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만성 간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가도세틱산(Gadoxetic acid) 조영강조 자기공명영상에서 간 섬유화의 정량적 평가 : 전향적 다기관 연구 Quantitative measurement of hepatic fibrosis on Gadoxetic acid-enhanc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원문보기
영상을 통한 간 섬유화의 분석기법은 최근에 개발된 기법으로 간의 모양이나 조영증강정도, 신호강도분석, 질감분석 등의 기법을 이용한다. 간 자기공명영상의 간담도기 영상에서 신호강도의 분산분석 계수를 이용한 후향적 연구들이 있었으나 이 연구들은 임상적으로 진단된 만성 간염 환자들에서 진행되었다는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는 전향적 관찰자 다기관 연구로 3개의 3차 병원에서 시행한 연구이다. 이 연구에 포함된 77명의 환자는 간세포 특이적인 ...
영상을 통한 간 섬유화의 분석기법은 최근에 개발된 기법으로 간의 모양이나 조영증강정도, 신호강도분석, 질감분석 등의 기법을 이용한다. 간 자기공명영상의 간담도기 영상에서 신호강도의 분산분석 계수를 이용한 후향적 연구들이 있었으나 이 연구들은 임상적으로 진단된 만성 간염 환자들에서 진행되었다는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는 전향적 관찰자 다기관 연구로 3개의 3차 병원에서 시행한 연구이다. 이 연구에 포함된 77명의 환자는 간세포 특이적인 가돌리늄 조영제를 이용하여 3.0테슬라 혹은 1.5테슬라 자기공명영상검사를 받았으며 간조직 검사 또는 수술을 통해 정상 또는 간 섬유화로 병리학적 확진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공명영상의 간담도기 영상에서 분산분석계수를 측정하고 이를 체내 생역학 지표인 aspartate aminotransferase to platelet ratio index (APRI) and fibrosis-4 index (FIB-4)와 비교하여 병리학적 섬유화 점수의 예측을 비교하며 분산분석계수의 간 섬유화 예측의 진단능을 확인하고 분산분석계수 측정의 신뢰도를 보는 것이다. 환자는 병리학적 분석에 따라 총 4개의 군으로 나뉘었다 ; 그룹 Ⅰ(F0, 1), 그룹 Ⅱ(F2), 그룹 Ⅲ(F3), 그룹 Ⅳ(F4). 간 섬유화의 정량적 분석을 위해 자기공명영상 간담도기 영상의 비균질한 실질의 신호를 분산분석계수로 분석하였다. 분산분석계수, APRI, FIB-4의 그룹간 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의미있는 섬유화(≥ F2), 심한 섬유화(≥ F3), 그리고 간경화(= F4)의 진단능을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분산분석계수의 측정자내, 측정자간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평균 분산분석 계수는 그룹별로 각각 그룹 Ⅰ(18명): 3.50 ± 0.36, 그룹 Ⅱ(8명): 4.09 ± 0.50, 그룹 Ⅲ(21명): 4.45 ± 0.70, 그룹 Ⅳ(30명): 5.49 ± 1.12 (P < 0.001) 이었다. 평균 FIB-4 value는 각각 그룹 Ⅰ: 1.19 ± 1.20, 그룹 Ⅱ: 3.36 ± 2.74, 그룹 Ⅲ: 3.38 ± 3.12, 그룹 Ⅳ: 4.86 ± 3.39 (P = 0.001). APRI값은 그룹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271). 분산분석계수의 area under curves는 의미있는 섬유화(≥ F2)에서 0.930, 심한 섬유화(≥ F3)에서 0.894, 간경화(= F4)에서 0.874로 나타났다. 측정자 내 일치도는 0.993, 측정자간 일치도는 0.826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자기공명영상의 간담도기 영상에서 분산분석계수의 측정을 통해 간 섬유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신뢰도 있는 측정을 보였고 높은 진단능을 보였다.
영상을 통한 간 섬유화의 분석기법은 최근에 개발된 기법으로 간의 모양이나 조영증강정도, 신호강도분석, 질감분석 등의 기법을 이용한다. 간 자기공명영상의 간담도기 영상에서 신호강도의 분산분석 계수를 이용한 후향적 연구들이 있었으나 이 연구들은 임상적으로 진단된 만성 간염 환자들에서 진행되었다는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는 전향적 관찰자 다기관 연구로 3개의 3차 병원에서 시행한 연구이다. 이 연구에 포함된 77명의 환자는 간세포 특이적인 가돌리늄 조영제를 이용하여 3.0테슬라 혹은 1.5테슬라 자기공명영상검사를 받았으며 간조직 검사 또는 수술을 통해 정상 또는 간 섬유화로 병리학적 확진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공명영상의 간담도기 영상에서 분산분석계수를 측정하고 이를 체내 생역학 지표인 aspartate aminotransferase to platelet ratio index (APRI) and fibrosis-4 index (FIB-4)와 비교하여 병리학적 섬유화 점수의 예측을 비교하며 분산분석계수의 간 섬유화 예측의 진단능을 확인하고 분산분석계수 측정의 신뢰도를 보는 것이다. 환자는 병리학적 분석에 따라 총 4개의 군으로 나뉘었다 ; 그룹 Ⅰ(F0, 1), 그룹 Ⅱ(F2), 그룹 Ⅲ(F3), 그룹 Ⅳ(F4). 간 섬유화의 정량적 분석을 위해 자기공명영상 간담도기 영상의 비균질한 실질의 신호를 분산분석계수로 분석하였다. 분산분석계수, APRI, FIB-4의 그룹간 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의미있는 섬유화(≥ F2), 심한 섬유화(≥ F3), 그리고 간경화(= F4)의 진단능을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분산분석계수의 측정자내, 측정자간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평균 분산분석 계수는 그룹별로 각각 그룹 Ⅰ(18명): 3.50 ± 0.36, 그룹 Ⅱ(8명): 4.09 ± 0.50, 그룹 Ⅲ(21명): 4.45 ± 0.70, 그룹 Ⅳ(30명): 5.49 ± 1.12 (P < 0.001) 이었다. 평균 FIB-4 value는 각각 그룹 Ⅰ: 1.19 ± 1.20, 그룹 Ⅱ: 3.36 ± 2.74, 그룹 Ⅲ: 3.38 ± 3.12, 그룹 Ⅳ: 4.86 ± 3.39 (P = 0.001). APRI값은 그룹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271). 분산분석계수의 area under curves는 의미있는 섬유화(≥ F2)에서 0.930, 심한 섬유화(≥ F3)에서 0.894, 간경화(= F4)에서 0.874로 나타났다. 측정자 내 일치도는 0.993, 측정자간 일치도는 0.826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자기공명영상의 간담도기 영상에서 분산분석계수의 측정을 통해 간 섬유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신뢰도 있는 측정을 보였고 높은 진단능을 보였다.
Imaging-based analysis for liver fibrosis has been developed, recently. There are many techniques for imaging-based analysis based on morphology, enhancement, signal intensity or texture analysis. Several studies dealing with coefficient of variation (CV) measurements in magnetic resonance (MR) hepa...
Imaging-based analysis for liver fibrosis has been developed, recently. There are many techniques for imaging-based analysis based on morphology, enhancement, signal intensity or texture analysis. Several studies dealing with coefficient of variation (CV) measurements in magnetic resonance (MR) hepatobiliary phase (HBP) image were reported, which were retrospectively conducted in clinically diagnosed chronic liver disease patients. This study was a prospective observational multicenter study which proceeded in three tertiary medical centers. Total 77 patients who underwent 3.0-Tesla (T) or 1.5-T liver MR imaging using Gadolinium ethoxybenzyl-diethylenetriaminepentaacetic acid (Gd-EOB-DTPA) and liver biopsy or surgery were included. And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mean CV values in MR HBP image and serum biomarkers such as aspartate aminotransferase to platelet ratio index (APRI) and fibrosis-4 index (FIB-4) values according to the histopathologic fibrosis score, to identify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CV map in diagnosing hepatic fibrosis and to assess measurement reliability. Patien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 liver fibrosis score; Group Ⅰ (F0, 1), Group Ⅱ (F2), Group Ⅲ (F3), Group Ⅳ (F4). To quantitatively measure the hepatic fibrosis, MR HBP image was analyzed to identify inhomogeneous signal intensities calculated from CV map in the liver parenchyma. The comparison of mean CV, APRI and FIB-4 according to the study groups was analyzed.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the CV map for significant fibrosis (≥ F2), severe fibrosis (≥ F3) and cirrhosis (= F4) was evaluated using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Intra- and inter- observer agreements of CV measurement were analyzed. Mean CV values in each group were group Ⅰ (n = 18): 3.50 ± 0.36, group Ⅱ (n = 8): 4.09 ± 0.50, group Ⅲ (n = 21): 4.45 ± 0.70, and group Ⅳ (n = 30): 5.49 ± 1.12, respectively (P < 0.001). FIB-4 values were group Ⅰ: 1.19 ± 1.20, group Ⅱ: 3.36 ± 2.74, group Ⅲ: 3.38 ± 3.12, and group Ⅳ: 4.86 ± 3.39, respectively (P = 0.001). APRI didn'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among each group (P = 0.271). Area under curves of CV values on ROC analysis were 0.930 for significant fibrosis (≥ F2), 0.894 for severe fibrosis (≥ F3), 0.874 for cirrhosis (= F4) (P < 0.001, respectively). Intra- and inter- observer agreements of CV value measurement were 0.993 and 0.826. In conclusion, the CV value based on HBP MR image provides accurate discrimination of hepatic fibrosis with reliable measurements and demonstrates high diagnostic performance.
Imaging-based analysis for liver fibrosis has been developed, recently. There are many techniques for imaging-based analysis based on morphology, enhancement, signal intensity or texture analysis. Several studies dealing with coefficient of variation (CV) measurements in magnetic resonance (MR) hepatobiliary phase (HBP) image were reported, which were retrospectively conducted in clinically diagnosed chronic liver disease patients. This study was a prospective observational multicenter study which proceeded in three tertiary medical centers. Total 77 patients who underwent 3.0-Tesla (T) or 1.5-T liver MR imaging using Gadolinium ethoxybenzyl-diethylenetriaminepentaacetic acid (Gd-EOB-DTPA) and liver biopsy or surgery were included. And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mean CV values in MR HBP image and serum biomarkers such as aspartate aminotransferase to platelet ratio index (APRI) and fibrosis-4 index (FIB-4) values according to the histopathologic fibrosis score, to identify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CV map in diagnosing hepatic fibrosis and to assess measurement reliability. Patien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 liver fibrosis score; Group Ⅰ (F0, 1), Group Ⅱ (F2), Group Ⅲ (F3), Group Ⅳ (F4). To quantitatively measure the hepatic fibrosis, MR HBP image was analyzed to identify inhomogeneous signal intensities calculated from CV map in the liver parenchyma. The comparison of mean CV, APRI and FIB-4 according to the study groups was analyzed.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the CV map for significant fibrosis (≥ F2), severe fibrosis (≥ F3) and cirrhosis (= F4) was evaluated using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Intra- and inter- observer agreements of CV measurement were analyzed. Mean CV values in each group were group Ⅰ (n = 18): 3.50 ± 0.36, group Ⅱ (n = 8): 4.09 ± 0.50, group Ⅲ (n = 21): 4.45 ± 0.70, and group Ⅳ (n = 30): 5.49 ± 1.12, respectively (P < 0.001). FIB-4 values were group Ⅰ: 1.19 ± 1.20, group Ⅱ: 3.36 ± 2.74, group Ⅲ: 3.38 ± 3.12, and group Ⅳ: 4.86 ± 3.39, respectively (P = 0.001). APRI didn'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among each group (P = 0.271). Area under curves of CV values on ROC analysis were 0.930 for significant fibrosis (≥ F2), 0.894 for severe fibrosis (≥ F3), 0.874 for cirrhosis (= F4) (P < 0.001, respectively). Intra- and inter- observer agreements of CV value measurement were 0.993 and 0.826. In conclusion, the CV value based on HBP MR image provides accurate discrimination of hepatic fibrosis with reliable measurements and demonstrates high diagnostic performanc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