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어린이집에서의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어린이집에서의 숲놀이 활동의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에서의 숲놀이 활동에 따라 유아의 정서지능과 놀이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 목포시, 무안군에 위치한 어린이집 19개소와 그곳에 다니고 있는 3~5세 유아 7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Windows용 SPSS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로 ...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서의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어린이집에서의 숲놀이 활동의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에서의 숲놀이 활동에 따라 유아의 정서지능과 놀이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 목포시, 무안군에 위치한 어린이집 19개소와 그곳에 다니고 있는 3~5세 유아 7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Windows용 SPSS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로 평균, 표준편차, 그리고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인의 그룹 수에 따라 독립표본 t-test 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와 Tukey HSD 사후검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숲놀이 활동 유무에서는 67%의 어린이집에서 숲놀이 활동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숲놀이 활동 수업을 하는 기관에서의 숲놀이 활동 주관은 숲놀이 전문가가 60.6%로 나타났다. 숲놀이 활동 월 횟수는 월 1~2회 57.5%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숲놀이 시간은 1시간~2시간 미만인 68.5%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숲놀이 장소는 57.3%의 어린이집이 지자체가 운영하는 숲체험원에서 실시하였다.
둘째, 어린이집에서의 숲놀이 활동(유무, 시간, 월 횟수, 장소)에 따라 유아의 정서지능의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어린이집에서의 숲놀이 유무에 따라 유아의 정서지능의 4가지 하위요인인 자기인식, 자기조절, 타인인식, 타인조절 모두와 전체 정서지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숲놀이를 하는 어린이집이 유아가 그렇지 않은 어린이집의 유아보다 정서지능 점수가 높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어린이집에서의 숲놀이 시간에 따라서는 유아의 정서지능의 4가지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 타인인식, 타인조절과 전체 정서지능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2시간 이상 실시하는 어린이집의 유아가 정서지능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숲놀이 활동 월 횟수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점수는 4가지 하위요인인 자기인식, 자기조절, 타인인식, 타인조절 모두와 전체 정서지능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월 5회 이상 숲놀이 활동하는 어린이집이 정서지능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에서의 숲놀이 장소에 따라서도 유아 정서지능 4가지 하위요인인 자기인식, 자기조절, 타인인식 모두와 전체 정서지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일반숲에서 활동할 때 유아의 정서지능 점수가 더 높았다.
셋째, 어린이집에서의 숲놀이 활동(유무, 시간, 월 횟수, 장소)에 따라 유아의 놀이성의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어린이집에서의 숲놀이 유무에 따라 전체 놀이성과 놀이성 5가지 하위요인인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감각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숲놀이 활동을 하는 유아의 놀이성 점수가 숲놀이 활동을 하지 않는 유아의 놀이성 점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에서의 숲놀이 활동 시간에 따라 놀이성 5가지 하위요인인 신체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감각과 놀이성 전체점수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신체적 자발성과 즐거움의 표현, 놀이성 전체점수에서 2시간 이상 숲놀이를 실시하는 어린이집 유아의 놀이성이 높게 나타났고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유머감각에서는 40분~1시간 실시하는 어린이집이 높게 나타났다. 어린이집에서의 숲놀이 활동 월 횟수에 따라서는 놀이성 5가지 하위요인인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유머감각과 놀이성 전체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놀이성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에서 월 5회 이상 실시하는 어린이집이 높게 나타났다. 어린이집에서의 숲놀이 활동 장소에 따라서는 놀이성 5가지 하위요인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감각과 놀이성 전체점수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숲에서 실시하는 어린이집 유아의 놀이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서의 숲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어린이집에서의 숲놀이 활동의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에서의 숲놀이 활동에 따라 유아의 정서지능과 놀이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 목포시, 무안군에 위치한 어린이집 19개소와 그곳에 다니고 있는 3~5세 유아 7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Windows용 SPSS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로 평균, 표준편차, 그리고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인의 그룹 수에 따라 독립표본 t-test 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와 Tukey HSD 사후검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숲놀이 활동 유무에서는 67%의 어린이집에서 숲놀이 활동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숲놀이 활동 수업을 하는 기관에서의 숲놀이 활동 주관은 숲놀이 전문가가 60.6%로 나타났다. 숲놀이 활동 월 횟수는 월 1~2회 57.5%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숲놀이 시간은 1시간~2시간 미만인 68.5%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숲놀이 장소는 57.3%의 어린이집이 지자체가 운영하는 숲체험원에서 실시하였다.
둘째, 어린이집에서의 숲놀이 활동(유무, 시간, 월 횟수, 장소)에 따라 유아의 정서지능의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어린이집에서의 숲놀이 유무에 따라 유아의 정서지능의 4가지 하위요인인 자기인식, 자기조절, 타인인식, 타인조절 모두와 전체 정서지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숲놀이를 하는 어린이집이 유아가 그렇지 않은 어린이집의 유아보다 정서지능 점수가 높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어린이집에서의 숲놀이 시간에 따라서는 유아의 정서지능의 4가지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 타인인식, 타인조절과 전체 정서지능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2시간 이상 실시하는 어린이집의 유아가 정서지능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숲놀이 활동 월 횟수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점수는 4가지 하위요인인 자기인식, 자기조절, 타인인식, 타인조절 모두와 전체 정서지능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월 5회 이상 숲놀이 활동하는 어린이집이 정서지능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에서의 숲놀이 장소에 따라서도 유아 정서지능 4가지 하위요인인 자기인식, 자기조절, 타인인식 모두와 전체 정서지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일반숲에서 활동할 때 유아의 정서지능 점수가 더 높았다.
셋째, 어린이집에서의 숲놀이 활동(유무, 시간, 월 횟수, 장소)에 따라 유아의 놀이성의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어린이집에서의 숲놀이 유무에 따라 전체 놀이성과 놀이성 5가지 하위요인인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감각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숲놀이 활동을 하는 유아의 놀이성 점수가 숲놀이 활동을 하지 않는 유아의 놀이성 점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에서의 숲놀이 활동 시간에 따라 놀이성 5가지 하위요인인 신체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감각과 놀이성 전체점수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신체적 자발성과 즐거움의 표현, 놀이성 전체점수에서 2시간 이상 숲놀이를 실시하는 어린이집 유아의 놀이성이 높게 나타났고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유머감각에서는 40분~1시간 실시하는 어린이집이 높게 나타났다. 어린이집에서의 숲놀이 활동 월 횟수에 따라서는 놀이성 5가지 하위요인인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유머감각과 놀이성 전체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놀이성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에서 월 5회 이상 실시하는 어린이집이 높게 나타났다. 어린이집에서의 숲놀이 활동 장소에 따라서는 놀이성 5가지 하위요인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머감각과 놀이성 전체점수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숲에서 실시하는 어린이집 유아의 놀이성이 높게 나타났다.
The study sought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forest play activities in daycare centers by finding out whether they have an impact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layfulness of infants. To this end, we looked for differences i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layfulness of infants according t...
The study sought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forest play activities in daycare centers by finding out whether they have an impact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layfulness of infants. To this end, we looked for differences i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layfulness of infants according to forest activities in daycare centers. The study was conducted on 19 daycare centers located in Gwangju, Mokpo, and Muan counties, and 709 infants aged between 3 and 5 years old attending the daycare center. The processing of the data was done using SPS 22.0 for Windows by means of technical statistics to perform mean, standard deviation, and frequency analysis. Methods for post-verification of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and Tukey HSD wer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groups of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rest play activities, 67% of daycare centers conducted forest play activities, and those responsible for such activities accounted for 60.6% of forest play professionals. The monthly number of forest play activities was the highest at 57.5 percent for one to two times, and 68.5 percent for less than one to two hours. And 57.3 percent of daycare centers are run by forest experience centers run by local governments.
Second, an analysis of whether differences in the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exist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forest play activities (activity, time of activity, monthly number of activities, and place of activity) in daycare center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erall emotional intelligence, including self-awareness, self-control, awareness of others, and control of others. This showed that children who attend daycare centers that carry out forest activities scored higher in emotional intelligence than those who did not. And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forest play activities in daycare centers, among the four sub-factors of the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ontrol, perception of others, control of others and overall emotional intelligence scores. Children in daycare centers who are engaged in forest play activities for more than two hours have a high score of emotional intelligenc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cores based on the monthly number of forest play activiti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scores of emotional intelligence, as well as in all four sub-indexes: self-awareness, self-control, perception of others, and overall, the emotional intelligence scores of children in daycare centers where forest play activities are conducted more than five times a month were higher.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forest play activities in daycare cent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verall emotional intelligence as well as all four sub-indexes of infant emotional intelligence: self-awareness, self-control, and perception of others; and the scores of the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were higher when operating in a typical forest.
Third, an analysis of whether differences exist in the playfulness of infants according to forest activity (activity, time of activity, monthly number of activities, and place of activity) in daycare centers has shown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the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expression of pleasure, and sense of humor, which are the five sub- factors related to the overall playability and playfulness of forest play in daycare. The study found that children who play in the forest have higher scores on the playfulness of children who do not play in the forest. Depending on the time of the forest play activity in daycare centers, differences were seen in the overall scores related to physical spontaneity, expression of joy, sense of humor and playfulness, which were the five sub factors related to playability. Playfulness of children in daycare centers, where forest play is conducted for more than two hours in terms of physical spontaneity, expression of joy and total score of playfulness, and 40 minutes to one hour in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and sense of humor were high. As for the number of monthly forest play activities in daycare centers, differences were seen across all five sub- factors related to playfulness: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sense of humor and playfulness. Children's daycare centers, which carry out forest play activities more than five times a month, were found to be high in both playfulness and sub-factor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forest activities in daycare centers, the five sub- factors related to playfulness were found to differ in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expression of joy, sense of humor and overall score of playfulness, and the playfulness of daycare centers performed in the general forest was high.
The study sought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forest play activities in daycare centers by finding out whether they have an impact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layfulness of infants. To this end, we looked for differences i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layfulness of infants according to forest activities in daycare centers. The study was conducted on 19 daycare centers located in Gwangju, Mokpo, and Muan counties, and 709 infants aged between 3 and 5 years old attending the daycare center. The processing of the data was done using SPS 22.0 for Windows by means of technical statistics to perform mean, standard deviation, and frequency analysis. Methods for post-verification of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and Tukey HSD wer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groups of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forest play activities, 67% of daycare centers conducted forest play activities, and those responsible for such activities accounted for 60.6% of forest play professionals. The monthly number of forest play activities was the highest at 57.5 percent for one to two times, and 68.5 percent for less than one to two hours. And 57.3 percent of daycare centers are run by forest experience centers run by local governments.
Second, an analysis of whether differences in the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exist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forest play activities (activity, time of activity, monthly number of activities, and place of activity) in daycare center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erall emotional intelligence, including self-awareness, self-control, awareness of others, and control of others. This showed that children who attend daycare centers that carry out forest activities scored higher in emotional intelligence than those who did not. And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forest play activities in daycare centers, among the four sub-factors of the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ontrol, perception of others, control of others and overall emotional intelligence scores. Children in daycare centers who are engaged in forest play activities for more than two hours have a high score of emotional intelligenc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cores based on the monthly number of forest play activiti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scores of emotional intelligence, as well as in all four sub-indexes: self-awareness, self-control, perception of others, and overall, the emotional intelligence scores of children in daycare centers where forest play activities are conducted more than five times a month were higher.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forest play activities in daycare cent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verall emotional intelligence as well as all four sub-indexes of infant emotional intelligence: self-awareness, self-control, and perception of others; and the scores of the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were higher when operating in a typical forest.
Third, an analysis of whether differences exist in the playfulness of infants according to forest activity (activity, time of activity, monthly number of activities, and place of activity) in daycare centers has shown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the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expression of pleasure, and sense of humor, which are the five sub- factors related to the overall playability and playfulness of forest play in daycare. The study found that children who play in the forest have higher scores on the playfulness of children who do not play in the forest. Depending on the time of the forest play activity in daycare centers, differences were seen in the overall scores related to physical spontaneity, expression of joy, sense of humor and playfulness, which were the five sub factors related to playability. Playfulness of children in daycare centers, where forest play is conducted for more than two hours in terms of physical spontaneity, expression of joy and total score of playfulness, and 40 minutes to one hour in social spontaneity, cognitive spontaneity, and sense of humor were high. As for the number of monthly forest play activities in daycare centers, differences were seen across all five sub- factors related to playfulness: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sense of humor and playfulness. Children's daycare centers, which carry out forest play activities more than five times a month, were found to be high in both playfulness and sub-factor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forest activities in daycare centers, the five sub- factors related to playfulness were found to differ in physical spontaneity, social spontaneity, expression of joy, sense of humor and overall score of playfulness, and the playfulness of daycare centers performed in the general forest was high.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