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연 화장품에 대한 인식과 사용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cognition, Current Use and Satisfaction with Natural Cosmetic Products 원문보기


박서연 (성신여자대학교 뷰티융합대학원 뷰티융합학과 화장품학 전공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화장품은 기초케어와 메이크업이 일상화가 되면서 소비자에게 필수재로 인식되어있다. 그러나 화장품 내 유해물질 검출 등 안전성에 문제가 생겨 보다 안전한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 원료 안전에 대한 인식과 함께 환경문제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지구를 보호하고자하는 움직임으로 천연 화장품 산업의 성장이 전세계적 트렌드로 이어졌다. 하지만 과거 국내 천연 화장품의 정의와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무엇이 천연화장품인지 판단하기 어려웠고 유기농화장품과의 혼동으로 인해 천연화장품의 신뢰성은 떨어져 있는 상태였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유기농 화장품과 별도로 천연 화장품에 대한 정의를 신설하고 천연·유기농 화장품 인증 제도를 도입해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의 인구통계학적 특징과 피부관심도를 분석하고 이것을 기반으로 천연 화장품에 대한 인식과 사용실태 및 만족도를 파악하여 이를 통해 국내 천연 화장품 산업을 효율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20대 이상의 성인여성들에게 모바일 설문지(구글 설문지 폼)양식을 이용한 설문지 310건과 지면 설문지 132매를 포함하여 442부가 회수되었고 불성실한 설문지 29부를 제외한 413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피부관심도를 분석한 결과, 자신의 피부타입이 복합성에 속한다고 인식하는 여성이 가장 많았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호르몬의 변화와 재생력과 피지 분비가 감소하면서 피부 장벽이 약해지고 피부가 건조해져 주름, 탄력으로 고민하는 여성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피부고민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거나 기능성 화장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대상자의 천연 화장품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여성은 천연 화장품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하였으나 과반수 이상의 여성이 천연 화장품과 유기농 화장품의 차이점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연 화장품을 판단하는 근거로 제품의 표기 문구를 보고 판단하는 여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천연 화장품과 관련된 정보는 주로 모바일, 인터넷을 통해 얻는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천연 화장품 홍보 시 온라인 마케팅을 적극 활용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천연 화장품을 신뢰하는 여성은 그 이유로 화학성분이 들어가지 않아서 해가 없을 것이라는 믿음이 가장 컸고, 반대로 신뢰하지 않는 여성은 일반 화장품과 차이가 없을 것이라고 나타나 천연 화장품이 피부에 자극이 적다고 인지하고 있지만 일반 화장품에 비해 그다지 효과를 느끼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천연화장품의 사용실태에 대한 분석 결과, 천연화장품 사용경험이 없는 여성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 천연 화장품에 대한 지식 및 정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천연 화장품의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을 알 수 있다. 사용경험이 있는 여성은 친구나 지인의 권유로 사용하게 된 여성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사용해본 제품은 주로 비누나, ...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basic care and makeup became universal in the world, cosmetic products are considered essential. However, there is further growing attention to safe cosmetic products due to safety. Interest in natural cosmetic products with deep concerns over safe materials and environment as well as the growth ...

주제어

#천연화장품 인식 사용실태 만족도 

학위논문 정보

저자 박서연
학위수여기관 성신여자대학교 뷰티융합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뷰티융합학과 화장품학 전공
지도교수 김주덕
발행연도 2020
총페이지 viii,87
키워드 천연화장품 인식 사용실태 만족도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5506275&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