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술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ssociation between Teachers' Conceptions of Art Education and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Mediating Effects of Teachers' Role of Creativity Improvement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4, 2015년, pp.109 - 125  

심숙영 (숙명여자대학교 영유아교육전공) ,  문시연 (숙명여자대학교 프랑스 언어.문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의 관련성을 조사하였고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인식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에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는 서울시에 소재한 사립 유치원 및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156명과 그들이 담당하는 유아 593명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높을수록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의 역할 수행이 높았으며 유아의 창의적 인성 점수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인식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인식은 직접적으로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영향을 주면서, 동시에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인식은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수행에 영향을 주고 그에 따라 유아의 창의적 인성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을 계발시키기 위해서는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올바른 인식과 더불어 예술 활동 시 유아의 창의적인 표현을 격려하고 예술과정에 동기를 부여하는 등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을 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conceptions of art education, and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y by mediating effects of teachers' role of creativity improvement. Participants included 156 teachers and 593 children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관련하여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의 역할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다루고 있는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진 바 없다. (문장 삭제)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그리고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교육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보이는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인식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한다.
  • , 2014; Jalongo & Stamp, 1997)과 창의성과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박숙희, 2010; 장영숙, 정정화, 2010; 양재혁, 2005) 만을 알아보았을 뿐,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의 역할 수행을 통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인식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에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의 역할 수행을 통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그러나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관련된 연구들은 부모의 영향과 관련된 변인들을 중심으로 부모의 창의적 인성, 양육태도, 가정환경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관한 연구들(김형재, 구성수, 이경철, 2015; 장영숙, 2008; 장영숙, 조정화, 2010)이거나 유아의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인성 간의 관련성 연구(박숙희, 2010)로 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교사의 영향과 관련 하여 유아의 창의적 인성을 살펴 본 연구는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관련하여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그리고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에 관계를 알아보았고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인식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인식과 유아의 창의적인성 간에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들을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기는 어떤 시기인가? 유아기는 예술적 창의성의 기반이 마련되는 중요한 시기이고(Gardner, 2006), 창의적 사고의 밑거름이 되는 직관적 사고의 시기이며 창의적 사고 발달이 인생의 전 시기 중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때이다(Torrance, 1974). 유아기가 창의성의 발현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 시기인 만큼 많은 연구들이 유아기 예술교육과 창의성 간의 밀접한 관련성에 대해 밝히고 있으며(Hui, He, & Ye, 2014; Moga, Burger, Hetland, & Winner, 2000; Wilson, 2005; Zimmerman, 2009), 대부분은 미술, 음악, 동작, 무용 등과 같은 단위교과 중심의 예술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사고기술, 사회성, 창의성 증진에 미친 효과를 보고하고 있다(강은영, 최미숙, 2014; 권유선, 최혜진, 2013; 김현수, 조수현, 2012; 신정숙, 이현림, 2006; 안경숙, 2011; Demirel, 2011; Fox & Schirmarcher, 2012; Gallahue & Ozmun, 1997; Kiser, 1996; Lobo & Winsler, 2006; Strickland, Galda, & Cullinan, 2004).
예술 교육에 대한 교사인식은 유아의 창의적 인성의 모든 영역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01) 등의 모든 영역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예술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높을수록 유아의 창의적 인성의 점수가 높아지는 것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도 모든 하위영역에서 각각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r=.
누리과정에서 제시하는 예술경험은 무엇인가? 국가수준 교육과정인 누리과정에서는 유아기 예술교육의 가치를 인정하고 유아교육현장에서 예술경험을 적극적으로 실천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누리과정에서 제시하는 예술경험은 유아가 친근한 주변 환경에서 발생하는 소리, 음악, 움직임과 춤, 모양과색 등의 미적 요소에서 아름다움을 느끼고 또래와 교사, 부모, 지역사회의 주민이나 작가가 표현한 예술작품을 가까이 접하면서 이를 탐색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즐기며 감상하는 것이다(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2). 특히 예술경험 영역의 목표는 유아들로 하여금 자연과 사물을 대하면서 느낄 수 있는 예술적 감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하고 심미적 태도를 지님으로써 아름다움을 즐기고 추구할 수 있는 소양을 기르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강은영, 최미숙 (2014). 유아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2), 157-181. 

  2.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2). 5세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권유선, 최혜진 (2013). 창의성 기법을 적용한 유아 예술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3), 55-78. 

  4. 김영실, 김연화, 한세영 (2009). 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자기효능감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 역할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8(3), 557-570. 

  5. 김영연 (2008). 유아교사를 위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고찰. 한국교원교육연구, 25(2), 217-238. 

  6. 김현수, 조수현 (2012). 미술중심 통합문화예술교육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7(6), 145-173. 

  7. 김형재, 구성수, 이경철 (2015). 아버지의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의 창의적 인성 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3), 1844-1852. 

  8. 문미옥 (1999).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평정척도 개발연구. 아동학회지, 20(4), 25-42. 

  9. 문미옥, 이용주 (2000).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평정척도 개발연구. 아동학회지, 20(2), 223-242. 

  10. 문정화, 하종덕 (1999). 또 하나의 교육 창의성. 서울: 학지사. 

  11. 박상선, 서현아 (2014). 유아의 놀이성 및 창의적 성격 특성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4), 119-132. 

  12. 박상희, 김경의, 이효숙 (2005). 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수행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4), 165-185. 

  13. 박숙희 (2008).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과 유아의 창의성. 한국영유아보육학, 55(1), 151-170. 

  14. 박숙희 (2010). 유아 교사의 학력에 따른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인식과 관련 변인들의 관계. 영재와 영재교육, 9(3), 59-77. 

  15. 보건복지부, 중앙보육정보센터 (2012). 표준보육과정. 서울: 보건복지부. 

  16. 성태제 (2014). SPSS/AMOS를 이용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2판). 서울: 학지사. 

  17. 신정숙, 이현림 (2006). 무용치료 프로그램이 취학 전 유아의 창의성과 자아개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아동교육, 16(1), 297-307. 

  18. 안경숙 (2011). 유아예술교육 활동과 연계된 창의적 극놀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5(6), 145-166. 

  19. 양재혁 (2005). 학교생활적응과 창의적 인성 함량을 위한 사회극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이정화, 정선아, 이명조 (2003). 사립유치원의 특별활동 실태와 문제점.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0(2), 85-118. 

  21. 임부연, 김영란, 이정금, 최남정 (2007). 유치원 교육과정과 연계한 예비유아교사의 심미감 인식에 관한 연구. 어린이미디어연구, 6(1), 19-43. 

  22. 임부연, 전경미, 김성숙 (2014). 유아예술교육의 비평적 이해: 유아교사의 예술 및 예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육아지원연구, 9(1), 127-149. 

  23. 임부연, 정문옥, 오정희 (2015). 누리과정 예술경험 영역에 대한 유아교사의 운영 실태. 아동교육, 24(1), 263-283. 

  24. 장기범 (2010). 배경과 실천에 기초한 문화예술교육의 의미와 정체성. 음악교육공학, 11, 25-40. 

  25. 장영숙 (2008).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창의적 인성 및 양육태도가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2), 135-159. 

  26. 장영숙, 조정화 (2010). 부모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적 가정환경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화연구, 16(2), 309-336. 

  27. 전경원 (2000). 동.서양의 하모니를 위한 창의학. 서울: 학문사. 

  28. 정민자 (2005). 유아의 창의성과 어머니의 양육신념, 창의적 특성변인 간의 구조모형.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9. 조용기 (2005). 교육의 쓸모. 서울: 교육과학사. 

  30. 채지영 (2014). 어머니의 놀이성과 정서표현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태진미 (2010). 영재를 위한 문화예술 통합 교육의 필요성 및 적용 방안.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6, 241-273. 

  32. 하주현 (2000). 창의적 인성 검사 개발. 교육심리연구, 14(2), 187-210. 

  33. 한지혜 (2007). 유치원의 문화예술교육 및 교사연수에 대한 실태 및 요구도. 열린유아교육연구, 12(3), 363-386. 

  34. 한지혜 (2008). 어린이집의 문화예술교육 및 교사연수에 대한 실태, 인식, 및 요구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195-228. 

  35. Bamford, A. (2010).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 국내행사 창의인성교육 학술대회자료집(5월), 13-24. 

  36.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37. Cheung, R. H., & Mok, M. M. (2013). A stud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ceptions of creativity at Hong Kong. Educational Psychology, 33, 119-133. 

  38. Demirel, I N. (2011). Contributions provided by visual arts lesson for students at secondary stage in elementary education.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5, 1972-1976. 

  39. Feist, G. J. (1999).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on artistic and scientific creativity. In R. J. Sternberg(ed.), Handbook of Creativity(pp. 273-296),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Fox, J. E., & Schirrmacher, R. (2012). Art and creative development for young children(7th ed). Belmont, CA: Wadsworth. 

  41. Fromberg, D. P (1995). The full-day kindergarten: Planning and practices a dynamic. NY: University of Columbia Press. 

  42. Gallahue, D. L., & Ozmun, J. (1997). The play approach to learning in the context of families and schools: An alternative paradigm for nutrition and fitness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95(10), 11-21. 

  43. Haword Gardner. (2011). Multiple intelligence: New Horizons. 다중지능이론(문용린, 유경재 옮김). 서울: 웅진지식하우스(원판 2006). 

  44. Hui, A., He, M., & Ye, S. (2014). Arts education and creativity enhancement in young children in Hong Kong. Educational Psychology, 1-13. 

  45. Jalongao, M. R., & Stamp, L. N. (1997). The arts in children's lives: Aesthet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Boston, MA: Allyn and Bacon. 

  46. Kiser, D. C. (1996). Integrating music with whole language through the Orff-Schulweek process. Young Children, 51, 15-21. 

  47. Lobo, Y. B., & Winsler. A. (2006). The effects of a creative dance and movement program on the social competence of Head Start preschoolers. Social Development, 15, 501-519. 

  48. Mark, A. R., & Robert, S. A. (1990). Theories of creativity(eds.). Newbury Park, CA: Sage Pub. 

  49. Moga, E., Burger, K., Hetland, L., & Winner, E. (2000). Does studying the arts engender reactive thinking? Evidence for near but not far transfer. Journal of Aesthetic education, 34(3/4), 91-104. 

  50. Moran, J. D., Milgram, R. M., Sawyers, J. K., & Fu, V. R. (1983). Original thinking in preschool children. Child Development, 54, 921-926. 

  51. Rimm, S. (1983). Preschool and kindergarten interests descriptor. Watertown, WI: Educational Assessment Service Inc. 

  52. Russell-Bowie, D. (2009). Learning to teach the creative arts in primary schools through community eng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20(2), 298-306. 

  53. Strickland, D. S., Galda, L., & Cullinan, B. E. (2004). Language arts: Learning and teaching. Belmont, CA: Wadsworth. 

  54. Torrance, E. P. (1974). The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Norms-technical manual. Bensenville, IL: Scholastic Testing Service, Inc. 

  55. Wilson, A. (Ed.) (2005). Creativity in primary education. Exeter: Learning Matters. 

  56. Zimmerman, E. (2009). Reconceptualizing the role of creativity in art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s. Studies in Art Education, 50(4), 382-39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