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미술영재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이론적 기초
An Basic Study on the Curriculum Evaluation of Gifted Education in Visual Art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2 no.3, 2012년, pp.639 - 662  

이경진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  김선아 (한양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미술영재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미술영재 교육과정 평가의 이론적 기초와 평가모형의 기본 틀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미술영재교육의 최근 동향과 지향점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미술영재 교육과정 평가에 적합한 모형을 탐색하여 미술영재 교육과정 평가모형의 기본 틀을 개발하였다. 최근 미술영재교육에서는 창의성에 대한 인식 변화에 따라 미술 잠재성을 가진 학습자가 자신만의 미술을 찾아가는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 분야, 영역, 개인의 상호작용 속에서 맥락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미술영재 교육과정 평가는 판단보다는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제공 관점을 취해야 하며 다차원적인 측면을 관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 지향 접근법의 대표적인 평가모형인 CIPP 모형을 기반으로 미술영재 교육과정 평가의 기본 틀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미술영재 교육과정 평가에서 평가자의 역할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valuation model of gifted curriculum in visual art. For this purpose, first, it discusses about what kinds of issues raised about gifted education in visual art. Second, it critically reviews the evaluation models of gifted curriculum, and investigates th...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술영자 교육과정에서 내부 평가자만 평가할 경우 갖는 한계를 외부 평가자가 보완할 수 있다고 보는 근거는 무엇인가? 전자는 내부 평가자(internal evaluator), 후자는 외부 평가자(external evaluator)라고 부른다(Fitzpatrick, Sanders, & Worthern, 2011). 내부 평가자는 조직과 프로그램의 역사를 더 잘 알고 있고, 조직의 의사결정 스타일에 친숙하며, 평가 결과를 현재 뿐만 아니라 나중에라도 상기시켜줄 수 있으며, 결과에 대한 의사소통이 용이하고 결과 활용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미술영재 교육과정을 내부 평가자가 평가할 경우 현재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미술영재교육의 독특성을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외부 평가자는 신뢰할 수 있고 객관적이며, 보통은 평가에 대한 기술적 전문성이 더 있으며, 비슷한 다른 조직이나 프로그램이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 지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외부 평가자는 내부 평가자에 비해 평가 결과에 대한좀 더 신선한 관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미술영재 교육과정 평가의 목적은 어디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가? 이러한 점에서 보자면 미술영재 교육과정 평가의 목적은 미술영재 교육과정을 통해 미술영재들에게 필요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는지, 얼마나 잘 하고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더 잘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와 관련된 유용한 피드백 기능을 잘 하는 데 있다. 즉, 미술영재교육과정 평가의 목적은 미술영재들이 교육과정에서 기대한 목표를 제대로 성취하고 있는지 그리고 미술영재들이 자신의 영재성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해서 미술영재 교육과정의 계획, 실행, 성과의 어느 측면에서 무엇을 더 잘 해야 하는가에 대해 유용한 정보를 얻는 데 있다.
영재교육을 실행한 이후 우리나라는 어떤 변화를 보였는가? 그동안 우리나라 영재교육은 양적으로는 괄목할 만한 성장을 거두었다. 2003년에 6곳이던 예술영재교육기관은 2009년에 총 48개 기관으로 확대되었다(백경미, 2012). 예술영재교육대상자의 수를 확대하려는 계획이 올해 중단되기는 하였으나, 예술영재교육, 특히 미술 영재교육은 다양한 형태의 기관에서 다양한 교육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권준범 (2008). 초등미술영재교육에 대비한 현황 분석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24, 27-48. 

  2. 김정희 (2004). 미술영재 교육을 위한 예술 통한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18(2), 65-86. 

  3. 김정희 (2007). 미술영재 교육과정 모형에 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21(2), 61-82. 

  4. 김춘미, 한수연, 이미경, 전동호, 신기현, 조주현, 김정환 (2006). 예술영재교육 발전 방안 연구.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5. 김춘일 (2004). 예술영재에 대한 인식의 문제와 개선. 조형교육, 24, 31-53. 

  6. 백경미 (2012). 한국 미술영재교육 현장의 요구. 기초조형학연구, 13(3), 153-161. 

  7. 서제희 (2003). 미술 영재의 발달과정 이해를 통한 교육적 가능성. 미술교육논총, 16, 47-68. 

  8. 서혜애, 조석희, 이은아, 한석실, 윤초희 (2003). 영재교육기관 평가체제 개발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9. 송인섭, 문은식, 하주현, 한수연, 성은현 (2010). 과학영재를 위한 인문사회와 예술의 융합형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영재와 영재교육, 9(3), 117-138. 

  10. 이경진 (2012).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예술영재 교육과정 평가모형 개발. 교육과정평가, 15(2), 217-240. 

  11. 이용애 (2002). 시각예술 영재성 개념 모델의 탐색. 초등교육학연구, 9(1), 21-36. 

  12. 최인수 (1998). 창의적 성취와 관련된 제 요인들: 창의적 연구의 최근 모델인 체계모델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5(2), 133-166. 

  13. 최인수 (2000). 창의성을 이해하기 위한 체계모델, 생활과학, 3(1), 441-464. 

  14. 한수연 (2006). 예술영재교육과정 연구.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15. 한수연, 박우룡 (2009). 예술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 연구: 시각예술에서의 기초예술성을 중심으로. 영재와 영재교육, 8(2), 149-170. 

  16. Anderson, T., & Milbrandt, M. (2007). 삶을 위한 미술교육. [김정희, 최정임, 신승렬 역]. 서울:예경. (원본출간년도: 2004). 

  17. Borland, M. A. (2003). Evaluating gifted programs: a broader perspective.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pp. 293-307). Boston, MA: Allyn and Bacon. 

  18. Callahan, C. M. (2004). Asking the right question: The central issue in evaluation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In C. M. Callahan (Eds.). Program evaluation in gifted education (pp. 1-11).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19. Carter, K. R., & Hamilton, W. (1985). Formative evaluation of gifted programs: A process and model. Gifted Child Quarterly, 29(1), 5-11. 

  20. Clark, G., & Zimmerman, E. (2008). 미술영재교육: 이론과 실제. [홍소영 역]. 서울: 미진사. (원본출간년도: 2004). 

  21. Csikszentmihalyi, M. (2003). 창의성의 즐거움 [노혜숙 역], 서울: 북로드. (원본출간년도: 1996). 

  22. Davis, G. A., & Rimm, S. B. (2004).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5th ed.). Boston, MA: Allyn & Bacon. 

  23. Eisner, E. W. (1998). 새로운 눈으로 보는 미술교육. [서울교육대학교 미술교육연구회 역]. 서울: 예경. (원본출간년도: 1972). 

  24. Fitzpatrick, J. L., Sanders, J. R., & Worthen, B. R. (2011). Program evaluation: Alternative approaches and practical guidelines (4th ed.). Boston, MA: Allyn & Bacon. 

  25. Goldsmith, L. T. (1992). Wang Yani: Stylistic development of a Chinese painting prodig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5(3), 281-293. 

  26. Provus, M. M. (1971). Discrepancy evaluation. Berkeley, CA: McCutchan. 

  27. Renzuilli, J, S., & Ward, V. S. (1969). Diagnostic and evaluative scales for differntial education for gifted. Storrs, CT: Unversity of Connecticut, Department of Educational Psychology. 

  28. Simonton, D. (1997). Genius and creativity: Selected papers. Connecticut: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29. Stufflebeam, D. L. (2005). CIPP model (context, input, process, product). In S. Mathison (Ed.), Encyclopedia of evaluation (pp. 60-65). Thousand Oak, CA: Sage. 

  30. Winner, E. (1997). Giftedness vs. creativity in the visual arts. Poetics, 24(6), 349-377. 

  31. Zhensun, Z., & Low, A. (1991). A young painter: The life and paintings of Wang ani-China's extraordinary young artist. New York: Scholastic Hardcover.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