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균혈증 환자 사망률 위험인자에 대한 임상적, 미생물학적 분석 Clinical and microbiologic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mortality in patients with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Bacteremia원문보기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RE) 감염은 임상에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높은 사망률에 기여한다. 이 연구는 CRE 균혈증에서 감염의 발생 장소와 카바페넴 내성 기전이 임상 경과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 CRE 균혈증의 14일 사망률에 영향을 주는 위험인자를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2011년부터 2018년까지 단일 3차 의료기관에서 시행된 후향적 관찰연구로, 카바페넴 내성 ...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RE) 감염은 임상에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높은 사망률에 기여한다. 이 연구는 CRE 균혈증에서 감염의 발생 장소와 카바페넴 내성 기전이 임상 경과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 CRE 균혈증의 14일 사망률에 영향을 주는 위험인자를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2011년부터 2018년까지 단일 3차 의료기관에서 시행된 후향적 관찰연구로, 카바페넴 내성 Escherichia coli 또는 Klebsiella pneumoniae 균혈증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혈액 검체는 carbapenemase 생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modified carbapenem inactivation test를 시행하였다. 총 133명의 CRE 균혈증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그 중 non-carbapenemase producing CRE는 70명 (52.6%), carbapenemase producing CRE (CP-CRE)는 63명(47.4%)에 해당하였다. 병원발생감염이 지역사회발생 의료기관 관련 감염에 비해 혈액암, 면역억제제와 스테로이드 투여, 호중구감소증, 원발성 균혈증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고형암, 담도계 감염, 요로감염 및 제거 가능한 감염병소를 제거한 비율이 더 유의하게 낮았다. 병원 발생 감염의 14일 사망률은 29%, 지역사회발생 의료기관 감염은 7%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14일째 사망한 환자에서 병원발생감염 비율과 APACHE Ⅱ score가 더 높았고, 감염병소를 제거한 비율, 항생제 병합요법을 시행한 비율이 더 낮았다. 다변량 분석 결과, 병원발생감염 (위험비 12.1), APACHE Ⅱ score (위험비 1.2), 병합요법 (위험비 0.2) 이 유의하게 사망률과 관련이 있었다. Carbapenemase 생성 여부는 사망률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CRE 균혈증의 사망률을 낮추기 위해 항생제 병합 요법과 적극적인 감염 병소의 제거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RE) 감염은 임상에서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높은 사망률에 기여한다. 이 연구는 CRE 균혈증에서 감염의 발생 장소와 카바페넴 내성 기전이 임상 경과에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 CRE 균혈증의 14일 사망률에 영향을 주는 위험인자를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2011년부터 2018년까지 단일 3차 의료기관에서 시행된 후향적 관찰연구로, 카바페넴 내성 Escherichia coli 또는 Klebsiella pneumoniae 균혈증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혈액 검체는 carbapenemase 생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modified carbapenem inactivation test를 시행하였다. 총 133명의 CRE 균혈증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그 중 non-carbapenemase producing CRE는 70명 (52.6%), carbapenemase producing CRE (CP-CRE)는 63명(47.4%)에 해당하였다. 병원발생감염이 지역사회발생 의료기관 관련 감염에 비해 혈액암, 면역억제제와 스테로이드 투여, 호중구감소증, 원발성 균혈증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고형암, 담도계 감염, 요로감염 및 제거 가능한 감염병소를 제거한 비율이 더 유의하게 낮았다. 병원 발생 감염의 14일 사망률은 29%, 지역사회발생 의료기관 감염은 7%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14일째 사망한 환자에서 병원발생감염 비율과 APACHE Ⅱ score가 더 높았고, 감염병소를 제거한 비율, 항생제 병합요법을 시행한 비율이 더 낮았다. 다변량 분석 결과, 병원발생감염 (위험비 12.1), APACHE Ⅱ score (위험비 1.2), 병합요법 (위험비 0.2) 이 유의하게 사망률과 관련이 있었다. Carbapenemase 생성 여부는 사망률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CRE 균혈증의 사망률을 낮추기 위해 항생제 병합 요법과 적극적인 감염 병소의 제거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Background: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infection is a major clinical issue and contributes to significant mortality.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whether site of acquisition or CRE resistance mechanism affects clinical outcome and to evaluate risk factors for 14-day mortality in p...
Background: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infection is a major clinical issue and contributes to significant mortality.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whether site of acquisition or CRE resistance mechanism affects clinical outcome and to evaluate risk factors for 14-day mortality in patients with CRE bacteremia. Method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was conducted at a 2700-bed, tertiary referral center. All adult patients with monomicrobial carbapenem-resistant Escherichia coli or Klebsiella pneumoniae bacteremia from 2011 to 2018 were included in the study. All blood isolates collected were subjected to a modified carbapenem inactivation method for phenotypic detection of carbapenemase producing CRE. Results: Of 133 patients with monomicrobial CRE bacteremia, 63 (47.4%) were infected with carbapenemase-producing CRE (CP-CRE), and 70 (52.6%) were infected with non-CP-CRE. Patients with community-onset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HCAI)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have biliary or urinary tract infection; less likely to have ineradicable or non-eradicated foci and to receive appropriate empirical antibiotic therapy; and marginally more likely to have CP-CRE compared with those with hospital-acquired infection (HAI). However, 14-day mortal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CO-HCAI than in HAI (7% vs 29%, P = 0.01). Deceased patients were more likely to have a higher APACHE II score and ineradicable or not-eradicated foci; less likely to have received combination therapy for definitive treatment. In multivariate analysis, HAI (aOR 12.2; 95% CI 1.8-82.4), a high APACHE II score (aOR 1.2; 95% CI 1.1-1.3), and combination therapy for definitive treatment (aOR 0.2; 95% CI 0.1-0.6)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mortality. Carbapenemase production did not affect mortality. Conclusion: My study suggests that regardless of carbapenemase production, early source control and combination therapy can be beneficial in patients with CRE bacteremia, especially in those with hospital-acquired bacteremia.
Background: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infection is a major clinical issue and contributes to significant mortality.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whether site of acquisition or CRE resistance mechanism affects clinical outcome and to evaluate risk factors for 14-day mortality in patients with CRE bacteremia. Method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was conducted at a 2700-bed, tertiary referral center. All adult patients with monomicrobial carbapenem-resistant Escherichia coli or Klebsiella pneumoniae bacteremia from 2011 to 2018 were included in the study. All blood isolates collected were subjected to a modified carbapenem inactivation method for phenotypic detection of carbapenemase producing CRE. Results: Of 133 patients with monomicrobial CRE bacteremia, 63 (47.4%) were infected with carbapenemase-producing CRE (CP-CRE), and 70 (52.6%) were infected with non-CP-CRE. Patients with community-onset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HCAI)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have biliary or urinary tract infection; less likely to have ineradicable or non-eradicated foci and to receive appropriate empirical antibiotic therapy; and marginally more likely to have CP-CRE compared with those with hospital-acquired infection (HAI). However, 14-day mortal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CO-HCAI than in HAI (7% vs 29%, P = 0.01). Deceased patients were more likely to have a higher APACHE II score and ineradicable or not-eradicated foci; less likely to have received combination therapy for definitive treatment. In multivariate analysis, HAI (aOR 12.2; 95% CI 1.8-82.4), a high APACHE II score (aOR 1.2; 95% CI 1.1-1.3), and combination therapy for definitive treatment (aOR 0.2; 95% CI 0.1-0.6) wer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mortality. Carbapenemase production did not affect mortality. Conclusion: My study suggests that regardless of carbapenemase production, early source control and combination therapy can be beneficial in patients with CRE bacteremia, especially in those with hospital-acquired bacteremia.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