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일반교과 사교육의 교과목 중 수학을 가르치는 수학강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고등학생의 학습만족도와 고객충성도에 관한 수강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수학강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학습만족도와 고객충성도에 영향을 주는 구성요인을 조사하여 수학강사에게 변혁적 리더십 개발이 얼마나 중요한지와 변혁적 리더십의 효과성에 대해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학원장 및 관리자에게는 강사 관리 방안과 경영성과의 개선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변혁적 리더십과 관련하여 수행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고, 학습만족도와 고객충성도와 관련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고자 교육학 관련 서적과 문헌을 검토하는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도출하였으며, 연구모형을 검증하고자 설문조사를 통하여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일반교과 사교육의 교과목 중 수학을 가르치는 수학강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고등학생의 학습만족도와 고객충성도에 관한 수강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수학강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학습만족도와 고객충성도에 영향을 주는 구성요인을 조사하여 수학강사에게 변혁적 리더십 개발이 얼마나 중요한지와 변혁적 리더십의 효과성에 대해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학원장 및 관리자에게는 강사 관리 방안과 경영성과의 개선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변혁적 리더십과 관련하여 수행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고, 학습만족도와 고객충성도와 관련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고자 교육학 관련 서적과 문헌을 검토하는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도출하였으며, 연구모형을 검증하고자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설문지에서 수학강사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측정도구는 정성령(2014)의 연구를 참조하였고, 수학수업을 듣는 고등학생의 학습만족도에 대한 측정도구는 조혜영(2016), 홍재룡(2017), 양현경(2018)을 참조하여 작성하였다. 고객충성도에 대한 측정도구는 이명재(2018)와 이동호(2015)를 참조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서울과 경기 지역 수학전문학원에서 수학강사를 통해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2019년 6월 10일부터 7월 15일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설문지의 배포와 수집은 직접 방문하거나 택배를 활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배포된 610부의 설문지 중 597부가 회수되었다. 이 중 무성의한 응답지 22부를 제외하고 수학 사교육 형태가 수학전문학원이 아닌 16부를 데이터 밸런스를 통하여 제외하였고 나머지 559부(93.6%)를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유의수준 p < .05에서 검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통계 처리는 IBM SPSS Statistics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절차를 거쳐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강사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지적자극(평균값 4.23)이 가장 높고, 개별적 배려(평균값 4.16), 이상적 영향력(평균값 4.02), 영감적 동기화(평균값 3.39)순이다. 고등학생의 학습만족도는 학습방법 만족도(평균값 4.49)가 가장 높고 학습지도 만족도(평균값 4.36), 학생이해 만족도(평균값 4.23), 학습효능 만족도(평균값 3.99)순이다. 고등학생의 고객충성도는 연속수강의도(평균값 4.25)가 가장 높고, 구전의도(평균값 4.13), 강사충성도(평균값 3.94)순이다. 전반적으로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수학강사의 변혁적 리더십, 학습만족도, 고객충성도는 높게 조사되었다. 둘째, 고등학생의 개인배경 및 사교육 참여특성에 따라서 수학강사의 변혁적 리더십(지적자극, 이상적 영향력, 개별적 배려, 영감적 동기화), 학습만족도(학습방법 만족도, 학습지도 만족도, 학생이해 만족도, 학습효능 만족도), 고객충성도(강사충성도, 연속수강의도, 구전의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인배경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개별적 배려, 영감적 동기화, 학습효능 만족도, 강사충성도가 높고, 3학년이 1학년 보다 개별적 배려, 지적자극, 학습방법 만족도, 구전의도가 높고, 3학년이 1, 2학년 보다 이상적 영향력, 학습효능 만족도, 학습지도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학업성적에 따라 1, 2등급이 5, 6등급보다 지적자극, 학습효능 만족도, 강사충성도가 높고, 1, 2등급이 3, 4등급보다 학습방법 만족도가 높다. 사교육 참여특성에서는 수학 사교육 수강기간이 1년 6개월 이상–2년 미만에 해당하는 학생이 다른 기간의 학생보다 개별적 배려, 이상적 영향력, 영감적 동기화, 학습지도 만족도, 강사충성도, 연속수강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수학 사교육 월비용에 따라 40만원 이상-60만원 미만을 사용하는 학생이 20만원 이상-40만원 미만을 사용하는 학생보다 영감적 동기화, 학습효능 만족도, 구전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의 학습만족도 및 고객충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효능 만족도는 이상적 영향력, 지적자극, 영감적 동기화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학습지도 만족도는 개별적 배려, 이상적 영향력, 지적자극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학생이해 만족도는 수학강사의 성별이 여자이며 학생의 학년이 높고 개별적 배려, 이상적 영향력, 지적자극이 높을수록 높아지며, 학습방법 만족도는 개별적 배려, 이상적 영향력, 지적자극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고객충성도에서 강사충성도는 수학강사의 성별이 여자이고 학년이 높으며 개별적 배려, 이상적 영향력, 지적자극, 영감적 동기화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연속수강의도는 수학강사의 성별이 여자이고 학년과 학업성적이 높으며 개별적 배려, 이상적 영향력, 지적자극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구전의도는 개별적 배려, 이상적 영향력, 지적자극, 영감적 동기화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넷째, 수학강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학습만족도를 매개로 고객충성도에 주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변혁적 리더십은 고객충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변혁적 리더십이 학습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학습만족도는 고객충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간접적인 영향 또한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수학강사는 변혁적 리더십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변혁적 리더십의 세부요인들을 계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하고, 학원장 및 관리자는 학생의 성별, 학년별, 성적별을 고려한 반편성을 통해 수학강사의 리더십이 잘 발현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더불어 학원장 및 관리자는 강사들이 소지하고 있는 변혁적 리더십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변혁적 리더십을 높이기 위해서 교육과 관리를 하여야 하며, 고등학생의 학습만족도 및 고객충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수학강사와 함께 노력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일반교과 사교육의 교과목 중 수학을 가르치는 수학강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고등학생의 학습만족도와 고객충성도에 관한 수강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수학강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학습만족도와 고객충성도에 영향을 주는 구성요인을 조사하여 수학강사에게 변혁적 리더십 개발이 얼마나 중요한지와 변혁적 리더십의 효과성에 대해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학원장 및 관리자에게는 강사 관리 방안과 경영성과의 개선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변혁적 리더십과 관련하여 수행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고, 학습만족도와 고객충성도와 관련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고자 교육학 관련 서적과 문헌을 검토하는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도출하였으며, 연구모형을 검증하고자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설문지에서 수학강사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측정도구는 정성령(2014)의 연구를 참조하였고, 수학수업을 듣는 고등학생의 학습만족도에 대한 측정도구는 조혜영(2016), 홍재룡(2017), 양현경(2018)을 참조하여 작성하였다. 고객충성도에 대한 측정도구는 이명재(2018)와 이동호(2015)를 참조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서울과 경기 지역 수학전문학원에서 수학강사를 통해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2019년 6월 10일부터 7월 15일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설문지의 배포와 수집은 직접 방문하거나 택배를 활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배포된 610부의 설문지 중 597부가 회수되었다. 이 중 무성의한 응답지 22부를 제외하고 수학 사교육 형태가 수학전문학원이 아닌 16부를 데이터 밸런스를 통하여 제외하였고 나머지 559부(93.6%)를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유의수준 p < .05에서 검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통계 처리는 IBM SPSS Statistics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절차를 거쳐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강사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지적자극(평균값 4.23)이 가장 높고, 개별적 배려(평균값 4.16), 이상적 영향력(평균값 4.02), 영감적 동기화(평균값 3.39)순이다. 고등학생의 학습만족도는 학습방법 만족도(평균값 4.49)가 가장 높고 학습지도 만족도(평균값 4.36), 학생이해 만족도(평균값 4.23), 학습효능 만족도(평균값 3.99)순이다. 고등학생의 고객충성도는 연속수강의도(평균값 4.25)가 가장 높고, 구전의도(평균값 4.13), 강사충성도(평균값 3.94)순이다. 전반적으로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수학강사의 변혁적 리더십, 학습만족도, 고객충성도는 높게 조사되었다. 둘째, 고등학생의 개인배경 및 사교육 참여특성에 따라서 수학강사의 변혁적 리더십(지적자극, 이상적 영향력, 개별적 배려, 영감적 동기화), 학습만족도(학습방법 만족도, 학습지도 만족도, 학생이해 만족도, 학습효능 만족도), 고객충성도(강사충성도, 연속수강의도, 구전의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인배경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개별적 배려, 영감적 동기화, 학습효능 만족도, 강사충성도가 높고, 3학년이 1학년 보다 개별적 배려, 지적자극, 학습방법 만족도, 구전의도가 높고, 3학년이 1, 2학년 보다 이상적 영향력, 학습효능 만족도, 학습지도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학업성적에 따라 1, 2등급이 5, 6등급보다 지적자극, 학습효능 만족도, 강사충성도가 높고, 1, 2등급이 3, 4등급보다 학습방법 만족도가 높다. 사교육 참여특성에서는 수학 사교육 수강기간이 1년 6개월 이상–2년 미만에 해당하는 학생이 다른 기간의 학생보다 개별적 배려, 이상적 영향력, 영감적 동기화, 학습지도 만족도, 강사충성도, 연속수강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수학 사교육 월비용에 따라 40만원 이상-60만원 미만을 사용하는 학생이 20만원 이상-40만원 미만을 사용하는 학생보다 영감적 동기화, 학습효능 만족도, 구전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의 학습만족도 및 고객충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효능 만족도는 이상적 영향력, 지적자극, 영감적 동기화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학습지도 만족도는 개별적 배려, 이상적 영향력, 지적자극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학생이해 만족도는 수학강사의 성별이 여자이며 학생의 학년이 높고 개별적 배려, 이상적 영향력, 지적자극이 높을수록 높아지며, 학습방법 만족도는 개별적 배려, 이상적 영향력, 지적자극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고객충성도에서 강사충성도는 수학강사의 성별이 여자이고 학년이 높으며 개별적 배려, 이상적 영향력, 지적자극, 영감적 동기화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연속수강의도는 수학강사의 성별이 여자이고 학년과 학업성적이 높으며 개별적 배려, 이상적 영향력, 지적자극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구전의도는 개별적 배려, 이상적 영향력, 지적자극, 영감적 동기화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넷째, 수학강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학습만족도를 매개로 고객충성도에 주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변혁적 리더십은 고객충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변혁적 리더십이 학습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학습만족도는 고객충성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간접적인 영향 또한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수학강사는 변혁적 리더십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변혁적 리더십의 세부요인들을 계발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하고, 학원장 및 관리자는 학생의 성별, 학년별, 성적별을 고려한 반편성을 통해 수학강사의 리더십이 잘 발현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더불어 학원장 및 관리자는 강사들이 소지하고 있는 변혁적 리더십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변혁적 리더십을 높이기 위해서 교육과 관리를 하여야 하며, 고등학생의 학습만족도 및 고객충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수학강사와 함께 노력하여야 한다.
Life science has made considerable progress in terms of complexity and influence over the past decades, and the range of problems that life science and biotechnology are trying to solve, including advances in genetic information, synthesis and editing techniques, and gene recombinant technology ...
Life science has made considerable progress in terms of complexity and influence over the past decades, and the range of problems that life science and biotechnology are trying to solve, including advances in genetic information, synthesis and editing techniques, and gene recombinant technology of cells or organisms, is expanding. The ability to understand complex life systems has greatly improved through mathematical approaches, and life design has become very promising. These future applications of life sciences should be accompanied by fundamental justification considerations and through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For this view, thinking and learning, it is becoming natural to cultivate that knowledge and value through various learning elements of life science with students in school classes. However, life sciences, unlike visible features, are very molecular-level exploration and are closely linked to other concepts, resulting in complex knowledge structures. Therefore, many prior studies have shown that students have considerable difficulty in learning such content, and that there are many misunderstandings and difficulties in learning. The basic concepts in students' accrual learning strategies require the creation and sophistication of an individual's formal knowledge structure and should be formed through guidance and feedback from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 stu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their own conceptualization and learning in classroom learning. In addition, scientific research activities must be implemented in order to improve scientific thinking skills. The incident learning model introduced in several previous studies significantly correlates what students already know with what they learn. Students can also naturally participate in accrual activities as an expression of various methods through combining concepts or associating with other subjects. Teachers can stimulate students' interests and intentions through appropriate questions and feedback, and by connecting the knowledge of concepts and subjects in general, can lead to incidental thinking processes, which in turn can improve students' life science learning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skills. In this study, as one of the various exploratory-oriented learning alternatives for cultivating students' scientific skills, a method of systematically linking mathematics subjects to life-science-oriented science subjects was developed to develop a teaching guide. First of all, we analyzed the contents of life sciences that were presented in the revised curriculum. Although the basic terms and concepts of life phenomena are explained evenly in the analyzed life science textbook, the examination process of problems to be calculated by linking the mathematical concepts presented in the confirmation study 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was insufficient. This means that learning outcomes are affected by students' background knowledge and teachers' teaching methods and content. In addition, most of the reading materials and collection activities presented in the textbooks were conducted only through concepts and examples. In this class, there were limitations to exploration activities such as discussion, presentation and group activities. Second, we analyzed the contents of mathematics in order of academic and conceptual content in the curriculum and analyzed the association with the detailed members of the high school life science curriculum. Third, using accrual learning modules as a teaching method to effectively guide students in the school field, we developed a model of classroom guidance that approaches students' existing mathematical knowledge systems by reconstructing them with a new knowledge system to learn from life sciences. This leads to the reconstruction of the knowledge that students previously learned. These classes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learners who develop the ability to participate and adapt to the developing science and technology environment with interest in the formation of new concepts, the upgrad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social problems of science and technology.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e course guidance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e will be able to develop incidental thinking skills that provide opportunities to reconstruct learned background knowledge and link new learners with knowledge, and develop scientific participation, lifelong learning skills and logical behavior skills in real life.
Life science has made considerable progress in terms of complexity and influence over the past decades, and the range of problems that life science and biotechnology are trying to solve, including advances in genetic information, synthesis and editing techniques, and gene recombinant technology of cells or organisms, is expanding. The ability to understand complex life systems has greatly improved through mathematical approaches, and life design has become very promising. These future applications of life sciences should be accompanied by fundamental justification considerations and through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For this view, thinking and learning, it is becoming natural to cultivate that knowledge and value through various learning elements of life science with students in school classes. However, life sciences, unlike visible features, are very molecular-level exploration and are closely linked to other concepts, resulting in complex knowledge structures. Therefore, many prior studies have shown that students have considerable difficulty in learning such content, and that there are many misunderstandings and difficulties in learning. The basic concepts in students' accrual learning strategies require the creation and sophistication of an individual's formal knowledge structure and should be formed through guidance and feedback from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 stude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their own conceptualization and learning in classroom learning. In addition, scientific research activities must be implemented in order to improve scientific thinking skills. The incident learning model introduced in several previous studies significantly correlates what students already know with what they learn. Students can also naturally participate in accrual activities as an expression of various methods through combining concepts or associating with other subjects. Teachers can stimulate students' interests and intentions through appropriate questions and feedback, and by connecting the knowledge of concepts and subjects in general, can lead to incidental thinking processes, which in turn can improve students' life science learning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skills. In this study, as one of the various exploratory-oriented learning alternatives for cultivating students' scientific skills, a method of systematically linking mathematics subjects to life-science-oriented science subjects was developed to develop a teaching guide. First of all, we analyzed the contents of life sciences that were presented in the revised curriculum. Although the basic terms and concepts of life phenomena are explained evenly in the analyzed life science textbook, the examination process of problems to be calculated by linking the mathematical concepts presented in the confirmation study 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was insufficient. This means that learning outcomes are affected by students' background knowledge and teachers' teaching methods and content. In addition, most of the reading materials and collection activities presented in the textbooks were conducted only through concepts and examples. In this class, there were limitations to exploration activities such as discussion, presentation and group activities. Second, we analyzed the contents of mathematics in order of academic and conceptual content in the curriculum and analyzed the association with the detailed members of the high school life science curriculum. Third, using accrual learning modules as a teaching method to effectively guide students in the school field, we developed a model of classroom guidance that approaches students' existing mathematical knowledge systems by reconstructing them with a new knowledge system to learn from life sciences. This leads to the reconstruction of the knowledge that students previously learned. These classes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learners who develop the ability to participate and adapt to the developing science and technology environment with interest in the formation of new concepts, the upgrad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social problems of science and technology.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e course guidance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e will be able to develop incidental thinking skills that provide opportunities to reconstruct learned background knowledge and link new learners with knowledge, and develop scientific participation, lifelong learning skills and logical behavior skills in real life.
주제어
#생명과학1 생명과학2 2015개정 교육과정 과학 수학과 생명과학 수업지도안 Life Science1 Life Science2 2015 Revision Curriculum Science Mathematics and Life Sciences Class Guidance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진태
학위수여기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통합과학교육 전공
지도교수
이태호
발행연도
2020
총페이지
x, 110 p.
키워드
생명과학1 생명과학2 2015개정 교육과정 과학 수학과 생명과학 수업지도안 Life Science1 Life Science2 2015 Revision Curriculum Science Mathematics and Life Sciences Class Guidanc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