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계한 음악교육의 실태를 조사하고 민(民), 관(官), 학(學)의 입장에서 실제적(實際的)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악적인 교육내용을 다루기 위한 행정적 전반에 대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다.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사업은 혁신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세워진 민관학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학교 뿐 만이 아니라 학교를 둘러싼 시·도청, 교육청, 교육지원청, 자치구청, 지역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이들이 교육의 주체가 된다. 교육의 주체인 모든 이들이 함께 힘을 모아 협력과 협치를 이루어 어린이·청소년의 성장을 도우며 이들의 성장을 통해 지역사회를 변화시키고 나아가 공동체적 삶의 중요성 일깨워 사회 전체의 인식의 변화까지 이끌어내는 것이다. 공교육의 정상화와 마을교육생태계를 조성하고 체계를 갖추는 등 양적 성장을 목표로 하던 1단계 사업을 지나 “새로운 상상,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숙으로!!”라는 표어를 통해 교육의 ‘질적 성장’인 2단계 사업으로 초점을 옮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의 흐름을 보이는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사업을 중심으로 하여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 음악교육이 차지하는 위치와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음악교육의 현주소를 들여다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학교와 지역이 연계된 다양한 음악교육 실제 사례들을 알아보며 민-관-학 각자의 관점에서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모색하였다. 첫째, 각 지역의 음악예술단체인 ‘민(民)’은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적극적인 참여와 협업의 자세가 요구된다. 음악예술단체는 지역별 ...
본 연구는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계한 음악교육의 실태를 조사하고 민(民), 관(官), 학(學)의 입장에서 실제적(實際的)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악적인 교육내용을 다루기 위한 행정적 전반에 대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다.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사업은 혁신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세워진 민관학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학교 뿐 만이 아니라 학교를 둘러싼 시·도청, 교육청, 교육지원청, 자치구청, 지역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이들이 교육의 주체가 된다. 교육의 주체인 모든 이들이 함께 힘을 모아 협력과 협치를 이루어 어린이·청소년의 성장을 도우며 이들의 성장을 통해 지역사회를 변화시키고 나아가 공동체적 삶의 중요성 일깨워 사회 전체의 인식의 변화까지 이끌어내는 것이다. 공교육의 정상화와 마을교육생태계를 조성하고 체계를 갖추는 등 양적 성장을 목표로 하던 1단계 사업을 지나 “새로운 상상,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숙으로!!”라는 표어를 통해 교육의 ‘질적 성장’인 2단계 사업으로 초점을 옮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의 흐름을 보이는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사업을 중심으로 하여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 음악교육이 차지하는 위치와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음악교육의 현주소를 들여다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학교와 지역이 연계된 다양한 음악교육 실제 사례들을 알아보며 민-관-학 각자의 관점에서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모색하였다. 첫째, 각 지역의 음악예술단체인 ‘민(民)’은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적극적인 참여와 협업의 자세가 요구된다. 음악예술단체는 지역별 사회적기업 협동조합을 통해 지역 내 음악예술교육의 기여 등 적극적인 연대의 자세가 필요하다. 둘째, 지역사회 축제, 음악예술단체 등을 관리하는 ‘관(官)’은 마을의 인적·물적 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운용해야한다. 지역축제 등 지역문화사업을 활용하거나 지역 내 음악예술 관련 사회적기업 등을 목록화 하는 등 상생협력의 플랫폼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학(學)’은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사업의 중심으로서 사업의 이해와 변화 수용의 자세를 지녀야 한다. 시·도교육청의 연습실 지원사업을 활용하고 마을결합형사업을 통해 학교 동아리를 지역과 연계하는 등 학교 내외의 인적·물적 자원을 적극 활용하여 음악교육의 효과를 보다 극대화시켜야 할 것이다 .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사업은 보다 세분화되어 발전하고 있다. 그 안에서 음악교육프로그램은 앞으로 계속 높은 수준의 내용을 요구받게 될 것이며 음악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질적 논의가 분명 필요하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사업의 음악교육프로그램의 질적 논의가 충분히 일어나기를 기대한다. 또한 그로 인해 서울형혁신교육지구 교육의 주체 모두가 함께 성장하고 풍성한 삶을 살아갈 수 있기를 바란다.
본 연구는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계한 음악교육의 실태를 조사하고 민(民), 관(官), 학(學)의 입장에서 실제적(實際的)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악적인 교육내용을 다루기 위한 행정적 전반에 대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다.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사업은 혁신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세워진 민관학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학교 뿐 만이 아니라 학교를 둘러싼 시·도청, 교육청, 교육지원청, 자치구청, 지역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이들이 교육의 주체가 된다. 교육의 주체인 모든 이들이 함께 힘을 모아 협력과 협치를 이루어 어린이·청소년의 성장을 도우며 이들의 성장을 통해 지역사회를 변화시키고 나아가 공동체적 삶의 중요성 일깨워 사회 전체의 인식의 변화까지 이끌어내는 것이다. 공교육의 정상화와 마을교육생태계를 조성하고 체계를 갖추는 등 양적 성장을 목표로 하던 1단계 사업을 지나 “새로운 상상,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숙으로!!”라는 표어를 통해 교육의 ‘질적 성장’인 2단계 사업으로 초점을 옮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의 흐름을 보이는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사업을 중심으로 하여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 음악교육이 차지하는 위치와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음악교육의 현주소를 들여다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학교와 지역이 연계된 다양한 음악교육 실제 사례들을 알아보며 민-관-학 각자의 관점에서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모색하였다. 첫째, 각 지역의 음악예술단체인 ‘민(民)’은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적극적인 참여와 협업의 자세가 요구된다. 음악예술단체는 지역별 사회적기업 협동조합을 통해 지역 내 음악예술교육의 기여 등 적극적인 연대의 자세가 필요하다. 둘째, 지역사회 축제, 음악예술단체 등을 관리하는 ‘관(官)’은 마을의 인적·물적 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운용해야한다. 지역축제 등 지역문화사업을 활용하거나 지역 내 음악예술 관련 사회적기업 등을 목록화 하는 등 상생협력의 플랫폼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학(學)’은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사업의 중심으로서 사업의 이해와 변화 수용의 자세를 지녀야 한다. 시·도교육청의 연습실 지원사업을 활용하고 마을결합형사업을 통해 학교 동아리를 지역과 연계하는 등 학교 내외의 인적·물적 자원을 적극 활용하여 음악교육의 효과를 보다 극대화시켜야 할 것이다 .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사업은 보다 세분화되어 발전하고 있다. 그 안에서 음악교육프로그램은 앞으로 계속 높은 수준의 내용을 요구받게 될 것이며 음악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질적 논의가 분명 필요하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사업의 음악교육프로그램의 질적 논의가 충분히 일어나기를 기대한다. 또한 그로 인해 서울형혁신교육지구 교육의 주체 모두가 함께 성장하고 풍성한 삶을 살아갈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thesis examines current conditions in the research and discourse on music education in the context of school and community engagement and seeks for practical activation plan from the public, government and institution perspectives. The overall administrative contents provided the fundamental co...
This thesis examines current conditions in the research and discourse on music education in the context of school and community engagement and seeks for practical activation plan from the public, government and institution perspectives. The overall administrative contents provided the fundamental concepts in this research on community interaction in music education. Seoul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is a policy that has established its foundation in public, government and institution sectors to further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management in the innovative education. Thus, not only the institution is considered the educational participant but numerous related administrative departments such as city hall, the provincial government, ministry of education, subsidiary offices of education and municipal offices take significant roles in aiding the management system in education. Successful collaborations between the school and community institutions at national, state and local levels in Korea encourages the growth of children and teenagers of which interrelate with community development and enlightenment of community spirit to derive the shift in the awareness. The first stage of the business focused on the quantitative growth by structuring and implementing the normalization of the public education and village education system, proceeding to the next stage, a slogan “A new imagination, from the qualitative growth to qualitative development” was employed to newly focus on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education. It is the intent of this research to investigate the operational system and its condition in the music education inter-linked to the school and community, and the current standing of the music education upon the adoption of Seoul Innovative Educational District policy which initiates the shift of quantitative development to qualitative enhancement.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a case-study on the collaborative music education is used in discussion as a reference point for supporting methods upon which from the perspectives of public, government and institution, qualitative enhancement can be achieved. First, ‘Public’, incorporating the College of Music and music organization in each region, as part of the community, is anticipated with proactive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ve attitude. College of Music is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music education programs utilizing the human resources and community collaboration. Arts organizations in music, as art advocacy, play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the arts education programs at the local or community level in relation to regional social enterprises, overall active involvement is foreseen. Secondly, ‘Government’, in management of the community festivals and arts organizations in music, takes a role in the effective administration of the village human, material resource. The government sponsors in providing a partnership platform by cataloging social enterprises in association with arts education in art and incorporating cultural enterprises. Lastly, ‘Institution’ serves to fathom the business concept and accommodate changes based on the Seoul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olicy. Through expending the aid project to build practice rooms at the education offices at state and local levels, the school clubs can be interactively linked to the region of which the relation promotes the extensive impact of music education using the human, material resources from the inside and outside of schools. Seoul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is improved in further concentrated fragmentations. The music education program is deemed to progressively enhance its context of music education.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the qualitative discussion is needed.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e anticipation of qualitative discussion on the music education program of the Seoul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and the participants of education are expected to grow in the livelihood of academic proliferation and arts advocacy.
This thesis examines current conditions in the research and discourse on music education in the context of school and community engagement and seeks for practical activation plan from the public, government and institution perspectives. The overall administrative contents provided the fundamental concepts in this research on community interaction in music education. Seoul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is a policy that has established its foundation in public, government and institution sectors to further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management in the innovative education. Thus, not only the institution is considered the educational participant but numerous related administrative departments such as city hall, the provincial government, ministry of education, subsidiary offices of education and municipal offices take significant roles in aiding the management system in education. Successful collaborations between the school and community institutions at national, state and local levels in Korea encourages the growth of children and teenagers of which interrelate with community development and enlightenment of community spirit to derive the shift in the awareness. The first stage of the business focused on the quantitative growth by structuring and implementing the normalization of the public education and village education system, proceeding to the next stage, a slogan “A new imagination, from the qualitative growth to qualitative development” was employed to newly focus on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education. It is the intent of this research to investigate the operational system and its condition in the music education inter-linked to the school and community, and the current standing of the music education upon the adoption of Seoul Innovative Educational District policy which initiates the shift of quantitative development to qualitative enhancement.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a case-study on the collaborative music education is used in discussion as a reference point for supporting methods upon which from the perspectives of public, government and institution, qualitative enhancement can be achieved. First, ‘Public’, incorporating the College of Music and music organization in each region, as part of the community, is anticipated with proactive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ve attitude. College of Music is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music education programs utilizing the human resources and community collaboration. Arts organizations in music, as art advocacy, play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the arts education programs at the local or community level in relation to regional social enterprises, overall active involvement is foreseen. Secondly, ‘Government’, in management of the community festivals and arts organizations in music, takes a role in the effective administration of the village human, material resource. The government sponsors in providing a partnership platform by cataloging social enterprises in association with arts education in art and incorporating cultural enterprises. Lastly, ‘Institution’ serves to fathom the business concept and accommodate changes based on the Seoul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olicy. Through expending the aid project to build practice rooms at the education offices at state and local levels, the school clubs can be interactively linked to the region of which the relation promotes the extensive impact of music education using the human, material resources from the inside and outside of schools. Seoul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is improved in further concentrated fragmentations. The music education program is deemed to progressively enhance its context of music education.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the qualitative discussion is needed.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e anticipation of qualitative discussion on the music education program of the Seoul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and the participants of education are expected to grow in the livelihood of academic proliferation and arts advocacy.
Keyword
#서울형혁신교육지구 민관학 협력 학교-지역사회 연계 음악교육 활성화 Seoul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ublic government and institution collaboration School – community interaction Activation of music education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보린
학위수여기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음악교육 전공
지도교수
지형주
발행연도
2020
총페이지
vi, 84장
키워드
서울형혁신교육지구 민관학 협력 학교-지역사회 연계 음악교육 활성화 Seoul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ublic government and institution collaboration School – community interaction Activation of music educ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