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형태의 무치악 부위 치료에 있어서 임플란트는 장기간 우수한 생존과 성공률이 보고되었고, 믿을 만한 치료양식 중 하나로 고려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 임플란트 생존률에 알려진 위험요인들과 임플란트 실패에 기여하는 위험인자들에 영향을 받는지를 검사하고 3년 이상 장기간 추적 관찰을 시행한 233개의 임플란트에 대한 후향적 연구를 통해 위험인자들과 변연골 흡수의 관련성이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함이다. 2003년부터 2017년까지 전남대학교 치과병원 치주과에서 한명의 치주과 의사에 의해 임플란트 식립된 환자의 진료차트가 후향적으로 검토되었다. 성별, 나이, 임플란트 식립 부위, 임플란트 직경 및 길이, 임플란트 회사, 임플란트 체결 방식, ...
다양한 형태의 무치악 부위 치료에 있어서 임플란트는 장기간 우수한 생존과 성공률이 보고되었고, 믿을 만한 치료양식 중 하나로 고려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 임플란트 생존률에 알려진 위험요인들과 임플란트 실패에 기여하는 위험인자들에 영향을 받는지를 검사하고 3년 이상 장기간 추적 관찰을 시행한 233개의 임플란트에 대한 후향적 연구를 통해 위험인자들과 변연골 흡수의 관련성이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함이다. 2003년부터 2017년까지 전남대학교 치과병원 치주과에서 한명의 치주과 의사에 의해 임플란트 식립된 환자의 진료차트가 후향적으로 검토되었다. 성별, 나이, 임플란트 식립 부위, 임플란트 직경 및 길이, 임플란트 회사, 임플란트 체결 방식, 치주염, GBR, 상악동 거상술, SPT, 흡연, 당뇨, 항응고제 투약, 간질환, 면역언제제 투약, 골다공증, PTV (Periotestvalue), ISQ (Implant Stability Quotient)과 같은 요소들이 전자 의무기록지와 INFINITT PACS M6프로그램을 통해 평가되었다. 임플란트 매식체의 직경, 길이, 임플란트 회사, 임플란트 체결방식, 전신질환의 유무, 치주염의 심도, GBR 유무, 상악동 거상술 유무, SPT 유무와 변연골 흡수와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임플란트 체결방식 (β=-.189, p<.05), SPT 유무 (β=-.163, p<.05), 당뇨 (β=-.164, p<.05), 골다공증 (β=-.211, p<.005)은 변연골 흡수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진제거법을 이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변연골 소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임플란트 길이, 체결방식, GBR, SPT, 당뇨, 항응고제, 골다공증이 있었다. 여러 요소들과 3년이상 임플란트 성공률(success, satisfactory survival of implant)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며 (F=1.086, p<.373, F=0.646, p<.762), 후진제거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임플란트 장기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항응고제 사용 이었다. 임플란트 1차, 2차 수술시 초기안정성을 나타내는 PTV, ISQ값과 임플란트 성공률에서는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연골 흡수와 3년이상 임플란트 장기 생존률의 상관관계는 없으나 (r=.073), 임플란트 2차 수술시 PTV값은 임플란트 장기 생존 (개월수)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r=.016, p<.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임플란트 장기간 유지의 성공을 위해서 임플란트 체결방식을 고려하여 선택하여야 하며, 주기적인 SPT를 진행하는 것이 좋고, 당뇨와 골다공증의 전신질환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임플란트 2차수술 시 PTV의 감소는 골융화의 증가와 임플란트의 3년 이상의 장기 생존에 영향을 주므로 보철물 시행 전 일차 안정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다양한 형태의 무치악 부위 치료에 있어서 임플란트는 장기간 우수한 생존과 성공률이 보고되었고, 믿을 만한 치료양식 중 하나로 고려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 임플란트 생존률에 알려진 위험요인들과 임플란트 실패에 기여하는 위험인자들에 영향을 받는지를 검사하고 3년 이상 장기간 추적 관찰을 시행한 233개의 임플란트에 대한 후향적 연구를 통해 위험인자들과 변연골 흡수의 관련성이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함이다. 2003년부터 2017년까지 전남대학교 치과병원 치주과에서 한명의 치주과 의사에 의해 임플란트 식립된 환자의 진료차트가 후향적으로 검토되었다. 성별, 나이, 임플란트 식립 부위, 임플란트 직경 및 길이, 임플란트 회사, 임플란트 체결 방식, 치주염, GBR, 상악동 거상술, SPT, 흡연, 당뇨, 항응고제 투약, 간질환, 면역언제제 투약, 골다공증, PTV (Periotest value), ISQ (Implant Stability Quotient)과 같은 요소들이 전자 의무기록지와 INFINITT PACS M6프로그램을 통해 평가되었다. 임플란트 매식체의 직경, 길이, 임플란트 회사, 임플란트 체결방식, 전신질환의 유무, 치주염의 심도, GBR 유무, 상악동 거상술 유무, SPT 유무와 변연골 흡수와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임플란트 체결방식 (β=-.189, p<.05), SPT 유무 (β=-.163, p<.05), 당뇨 (β=-.164, p<.05), 골다공증 (β=-.211, p<.005)은 변연골 흡수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진제거법을 이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변연골 소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임플란트 길이, 체결방식, GBR, SPT, 당뇨, 항응고제, 골다공증이 있었다. 여러 요소들과 3년이상 임플란트 성공률(success, satisfactory survival of implant)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며 (F=1.086, p<.373, F=0.646, p<.762), 후진제거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임플란트 장기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항응고제 사용 이었다. 임플란트 1차, 2차 수술시 초기안정성을 나타내는 PTV, ISQ값과 임플란트 성공률에서는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연골 흡수와 3년이상 임플란트 장기 생존률의 상관관계는 없으나 (r=.073), 임플란트 2차 수술시 PTV값은 임플란트 장기 생존 (개월수)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r=.016, p<.05) 이상의 결과로 보아 임플란트 장기간 유지의 성공을 위해서 임플란트 체결방식을 고려하여 선택하여야 하며, 주기적인 SPT를 진행하는 것이 좋고, 당뇨와 골다공증의 전신질환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임플란트 2차수술 시 PTV의 감소는 골융화의 증가와 임플란트의 3년 이상의 장기 생존에 영향을 주므로 보철물 시행 전 일차 안정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Dental implants therapy are widely used and are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reliable treatment options. Long term-excellent survival and success rates of implant therapy have been reporte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forms of edentulous area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risk fac...
Dental implants therapy are widely used and are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reliable treatment options. Long term-excellent survival and success rates of implant therapy have been reporte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forms of edentulous area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risk factors on implant survival rates,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contributing to implant failur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factors and marginal bone resorption through the retrospective studies of 233 implants with long-term follow-up over 3 years. From 2003 to 2017, patients’ medical charts with a history of dental implant surgery by one periodontist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Sex, age, implant placement site, implant diameter and length, implant company, implant connection type, the severity of periodontitis, GBR technique, maxillary sinus elevation technique, SPT, smoking, diabetes, anticoagulant medications, liver disease, immunodepressant medications, osteoporosis, PTV (periotest value), and ISQ (implant stability quotient) were evaluated through EMR (electronic medical records) and the INFINITT PACS M6 program. After analyzing statistical relevance between the diameter, length of implant fixture, implant company, implant connection type, systemic disease, the severity of periodontitis, with or without GBR, with or without maxillary sinus elevation, with or without SPT and marginal bone resorp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mplant connection type (β=-.189, p<.05), with or without SPT (β=-.163, p<.05), diabetes (β=-.164, p<.05), osteoporosis (β=-.211, p<.005) and marginal bone resorption.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backward elimination, factors affecting marginal bone loss were implant length, connection type, GBR technique, SPT, diabetes, anticoagulant medication, and osteoporosis. The factors and success rate of implants (success survival of implant, satisfactory survival of implant) over 3 yea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 = 1.086, p <.373, F = 0.646, p <.762).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backward elimination showed that anticoagulant medication use influenced the long-term success rate of implants. Also, PTV and ISQ values indicating initial stability of implants in the first and second dental implant surgeries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implant success rates. There was no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marginal bone resorption and long-term survival rates over 3 years (r=.073), however, PTV values during the second implant surger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long-term implant survival (r=.016, p<.05). Given the above results, the implant therapy should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implant connection type for the long-term success of the implant, and the periodic SPT is recommended. Also, the systemic diseases of diabetes and osteoporosis should be considered. Furthermore, since the reduction of PTV during the second implant surgery correlated with the long-term survival rates of the implant over 3 years, initial stability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before undergoing the prosthetic procedure.
Dental implants therapy are widely used and are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reliable treatment options. Long term-excellent survival and success rates of implant therapy have been reporte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forms of edentulous area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risk factors on implant survival rates,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contributing to implant failur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factors and marginal bone resorption through the retrospective studies of 233 implants with long-term follow-up over 3 years. From 2003 to 2017, patients’ medical charts with a history of dental implant surgery by one periodontist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Sex, age, implant placement site, implant diameter and length, implant company, implant connection type, the severity of periodontitis, GBR technique, maxillary sinus elevation technique, SPT, smoking, diabetes, anticoagulant medications, liver disease, immunodepressant medications, osteoporosis, PTV (periotest value), and ISQ (implant stability quotient) were evaluated through EMR (electronic medical records) and the INFINITT PACS M6 program. After analyzing statistical relevance between the diameter, length of implant fixture, implant company, implant connection type, systemic disease, the severity of periodontitis, with or without GBR, with or without maxillary sinus elevation, with or without SPT and marginal bone resorp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mplant connection type (β=-.189, p<.05), with or without SPT (β=-.163, p<.05), diabetes (β=-.164, p<.05), osteoporosis (β=-.211, p<.005) and marginal bone resorption.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backward elimination, factors affecting marginal bone loss were implant length, connection type, GBR technique, SPT, diabetes, anticoagulant medication, and osteoporosis. The factors and success rate of implants (success survival of implant, satisfactory survival of implant) over 3 yea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 = 1.086, p <.373, F = 0.646, p <.762).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backward elimination showed that anticoagulant medication use influenced the long-term success rate of implants. Also, PTV and ISQ values indicating initial stability of implants in the first and second dental implant surgeries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implant success rates. There was no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marginal bone resorption and long-term survival rates over 3 years (r=.073), however, PTV values during the second implant surger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long-term implant survival (r=.016, p<.05). Given the above results, the implant therapy should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implant connection type for the long-term success of the implant, and the periodic SPT is recommended. Also, the systemic diseases of diabetes and osteoporosis should be considered. Furthermore, since the reduction of PTV during the second implant surgery correlated with the long-term survival rates of the implant over 3 years, initial stability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before undergoing the prosthetic procedur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