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유아 미술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 2009년 ~ 2018년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A Trend Analysis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Research : A Review of Journals from 2009 to 2018원문보기
본 연구는 유아 미술교육과 관련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유아 미술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9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연구재단에서 선정한 등재 및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유아 미술교육 관련 연구논문 255편을 대상으로 연구내용과 연구방법 그리고 미술교육의 변화를 기준으로 연구동향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내용학 부분에서 유아 미술교육 관련 연구는 ‘표현’ 관련 연구에 집중되어 있었다. ‘탐색’,‘감상’,‘ 통합’,‘이론 및 철학’관련 연구들은 상대적으로 차지하는 비중이 낮았다. 교과교육학 부분에서는 ‘교수학습’과‘발달심리’에 연구가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론 및 철학’,‘교육과정’,‘평가’,‘교사론’,‘환경’관련 연구는 상대적으로 차지하는 비중이 낮았다. 이는 유아 미술교육에서‘표현’을 중심으로,‘교수학습’과 유아‘발달’과의 관계를 검증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다양한 주제와 시각에서 유아 미술교육을 바라보는 연구가 부족함을 시사한다. 둘째. 유아 미술교육 관련 연구는 연구대상이 만5세에 집중되고 있었는데, 이는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이 만3~5세를 포괄하고, 표준보육과정이 0~만2세를 포괄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연구대상의 범위를 만4세 이하 영유아까지 확대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연구 유형과 자료 수집 방법을 분석한 결과 검사법을 활용한 실험연구 중심의 양적연구가 주를 이루는 연구경향을 보였다. 선행연구와 비교할 때 ...
본 연구는 유아 미술교육과 관련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유아 미술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9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연구재단에서 선정한 등재 및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유아 미술교육 관련 연구논문 255편을 대상으로 연구내용과 연구방법 그리고 미술교육의 변화를 기준으로 연구동향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내용학 부분에서 유아 미술교육 관련 연구는 ‘표현’ 관련 연구에 집중되어 있었다. ‘탐색’,‘감상’,‘ 통합’,‘이론 및 철학’관련 연구들은 상대적으로 차지하는 비중이 낮았다. 교과교육학 부분에서는 ‘교수학습’과‘발달심리’에 연구가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론 및 철학’,‘교육과정’,‘평가’,‘교사론’,‘환경’관련 연구는 상대적으로 차지하는 비중이 낮았다. 이는 유아 미술교육에서‘표현’을 중심으로,‘교수학습’과 유아‘발달’과의 관계를 검증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다양한 주제와 시각에서 유아 미술교육을 바라보는 연구가 부족함을 시사한다. 둘째. 유아 미술교육 관련 연구는 연구대상이 만5세에 집중되고 있었는데, 이는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이 만3~5세를 포괄하고, 표준보육과정이 0~만2세를 포괄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연구대상의 범위를 만4세 이하 영유아까지 확대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연구 유형과 자료 수집 방법을 분석한 결과 검사법을 활용한 실험연구 중심의 양적연구가 주를 이루는 연구경향을 보였다. 선행연구와 비교할 때 질적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유아 미술교육 연구는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는 과학적 연구가 지배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질적 가치와 주관성을 강조하며, 표현의 과정을 중시하는 미술교육의 특징과 흐름에 비추어 볼 때 유아들의 복잡하고 다양한 상황적 요인과 맥락을 중요시하는 연구방법에 대한 관심과 실천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셋째, 분석대상 논문 255편 중에서 현대미술의 변화와 관련된 내용을 다루는 연구는 18편으로 나타나 미술교육의 변화를 수용하는 연구는 적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수용되는 방식도 ‘교수학습’측면에서 표현기법이나 표현양식에 치우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교육이 시각적 문해력을 갖추고 삶에 대한 비평적 시각을 갖는 것을 목표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은 유아 미술교육 또한 현대미술이 가지는 사회, 문화 안에서의 의미나 기능, 영향을 어떻게 이해하고 수용할 것인지, 유아 미술교육의 방향, 교육내용과 방법 등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유아 미술교육과 관련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유아 미술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9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연구재단에서 선정한 등재 및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유아 미술교육 관련 연구논문 255편을 대상으로 연구내용과 연구방법 그리고 미술교육의 변화를 기준으로 연구동향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내용학 부분에서 유아 미술교육 관련 연구는 ‘표현’ 관련 연구에 집중되어 있었다. ‘탐색’,‘감상’,‘ 통합’,‘이론 및 철학’관련 연구들은 상대적으로 차지하는 비중이 낮았다. 교과교육학 부분에서는 ‘교수학습’과‘발달심리’에 연구가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론 및 철학’,‘교육과정’,‘평가’,‘교사론’,‘환경’관련 연구는 상대적으로 차지하는 비중이 낮았다. 이는 유아 미술교육에서‘표현’을 중심으로,‘교수학습’과 유아‘발달’과의 관계를 검증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다양한 주제와 시각에서 유아 미술교육을 바라보는 연구가 부족함을 시사한다. 둘째. 유아 미술교육 관련 연구는 연구대상이 만5세에 집중되고 있었는데, 이는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이 만3~5세를 포괄하고, 표준보육과정이 0~만2세를 포괄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연구대상의 범위를 만4세 이하 영유아까지 확대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연구 유형과 자료 수집 방법을 분석한 결과 검사법을 활용한 실험연구 중심의 양적연구가 주를 이루는 연구경향을 보였다. 선행연구와 비교할 때 질적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유아 미술교육 연구는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는 과학적 연구가 지배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질적 가치와 주관성을 강조하며, 표현의 과정을 중시하는 미술교육의 특징과 흐름에 비추어 볼 때 유아들의 복잡하고 다양한 상황적 요인과 맥락을 중요시하는 연구방법에 대한 관심과 실천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셋째, 분석대상 논문 255편 중에서 현대미술의 변화와 관련된 내용을 다루는 연구는 18편으로 나타나 미술교육의 변화를 수용하는 연구는 적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수용되는 방식도 ‘교수학습’측면에서 표현기법이나 표현양식에 치우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교육이 시각적 문해력을 갖추고 삶에 대한 비평적 시각을 갖는 것을 목표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은 유아 미술교육 또한 현대미술이 가지는 사회, 문화 안에서의 의미나 기능, 영향을 어떻게 이해하고 수용할 것인지, 유아 미술교육의 방향, 교육내용과 방법 등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xploring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y analyzing the trends of research related to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o this end, the researcher analyzed 255 research papers related to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ubl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xploring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y analyzing the trends of research related to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o this end, the researcher analyzed 255 research papers related to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ublished in NRF(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s registered journals from 2009 to 2018 based on research contents, research methods and the trends of art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context of subject contents, research on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was focused on 'expression' related research. The proportion of research on 'exploration', 'appreciation', 'integration', 'theory and philosophy' was relatively low. In the context of pedagogical contents, research tends to be concentrated on 'teaching and learning' and 'developmental psychology'. The proportion of research on 'theory and philosophy', 'curriculum', 'evaluation', 'teacher' and 'environment' was relatively low. This indicates that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s mainly performed focusing on 'expression' in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It suggests tha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performing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various themes and perspectives. Second, research on the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is focused on five years old. Considering that the NURI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covers 3-5 years of age and the Nation-level Early Childhood Care Curriculum covers 0-2 years of age,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scope of the study to young children and infants under 4 years of age. As a result of analyzing research type and data collection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focusing on experimental research using test method showed a tendency to be more studied.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ies, qualitative research is seen to be continuing to increase. However, scientific research to reveal the causal relationships or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has proven to be dominant in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research.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art education emphasizing qualitative value and subjectivity and emphasizing the process of expression,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interest and practice of research methods that emphasize the complex and varied contextual factors and contexts of young children. Third, among the 255 papers analyzed, there are 18 studies dealing with trends in contemporary art. And as a result, the number of studies that accepted trends in art education was small. The way to accommodate trends in contemporary art education is biased towards expression technique and expression style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Art education is changing to aim at having visual literacy and critical perspective on life. This suggests that various researches are needed on how to understand and accept the social, cultural meaning, function, and influence of contemporary art in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and that various researches are needed on the direction, educational contents and educational method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xploring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y analyzing the trends of research related to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o this end, the researcher analyzed 255 research papers related to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published in NRF(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s registered journals from 2009 to 2018 based on research contents, research methods and the trends of art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context of subject contents, research on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was focused on 'expression' related research. The proportion of research on 'exploration', 'appreciation', 'integration', 'theory and philosophy' was relatively low. In the context of pedagogical contents, research tends to be concentrated on 'teaching and learning' and 'developmental psychology'. The proportion of research on 'theory and philosophy', 'curriculum', 'evaluation', 'teacher' and 'environment' was relatively low. This indicates that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s mainly performed focusing on 'expression' in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It suggests tha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performing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various themes and perspectives. Second, research on the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is focused on five years old. Considering that the NURI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covers 3-5 years of age and the Nation-level Early Childhood Care Curriculum covers 0-2 years of age, it is necessary to extend the scope of the study to young children and infants under 4 years of age. As a result of analyzing research type and data collection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focusing on experimental research using test method showed a tendency to be more studied.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ies, qualitative research is seen to be continuing to increase. However, scientific research to reveal the causal relationships or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has proven to be dominant in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research.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art education emphasizing qualitative value and subjectivity and emphasizing the process of expression,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interest and practice of research methods that emphasize the complex and varied contextual factors and contexts of young children. Third, among the 255 papers analyzed, there are 18 studies dealing with trends in contemporary art. And as a result, the number of studies that accepted trends in art education was small. The way to accommodate trends in contemporary art education is biased towards expression technique and expression style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Art education is changing to aim at having visual literacy and critical perspective on life. This suggests that various researches are needed on how to understand and accept the social, cultural meaning, function, and influence of contemporary art in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and that various researches are needed on the direction, educational contents and educational method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