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STEAM 교육 운영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의 의미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교사와 연구자는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STEAM 교육 운영 현황에 대한 방법을 모색하며 협력적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 실행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유아, 그리고 연구자의 변화와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STEAM 교육 운영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활동은 어떻게 이루어질 것인가? 2. STEAM 교육 운영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의 의미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2019년 1월부터 시작 해 9월까지 9개월간 이루어졌으며 경기도 H직장어린이집에서 함께 근무하는 교사 간 교사학습공동체를 운영, 참여하며 경험의 실제에 대한 사례를 연구하고 탐색하였다. 자료는 참여관찰, 교사면담, 반성적 저널쓰기 등의 방법을 통해 수집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TEAM 교육 운영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활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졌다. STEAM 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교사 간 신뢰감을 형성하고 ‘STEAM 교육의 공동 목표 갖기’ 및 STEAM 교육 운영 실태 점검을 위한 교사의 ...
본 연구는 STEAM 교육 운영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의 의미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교사와 연구자는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STEAM 교육 운영 현황에 대한 방법을 모색하며 협력적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 실행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유아, 그리고 연구자의 변화와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STEAM 교육 운영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활동은 어떻게 이루어질 것인가? 2. STEAM 교육 운영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의 의미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2019년 1월부터 시작 해 9월까지 9개월간 이루어졌으며 경기도 H직장어린이집에서 함께 근무하는 교사 간 교사학습공동체를 운영, 참여하며 경험의 실제에 대한 사례를 연구하고 탐색하였다. 자료는 참여관찰, 교사면담, 반성적 저널쓰기 등의 방법을 통해 수집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TEAM 교육 운영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활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졌다. STEAM 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교사 간 신뢰감을 형성하고 ‘STEAM 교육의 공동 목표 갖기’ 및 STEAM 교육 운영 실태 점검을 위한 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을 진단하였다. 문제점을 인식하고 STEAM 교육의 실행 방향을 의논하며 누리과정 속의 생활주제와 연계하였다. 생활 속 과학기술에 관심을 갖고 다른 사람과 협업을 통해 일상적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문제 해결에 필요한 지식을 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A-STEAM활동, RST 활동, Making 활동 유형으로 나누어 활동을 계획 할 수 있었다. STEAM 교육 활동 유형 실행 평가에서 상황제시, 창의적설계, 감성적 체험의 과정을 통해 결과물을 공유하며 성공을 경험하고 다음 활동의 도전 욕구와 동기 부여 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유아는 또래, 교사와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었으며 주도적 참여, 자신의 생각을 구현하는 것에 대한 즐거움을 느낄 수 있었다. 둘째, STEAM 교육 운영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의 의미는 유아와 교사, 연구자 측면에서 찾을 수 있었다. 유아는 본 연구를 통해 STEAM 교육에서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를 적극적으로 문제해결 해 가는 과정에서 긍정적 영향을 제공하였다. 공학적 시도를 통해 유아의 생각이 실제로 구현될 수 있게 직접 경험하고 다각적으로 사물과 현상을 바라볼 수 있는 융합적 지식활용의 기회를 제공하면서 기술과 공학에 대한 경험과 이해 폭을 넓이고 과학과 예술이 서로 상보적 관계로 유아에게 다양하고 창의적 표현의 예술적 소양이 증진되었다. 또한 또래와 생각을 나누며 의사소통하고 협업하는 학습 과정에서 흥미, 성취감, 만족감 등을 느끼게 되며 성공경험을 통해 유아의 자신감이 향상되며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내적 동기가 발현하였다. 교사는 STEAM 교육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형성하며 자발적 참여의 연구하는 교사로 성장하였다. 교사학습공동체를 운영하며 막연한 부담감을 덜고 스스로 STEAM 교육에 흥미를 느끼고 상호작용하는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었다. 또한 교사 간 대화를 통해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며 반성하는 순환적인 과정을 통해 점차 더 나은 수업을 경험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교사는 과학교수효능감이 높아졌으며 STEAM 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도 연구 초에 비해 향상되었다. 이러한 교사학습공동체에서는 교사는 지속적으로 더 나은 STEAM 교육을 위해 능동적, 자발적으로 연구하고 실천하는 교사로 성장하게 되었다. 연구자는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 협력의 의미를 알게 되면서 교사 간 도움을 주는 연구자의 모습이 나타났다. 협력하는 방법을 찾아가며 이해하고 현장에서 어려움을 함께 이해하고 배려하며 STEAM 교육 운영을 위한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함께 생각에 도움을 제공하였다. 이는 유아의 활동을 자발적으로 더욱 활발하게 참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고 교사도 자신감을 가지고 활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는 STEAM 교육 운영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의 의미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교사와 연구자는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STEAM 교육 운영 현황에 대한 방법을 모색하며 협력적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 실행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유아, 그리고 연구자의 변화와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STEAM 교육 운영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활동은 어떻게 이루어질 것인가? 2. STEAM 교육 운영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의 의미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2019년 1월부터 시작 해 9월까지 9개월간 이루어졌으며 경기도 H직장어린이집에서 함께 근무하는 교사 간 교사학습공동체를 운영, 참여하며 경험의 실제에 대한 사례를 연구하고 탐색하였다. 자료는 참여관찰, 교사면담, 반성적 저널쓰기 등의 방법을 통해 수집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TEAM 교육 운영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활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졌다. STEAM 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교사 간 신뢰감을 형성하고 ‘STEAM 교육의 공동 목표 갖기’ 및 STEAM 교육 운영 실태 점검을 위한 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 STEAM 교육에 대한 인식을 진단하였다. 문제점을 인식하고 STEAM 교육의 실행 방향을 의논하며 누리과정 속의 생활주제와 연계하였다. 생활 속 과학기술에 관심을 갖고 다른 사람과 협업을 통해 일상적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 문제 해결에 필요한 지식을 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A-STEAM활동, RST 활동, Making 활동 유형으로 나누어 활동을 계획 할 수 있었다. STEAM 교육 활동 유형 실행 평가에서 상황제시, 창의적설계, 감성적 체험의 과정을 통해 결과물을 공유하며 성공을 경험하고 다음 활동의 도전 욕구와 동기 부여 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유아는 또래, 교사와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었으며 주도적 참여, 자신의 생각을 구현하는 것에 대한 즐거움을 느낄 수 있었다. 둘째, STEAM 교육 운영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의 의미는 유아와 교사, 연구자 측면에서 찾을 수 있었다. 유아는 본 연구를 통해 STEAM 교육에서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를 적극적으로 문제해결 해 가는 과정에서 긍정적 영향을 제공하였다. 공학적 시도를 통해 유아의 생각이 실제로 구현될 수 있게 직접 경험하고 다각적으로 사물과 현상을 바라볼 수 있는 융합적 지식활용의 기회를 제공하면서 기술과 공학에 대한 경험과 이해 폭을 넓이고 과학과 예술이 서로 상보적 관계로 유아에게 다양하고 창의적 표현의 예술적 소양이 증진되었다. 또한 또래와 생각을 나누며 의사소통하고 협업하는 학습 과정에서 흥미, 성취감, 만족감 등을 느끼게 되며 성공경험을 통해 유아의 자신감이 향상되며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내적 동기가 발현하였다. 교사는 STEAM 교육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형성하며 자발적 참여의 연구하는 교사로 성장하였다. 교사학습공동체를 운영하며 막연한 부담감을 덜고 스스로 STEAM 교육에 흥미를 느끼고 상호작용하는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었다. 또한 교사 간 대화를 통해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며 반성하는 순환적인 과정을 통해 점차 더 나은 수업을 경험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교사는 과학교수효능감이 높아졌으며 STEAM 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도 연구 초에 비해 향상되었다. 이러한 교사학습공동체에서는 교사는 지속적으로 더 나은 STEAM 교육을 위해 능동적, 자발적으로 연구하고 실천하는 교사로 성장하게 되었다. 연구자는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 협력의 의미를 알게 되면서 교사 간 도움을 주는 연구자의 모습이 나타났다. 협력하는 방법을 찾아가며 이해하고 현장에서 어려움을 함께 이해하고 배려하며 STEAM 교육 운영을 위한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함께 생각에 도움을 제공하였다. 이는 유아의 활동을 자발적으로 더욱 활발하게 참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고 교사도 자신감을 가지고 활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 계기가 되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 significance of activities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an operation of STEAM education. The teachers and the researcher have sought the methods on clearly understanding the operation status in STEAM education conducted in a classroom and intended to investiga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 significance of activities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an operation of STEAM education. The teachers and the researcher have sought the methods on clearly understanding the operation status in STEAM education conducted in a classroom and intend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bserved from teachers, preschoolers and the researcher as well as the significance of the changes. The following study topics were defined according to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1. How will the operation activitie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STEAM education operation be performed? 2.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for STEAM education oper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9 months from January to September in 2019 and the teachers, who were working together in the L company daycare center located at Gyeonggi-do, have not only operated and participated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but also researched and explored the cases of actual experie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methods including participatory observations, teacher interviews and reflective journal writ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for STEAM education operation were conducted as follows. This community activities included not only to establish a sense of trust among teachers for practice of STEAM education but also to verify a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a perception on the STEAM education of teachers in order for ‘having common goals of STEAM education’ and inspecting the operational status of STEAM education. In addition, a perception of problems as well as a discussion on implementation direction for STEAM education were also involved in the activities, afterwards, those were associated with the matters of daily life within the Nuri course. It was possible to plan the activities by classifying them into A-STEAM activity, RST activity and Making activity in order to cultivate the ability for creatively solving the daily issues and to compositely utilize the knowledge required for problem solving through having both interests on the science and technology of life and collaborations with others. In the implementation evaluation for STEAM education activity patterns, the outcomes were shared, successes were experienced, and both desire and motive for challenging the next activity could be triggered through the processes of presentation of situation, creative design and emotional experience. During this process, the interaction of preschoolers with peers or teachers was substantially activated and they were able to feel a pleasure for initiative participation or implementation of own thoughts. Second, this study was able to identify a significance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operation of STEAM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preschoolers, teachers and the researcher. Preschoolers provided a positive influence through this study during the process of actively solving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an actual daily life under on STEAM education. The engineering attempts enabled the preschoolers to directly experience things or matters so that their thoughts can be actually implemented,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comprehensively utilizing the knowledge they have, to widen their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n the technology and engineering, and to improve their artistic culture in creative expression due to the complementary relations of science and art. In addition, the preschoolers felt interesting, accomplishment and satisfaction during the learning process of sharing their thoughts with peers, communicating and cooperating with others, and their self-confidence was enhanced and internal motive in which voluntarily participates was expressed through the experience of success. Meantime, teachers formed professional knowledge on STEAM education and became to research voluntarily. With operating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y were able to eliminate a vague sense of burden and establish positive attitudes that feel interests in and interact with the STEAM education. Moreover, they could gradually experience the better classes through a circulation process that includes planning, implementation and reflection of the classes. With this,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teachers was enhanced and their perception on STEAM education was also improved as well comparing to the beginning. Under this teacher learning community, teachers became to perform actively and voluntarily research and practice for better STEAM education. The researcher exhibited a shape that assists the teachers with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collaboration through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 researcher was seeking a way of collaborating, understanding the hardships of the educational sites and being considerate of others and helping the teachers to identify the better method of STEAM education operation. This provided a chance for preschoolers to more actively and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and for teachers to proceed the activities with confidenc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 significance of activities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an operation of STEAM education. The teachers and the researcher have sought the methods on clearly understanding the operation status in STEAM education conducted in a classroom and intend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bserved from teachers, preschoolers and the researcher as well as the significance of the changes. The following study topics were defined according to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1. How will the operation activitie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STEAM education operation be performed? 2.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for STEAM education oper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9 months from January to September in 2019 and the teachers, who were working together in the L company daycare center located at Gyeonggi-do, have not only operated and participated in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but also researched and explored the cases of actual experie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methods including participatory observations, teacher interviews and reflective journal writ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for STEAM education operation were conducted as follows. This community activities included not only to establish a sense of trust among teachers for practice of STEAM education but also to verify a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a perception on the STEAM education of teachers in order for ‘having common goals of STEAM education’ and inspecting the operational status of STEAM education. In addition, a perception of problems as well as a discussion on implementation direction for STEAM education were also involved in the activities, afterwards, those were associated with the matters of daily life within the Nuri course. It was possible to plan the activities by classifying them into A-STEAM activity, RST activity and Making activity in order to cultivate the ability for creatively solving the daily issues and to compositely utilize the knowledge required for problem solving through having both interests on the science and technology of life and collaborations with others. In the implementation evaluation for STEAM education activity patterns, the outcomes were shared, successes were experienced, and both desire and motive for challenging the next activity could be triggered through the processes of presentation of situation, creative design and emotional experience. During this process, the interaction of preschoolers with peers or teachers was substantially activated and they were able to feel a pleasure for initiative participation or implementation of own thoughts. Second, this study was able to identify a significance of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operation of STEAM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preschoolers, teachers and the researcher. Preschoolers provided a positive influence through this study during the process of actively solving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an actual daily life under on STEAM education. The engineering attempts enabled the preschoolers to directly experience things or matters so that their thoughts can be actually implemented,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comprehensively utilizing the knowledge they have, to widen their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n the technology and engineering, and to improve their artistic culture in creative expression due to the complementary relations of science and art. In addition, the preschoolers felt interesting, accomplishment and satisfaction during the learning process of sharing their thoughts with peers, communicating and cooperating with others, and their self-confidence was enhanced and internal motive in which voluntarily participates was expressed through the experience of success. Meantime, teachers formed professional knowledge on STEAM education and became to research voluntarily. With operating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y were able to eliminate a vague sense of burden and establish positive attitudes that feel interests in and interact with the STEAM education. Moreover, they could gradually experience the better classes through a circulation process that includes planning, implementation and reflection of the classes. With this,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teachers was enhanced and their perception on STEAM education was also improved as well comparing to the beginning. Under this teacher learning community, teachers became to perform actively and voluntarily research and practice for better STEAM education. The researcher exhibited a shape that assists the teachers with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collaboration through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 researcher was seeking a way of collaborating, understanding the hardships of the educational sites and being considerate of others and helping the teachers to identify the better method of STEAM education operation. This provided a chance for preschoolers to more actively and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and for teachers to proceed the activities with confidenc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