첫째, 일과 삶의 균형이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일과 삶의 균형이 직원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직원몰입은 이직이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조직지원인식은 일과 삶의 균형과 직원몰입의 영향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지니는가? 다섯째, 일과 삶의 균형이 직원몰입을 매개하여 이직의도에 미치는 여향에서 조직 지원 인식은 조절 효과를 갖는가?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검증된 변인간의 관계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1982년에서 2000년에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의 인터넷활용 특성을 반영하여 온라인과 모바일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19년 4월부터 약2달간 258부를 회수하여 데이터 코팅과정을 거쳐 ...
본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일과 삶의 균형, 직원몰입, 조직지원인식, 이직효과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일과 삶의 균형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직원몰입의 매개효과와 조직지원 인식의 조절 효과를 포함하는 조절된 매개효과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밀레니얼 세대가 소속된 조직의 조직지원인식에 따라 일과 삶의 균형이 어떻게 직원몰입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을 통한 개인과 조직측면에서 시사점을 제공하자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을 바탕으로 연구문제를 총5가지 설정하였다. 첫째, 일과 삶의 균형이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일과 삶의 균형이 직원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직원몰입은 이직이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조직지원인식은 일과 삶의 균형과 직원몰입의 영향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지니는가? 다섯째, 일과 삶의 균형이 직원몰입을 매개하여 이직의도에 미치는 여향에서 조직 지원 인식은 조절 효과를 갖는가?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검증된 변인간의 관계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1982년에서 2000년에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의 인터넷활용 특성을 반영하여 온라인과 모바일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19년 4월부터 약2달간 258부를 회수하여 데이터 코팅과정을 거쳐 SPSS 23.0, AMOS 23.0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 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일과 삶의 균형은 밀레니얼 세대 구성원의 이직의도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확인되어 일과 삶의 균형은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역역 상관관계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일과 삶의 균형은 밀레니얼 세대의 직원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확인 하여 일과 삶의 균형이 직원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셋째, 직원몰입이 밀레니얼 세대의 이직의도에 주는 영향 관계를 확인한 결과 부적(-)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직원몰입은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역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밀레니얼 세대의 구성원들의 일과 삶의 균형과 이직의도 사이에서 직원몰입의 매개효과에 대해 검증한 결과에서 유의미한 부적(-)영향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조직지원인식은 직원몰입을 매개하여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지원인식에 따라 조절되는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밀레니얼 세대 구성원의 일과 삶의 균형이 직원몰입을 거쳐 이직의도에 미치는 간접적인 부적(-)효과는 조직지원인식수준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기존과 다른 가치관과 특성을 지니고 있는 밀레니얼 세대가 사회에 핵심 인력으로 성장함에 있어, 52시간 단축근로는 조직에 있어 또 하나의 연구과제로 떠올랐다. 그러나 밀레니얼 세대의 일과 삶의 균형에서 오는 만족감을 통해 직장 내에서의 직원몰입과 이직의도를 조직지원 인식에 따른 구조적인 효과의 연구는 부족했다. 따라서 본 실증분석 연구를 통해 밀레니얼 세대의 구성원들을 일을 바라보는 가치관을 이해하고 이직의도를 낮추는 방안에 대해 적극적인 탐색이 필요하며, 일과 삶의 균형은 직원몰입의 상호작용에 있어 조직에서 받는 조직지원인식의 정도에 따라 조절되는 강화효과의 검증을 통하여 조직에서 밀레니얼 세대의 인적관리의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일과 삶의 균형, 직원몰입, 조직지원인식, 이직효과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일과 삶의 균형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직원몰입의 매개효과와 조직지원 인식의 조절 효과를 포함하는 조절된 매개효과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밀레니얼 세대가 소속된 조직의 조직지원인식에 따라 일과 삶의 균형이 어떻게 직원몰입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을 통한 개인과 조직측면에서 시사점을 제공하자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을 바탕으로 연구문제를 총5가지 설정하였다. 첫째, 일과 삶의 균형이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일과 삶의 균형이 직원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직원몰입은 이직이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조직지원인식은 일과 삶의 균형과 직원몰입의 영향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지니는가? 다섯째, 일과 삶의 균형이 직원몰입을 매개하여 이직의도에 미치는 여향에서 조직 지원 인식은 조절 효과를 갖는가?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검증된 변인간의 관계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1982년에서 2000년에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의 인터넷활용 특성을 반영하여 온라인과 모바일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19년 4월부터 약2달간 258부를 회수하여 데이터 코팅과정을 거쳐 SPSS 23.0, AMOS 23.0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 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일과 삶의 균형은 밀레니얼 세대 구성원의 이직의도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확인되어 일과 삶의 균형은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역역 상관관계의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일과 삶의 균형은 밀레니얼 세대의 직원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확인 하여 일과 삶의 균형이 직원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셋째, 직원몰입이 밀레니얼 세대의 이직의도에 주는 영향 관계를 확인한 결과 부적(-)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직원몰입은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역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밀레니얼 세대의 구성원들의 일과 삶의 균형과 이직의도 사이에서 직원몰입의 매개효과에 대해 검증한 결과에서 유의미한 부적(-)영향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조직지원인식은 직원몰입을 매개하여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지원인식에 따라 조절되는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밀레니얼 세대 구성원의 일과 삶의 균형이 직원몰입을 거쳐 이직의도에 미치는 간접적인 부적(-)효과는 조직지원인식수준이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기존과 다른 가치관과 특성을 지니고 있는 밀레니얼 세대가 사회에 핵심 인력으로 성장함에 있어, 52시간 단축근로는 조직에 있어 또 하나의 연구과제로 떠올랐다. 그러나 밀레니얼 세대의 일과 삶의 균형에서 오는 만족감을 통해 직장 내에서의 직원몰입과 이직의도를 조직지원 인식에 따른 구조적인 효과의 연구는 부족했다. 따라서 본 실증분석 연구를 통해 밀레니얼 세대의 구성원들을 일을 바라보는 가치관을 이해하고 이직의도를 낮추는 방안에 대해 적극적인 탐색이 필요하며, 일과 삶의 균형은 직원몰입의 상호작용에 있어 조직에서 받는 조직지원인식의 정도에 따라 조절되는 강화효과의 검증을 통하여 조직에서 밀레니얼 세대의 인적관리의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life balance, employee engagemen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turnover effects on the members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This study examines how the balance of work and life affects employee engagement and t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life balance, employee engagemen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turnover effects on the members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This study examines how the balance of work and life affects employee engagement and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the organization support of the organization that the Millennial generation belongs to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aspect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objectives, fiv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does the balance of work and lif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Second, does the balance of work and lif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mployee's engagement? Third, does employee engagemen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Fourth, does organizational support awareness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employee engagement? Fifth, does organizational support awareness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that affects employee turnover intention? In order to do this, a research model was set up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hat were verified through previous researches, and a questionnaire survey using online and mobile was conducted the Millennium generation born in 1982 to 2000. From April to June 2019, 258 copies were collected, and the data was coated and process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The data description are as follow.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balance of work and lif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members, so that the balance of work and life was able to confirm the role of the reverse correlation that reduces the turnover intention. Second, the balance of work and life confirmed the static influence on the employee involvement of the Millennium generation, confirming that work-life balance positively affects employee engagement. Third, the influence of employee engagemen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Millennial showed the negative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mployee engagement has negative correlation to reduces the turnover intention.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ee engagement between the work - life balance and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members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Fifth, the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was mediated by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influence of employee engagement on the turnover intention. The indirect negative effects of the worker-life balance of the Millennium generation on the turnover intention through employee engagement were found to be lower as the level of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increased. 52-hour shortening work-period has become another research task for the organization of millennial generation, whom have a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existing generation.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on the structural effects of organizational support perceptions of employee engage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workplace through satisfaction with the work-life balance of the Millennium generation. Therefore, through this empirical analysis study,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xplore the ways of understanding the values of workers in the Millennial generation and lowering their turnover intentions. The balance of work and life suggested practical measures for the management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in the organization through the verification of the strengthening effect tha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by the organization in the interaction of the employee eng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life balance, employee engagemen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turnover effects on the members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This study examines how the balance of work and life affects employee engagement and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the organization support of the organization that the Millennial generation belongs to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aspect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objectives, fiv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does the balance of work and lif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Second, does the balance of work and lif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mployee's engagement? Third, does employee engagemen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Fourth, does organizational support awareness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employee engagement? Fifth, does organizational support awareness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that affects employee turnover intention? In order to do this, a research model was set up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hat were verified through previous researches, and a questionnaire survey using online and mobile was conducted the Millennium generation born in 1982 to 2000. From April to June 2019, 258 copies were collected, and the data was coated and process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The data description are as follow.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balance of work and lif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members, so that the balance of work and life was able to confirm the role of the reverse correlation that reduces the turnover intention. Second, the balance of work and life confirmed the static influence on the employee involvement of the Millennium generation, confirming that work-life balance positively affects employee engagement. Third, the influence of employee engagement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Millennial showed the negative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mployee engagement has negative correlation to reduces the turnover intention.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ee engagement between the work - life balance and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members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Fifth, the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was mediated by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influence of employee engagement on the turnover intention. The indirect negative effects of the worker-life balance of the Millennium generation on the turnover intention through employee engagement were found to be lower as the level of recogni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increased. 52-hour shortening work-period has become another research task for the organization of millennial generation, whom have a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existing generation.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on the structural effects of organizational support perceptions of employee engage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workplace through satisfaction with the work-life balance of the Millennium generation. Therefore, through this empirical analysis study,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xplore the ways of understanding the values of workers in the Millennial generation and lowering their turnover intentions. The balance of work and life suggested practical measures for the management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in the organization through the verification of the strengthening effect tha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by the organization in the interaction of the employee engagemen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