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비혼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이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그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비혼 1인 가구원 308명이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및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
본 연구는 비혼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이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그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비혼 1인 가구원 308명이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및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Pearson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관련변인에 대한 경향성은 미혼 1인 가구가 이혼 및 사별 1인 가구보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고 가족투사 과정의 분화수준은 낮았다. 전반적인 생활만족도 수준은 미혼 1인 가구가 이혼 및 사별 1인 가구보다 더 높았으며 경제 영역을 제외한 생활만족도 모든 하위변인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생활만족도 하위변인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미혼 1인 가구에서는 모든 생활만족도 하위변인에서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반면, 이혼 및 사별 1인 가구의 경우, 30세 이상 40세 미만의 연령대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모든 생활만족도 하위변인 영역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월평균 소득이 300만원 이상의 가구원이 다른 가구원에 비해 가장 높은 생활만족도 수준을 나타냈으며, 200만원 미만의 가구원이 생활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셋째, 미혼 1인 가구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자아통합, 가족투사 과정, 가족퇴행의 분화수준이 높을수록, 직무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자기조절능력이 높을수록, 평가적, 물질적 지지를 많이 받는다고 인지할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넷째, 이혼 및 사별 1인 가구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주변으로부터 정보적인 도움을 많이 받는다고 느낄수록, 조사대상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직무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미혼 1인 가구와 이혼 및 사별 1인 가구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하여 살펴보면, 미혼 1인 가구는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인구사회학적 변인이 없는 반면, 이혼 및 사별 1인 가구는 연령이 낮고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직업적 요인에서 근로유형은 유의하지 않았고 직무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결과는 두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미혼 1인 가구에서는 심리적 요인 중 자아통합, 가족투사 과정, 정서적 단절, 가족퇴행, 자기조절능력이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이혼 및 사별 1인 가구에서는 심리적 요인의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사회적 지지 요인에서도 물질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가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난 미혼 1인 가구는 정보적 지지가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난 이혼 및 사별 1인 가구와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는 비혼 1인 가구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변인, 직업적 요인, 심리적 요인, 사회적 지지 요인의 영향력을 밝혔고, 결혼경험 유무에 따라 집단을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비혼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이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그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비혼 1인 가구원 308명이었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및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Pearson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관련변인에 대한 경향성은 미혼 1인 가구가 이혼 및 사별 1인 가구보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이 높았고 가족투사 과정의 분화수준은 낮았다. 전반적인 생활만족도 수준은 미혼 1인 가구가 이혼 및 사별 1인 가구보다 더 높았으며 경제 영역을 제외한 생활만족도 모든 하위변인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생활만족도 하위변인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미혼 1인 가구에서는 모든 생활만족도 하위변인에서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반면, 이혼 및 사별 1인 가구의 경우, 30세 이상 40세 미만의 연령대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모든 생활만족도 하위변인 영역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월평균 소득이 300만원 이상의 가구원이 다른 가구원에 비해 가장 높은 생활만족도 수준을 나타냈으며, 200만원 미만의 가구원이 생활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셋째, 미혼 1인 가구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자아통합, 가족투사 과정, 가족퇴행의 분화수준이 높을수록, 직무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자기조절능력이 높을수록, 평가적, 물질적 지지를 많이 받는다고 인지할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넷째, 이혼 및 사별 1인 가구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주변으로부터 정보적인 도움을 많이 받는다고 느낄수록, 조사대상자의 연령이 낮을수록, 직무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미혼 1인 가구와 이혼 및 사별 1인 가구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하여 살펴보면, 미혼 1인 가구는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인구사회학적 변인이 없는 반면, 이혼 및 사별 1인 가구는 연령이 낮고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직업적 요인에서 근로유형은 유의하지 않았고 직무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결과는 두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미혼 1인 가구에서는 심리적 요인 중 자아통합, 가족투사 과정, 정서적 단절, 가족퇴행, 자기조절능력이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이혼 및 사별 1인 가구에서는 심리적 요인의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사회적 지지 요인에서도 물질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가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난 미혼 1인 가구는 정보적 지지가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난 이혼 및 사별 1인 가구와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는 비혼 1인 가구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변인, 직업적 요인, 심리적 요인, 사회적 지지 요인의 영향력을 밝혔고, 결혼경험 유무에 따라 집단을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unmarried one-person households and to examine their influence on them. This study was targeting 308 unmarried one-person household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 WIN 25.0 program using frequency, 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unmarried one-person households and to examine their influence on them. This study was targeting 308 unmarried one-person household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 WIN 25.0 program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regarding the overall tendency of study subjects’ related variables, one-person households without marriage experience had higher levels of job stress than one-person households with marriage experience, and the level of differentiation of family projections was lower. The overall level of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in one-person households without marriage experience than in one-person households with marriage experienc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ll sub-variables of life satisfaction except economic area.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of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the subjec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in all the life satisfaction sub-variables in one-person households without marriage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one-person households with marriage experience, the age group of 30 to 40 years old had the highest satisfaction in the sub-variables of all life satisfaction categories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And Households with monthly average income of more than 3 million won showed the highest level of life satisfaction compared to other household, and household members with less than 2 million won had the lowest life satisfaction. Third,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related variable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one-person households without marriage experience was higher in life satisfaction with the higher the level of self-integration, family projection processes and family retirement differentiation, the lower the job stress, the higher the self-control ability, the more evaluation and material support. Fourth,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related variable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one-person households with marriage experience was higher in life satisfaction with the more information they received, the lower their age, the lower the job stress, the higher the monthly income. Fifth, compar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related variables that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unmarried one-person households, there was no significant socio-demographic variable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in one-person households without marriage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one-person households with marriage experience had higher life satisfaction with lower age and higher monthly income. In terms of occupational factors, the type of work was not significant. In common among the two groups, the lower the job stress, the higher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Self-integration, family projecting, emotional breakdown, family regression, self-control 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one-person households without marriage experience, but psychological factors did not show influence in one-person households with marriage experience. In the case of one-person households without marriage experience, material support and evaluation support were significant variables, and information support was a significant variable in one-person households with marriage experi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group was subdivided according to the marital experience, and revealed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variables, occupational factors, psychological factors and social support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unmarried one-person househo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unmarried one-person households and to examine their influence on them. This study was targeting 308 unmarried one-person household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 WIN 25.0 program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regarding the overall tendency of study subjects’ related variables, one-person households without marriage experience had higher levels of job stress than one-person households with marriage experience, and the level of differentiation of family projections was lower. The overall level of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in one-person households without marriage experience than in one-person households with marriage experienc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ll sub-variables of life satisfaction except economic area.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of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the subjec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in all the life satisfaction sub-variables in one-person households without marriage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one-person households with marriage experience, the age group of 30 to 40 years old had the highest satisfaction in the sub-variables of all life satisfaction categories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And Households with monthly average income of more than 3 million won showed the highest level of life satisfaction compared to other household, and household members with less than 2 million won had the lowest life satisfaction. Third,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related variable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one-person households without marriage experience was higher in life satisfaction with the higher the level of self-integration, family projection processes and family retirement differentiation, the lower the job stress, the higher the self-control ability, the more evaluation and material support. Fourth,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related variable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one-person households with marriage experience was higher in life satisfaction with the more information they received, the lower their age, the lower the job stress, the higher the monthly income. Fifth, compar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related variables that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unmarried one-person households, there was no significant socio-demographic variable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in one-person households without marriage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one-person households with marriage experience had higher life satisfaction with lower age and higher monthly income. In terms of occupational factors, the type of work was not significant. In common among the two groups, the lower the job stress, the higher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Self-integration, family projecting, emotional breakdown, family regression, self-control 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one-person households without marriage experience, but psychological factors did not show influence in one-person households with marriage experience. In the case of one-person households without marriage experience, material support and evaluation support were significant variables, and information support was a significant variable in one-person households with marriage experi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group was subdivided according to the marital experience, and revealed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variables, occupational factors, psychological factors and social support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unmarried one-person household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