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화장품 소비자들의 관심이 하얀 피부에서 탄력있고 건강한 피부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화장품 안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 사회 현상에 따라 유기농·천연물 및 저자극성 내추럴 원료를 사용한 화장품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한방 화장품은 과거부터 사용한 한방 원료를 이용하여 화장품을 만들어 안전하고 효능·효과가 좋을 것이라는 기대 심리와 자연주의를 추구하는 트렌드가 맞물려 고기능성 화장품으로 인식되어 매년 성장하고 있다. 따라서 빠르게 변화해가는 사회 현상에 맞추어 한방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 및 사용 실태, 구매 행동에 대한 실증적 연구의 필요성이 중요시 되고 있다. 또한 2014년에 발효 된 생물자원을 이용하여 발생하는 이익을 공유하기 위한 지침을 담은 국제협약인 ‘나고야 의정서’로 인해 ...
최근 화장품 소비자들의 관심이 하얀 피부에서 탄력있고 건강한 피부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화장품 안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 사회 현상에 따라 유기농·천연물 및 저자극성 내추럴 원료를 사용한 화장품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한방 화장품은 과거부터 사용한 한방 원료를 이용하여 화장품을 만들어 안전하고 효능·효과가 좋을 것이라는 기대 심리와 자연주의를 추구하는 트렌드가 맞물려 고기능성 화장품으로 인식되어 매년 성장하고 있다. 따라서 빠르게 변화해가는 사회 현상에 맞추어 한방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 및 사용 실태, 구매 행동에 대한 실증적 연구의 필요성이 중요시 되고 있다. 또한 2014년에 발효 된 생물자원을 이용하여 발생하는 이익을 공유하기 위한 지침을 담은 국제협약인 ‘나고야 의정서’로 인해 자생식물에 대한 국가 간 식물 소유권 분쟁 우려가 있는 만큼 국내에서 자생하는 생물 소재를 이용한 한방 화장품 시장의 발전을 위해 본 연구가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전국의 성인들을 연령·세대별로 나누어서 pc·모바일 설문지 - 네이버 폼을 이용하여 2019년 10월 20일부터 11월 10일까지 총 22일 동안 설문을 진행하였다. 이 기간 동안 총 419부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 불성실과 무응답 17부를 제외한 402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한방 화장품 및 원료에 대한 일반적 인식과 한방 화장품의 구매, 그리고 한방 화장품의 사용 실태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χ2(Chi-square) 검증 그리고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방 화장품의 이미지는 이전 선행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높은 연령대가 사용하는 화장품’이라는 응답이 많았고, 연령이 많은 연구 대상자일수록 한방 화장품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높은 연령대가 사용하는 화장품이라는 이미지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젊은 연령층을 대상으로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세워 젊은 층의 구매율을 높이기 위해 힘써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화장품 구매 시 전성분 원료를 보고 구매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우려되는 원료를 확인하려고’의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부작용 원료를 확인하려고’, ‘어떤 원료인지 궁금해서’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우려하는 원료는 ‘방부제, 보존제’가 가장 많았으며, ‘계면활성제’, ‘색소’, ‘향료’순으로 나타났다. ‘방부제, 보존제, 계면활성제’는 안전성에 대해 꾸준히 이슈가 되는 원료이기 때문에 연구 대상자들은 이 원료들에 대해 인식하고 걱정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한방 화장품 미경험 응답자 중 향후 한방 화장품을 사용해 볼 의향이 있다는 응답이 과반수이상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앞으로 한방 화장품이 내수 시장에서 더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연령이 높을수록 한방 화장품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한방 화장품을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향후에도 한방 화장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0대 이상, 월평균 한방 화장품 구매 비용이 높을수록, 그리고 한방 화장품 사용 기간이 오래될수록 한방 화장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의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방 화장품이 글로벌 브랜드로서 포지셔닝되기 위해서는 제품의 가격에 구애받지 않는 하이엔드 소비자들에게 집중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월 평균 한방 화장품 구매 비용이 높을수록 사용 기간이 오래 될수록 한방 화장품의 사용 동기로 ‘샘플’과 ‘주변 지인·판매 직원의 권유’의 응답이 많았다. 즉, 한방 화장품에 대해 아직 경험이 없는 소비자들을 타겟 고객층으로 가격적인 메리트와 한방 화장품에 대한 안전성을 강조하고 판매 직원을 통한 샘플 증정 등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방 화장품이 높은 연령대가 사용하는 화장품이라는 이미지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젊은 연령층의 확보가 필요하며, 한방 화장품의 개선점에 대해 ‘효능·효과의 객관적 입증’과 ‘가격의 저렴화’에 대에 화장품 업체들은 집중해야 할 것이다. 첫째, 젊은 연령층에게 어필하기 위해서는 과장·과대광고보다는 효능·효과에 대해 객관적으로 입증된 자료로 다가가야 할 것이며, 화장품의 용기·패키지 등 포장재 사용을 최소화하여 친환경적인 이미지 강조하고, 가심비·가성비를 자극하는 마케팅을 펼쳐야 할 것이다. 다양한 한방 소재를 활용하여 차별화된 제품을 개발하고 안전성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이용하여 마케팅 전략을 모색하면 글로벌 시장에서도 한국의 자랑스러운 명품 브랜드로서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둘째, 한방 화장품이 고급스럽고 개성이 강한 글로벌 명품 브랜드로서 포지셔닝하기 위해서는 제품 가격에 구애받지 않는 하이엔드 소비자들에게 집중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생물 자원을 개발하고, 이미지를 고급스럽게 스토리텔링하여 하이엔드 소비자에 집중하여 마케팅 한다면 한국의 한방 화장품이 글로벌 브랜드가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한다. 앞으로 생물 자원의 특별한 성분과 효능에 대한 R&D를 지속적으로 강화하여 세계적인 브랜드로서의 한방 화장품이 자리 잡을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최근 화장품 소비자들의 관심이 하얀 피부에서 탄력있고 건강한 피부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화장품 안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 사회 현상에 따라 유기농·천연물 및 저자극성 내추럴 원료를 사용한 화장품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한방 화장품은 과거부터 사용한 한방 원료를 이용하여 화장품을 만들어 안전하고 효능·효과가 좋을 것이라는 기대 심리와 자연주의를 추구하는 트렌드가 맞물려 고기능성 화장품으로 인식되어 매년 성장하고 있다. 따라서 빠르게 변화해가는 사회 현상에 맞추어 한방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 및 사용 실태, 구매 행동에 대한 실증적 연구의 필요성이 중요시 되고 있다. 또한 2014년에 발효 된 생물자원을 이용하여 발생하는 이익을 공유하기 위한 지침을 담은 국제협약인 ‘나고야 의정서’로 인해 자생식물에 대한 국가 간 식물 소유권 분쟁 우려가 있는 만큼 국내에서 자생하는 생물 소재를 이용한 한방 화장품 시장의 발전을 위해 본 연구가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전국의 성인들을 연령·세대별로 나누어서 pc·모바일 설문지 - 네이버 폼을 이용하여 2019년 10월 20일부터 11월 10일까지 총 22일 동안 설문을 진행하였다. 이 기간 동안 총 419부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 불성실과 무응답 17부를 제외한 402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한방 화장품 및 원료에 대한 일반적 인식과 한방 화장품의 구매, 그리고 한방 화장품의 사용 실태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χ2(Chi-square) 검증 그리고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방 화장품의 이미지는 이전 선행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높은 연령대가 사용하는 화장품’이라는 응답이 많았고, 연령이 많은 연구 대상자일수록 한방 화장품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높은 연령대가 사용하는 화장품이라는 이미지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젊은 연령층을 대상으로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세워 젊은 층의 구매율을 높이기 위해 힘써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화장품 구매 시 전성분 원료를 보고 구매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우려되는 원료를 확인하려고’의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부작용 원료를 확인하려고’, ‘어떤 원료인지 궁금해서’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우려하는 원료는 ‘방부제, 보존제’가 가장 많았으며, ‘계면활성제’, ‘색소’, ‘향료’순으로 나타났다. ‘방부제, 보존제, 계면활성제’는 안전성에 대해 꾸준히 이슈가 되는 원료이기 때문에 연구 대상자들은 이 원료들에 대해 인식하고 걱정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한방 화장품 미경험 응답자 중 향후 한방 화장품을 사용해 볼 의향이 있다는 응답이 과반수이상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앞으로 한방 화장품이 내수 시장에서 더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연령이 높을수록 한방 화장품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한방 화장품을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향후에도 한방 화장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0대 이상, 월평균 한방 화장품 구매 비용이 높을수록, 그리고 한방 화장품 사용 기간이 오래될수록 한방 화장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의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방 화장품이 글로벌 브랜드로서 포지셔닝되기 위해서는 제품의 가격에 구애받지 않는 하이엔드 소비자들에게 집중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월 평균 한방 화장품 구매 비용이 높을수록 사용 기간이 오래 될수록 한방 화장품의 사용 동기로 ‘샘플’과 ‘주변 지인·판매 직원의 권유’의 응답이 많았다. 즉, 한방 화장품에 대해 아직 경험이 없는 소비자들을 타겟 고객층으로 가격적인 메리트와 한방 화장품에 대한 안전성을 강조하고 판매 직원을 통한 샘플 증정 등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방 화장품이 높은 연령대가 사용하는 화장품이라는 이미지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젊은 연령층의 확보가 필요하며, 한방 화장품의 개선점에 대해 ‘효능·효과의 객관적 입증’과 ‘가격의 저렴화’에 대에 화장품 업체들은 집중해야 할 것이다. 첫째, 젊은 연령층에게 어필하기 위해서는 과장·과대광고보다는 효능·효과에 대해 객관적으로 입증된 자료로 다가가야 할 것이며, 화장품의 용기·패키지 등 포장재 사용을 최소화하여 친환경적인 이미지 강조하고, 가심비·가성비를 자극하는 마케팅을 펼쳐야 할 것이다. 다양한 한방 소재를 활용하여 차별화된 제품을 개발하고 안전성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이용하여 마케팅 전략을 모색하면 글로벌 시장에서도 한국의 자랑스러운 명품 브랜드로서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둘째, 한방 화장품이 고급스럽고 개성이 강한 글로벌 명품 브랜드로서 포지셔닝하기 위해서는 제품 가격에 구애받지 않는 하이엔드 소비자들에게 집중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생물 자원을 개발하고, 이미지를 고급스럽게 스토리텔링하여 하이엔드 소비자에 집중하여 마케팅 한다면 한국의 한방 화장품이 글로벌 브랜드가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한다. 앞으로 생물 자원의 특별한 성분과 효능에 대한 R&D를 지속적으로 강화하여 세계적인 브랜드로서의 한방 화장품이 자리 잡을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