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강점과 놀이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변인들 간의 상호 영향력을 밝힘으로써 유아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며 이를 통해 유아의 강점과 놀이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강점, 놀이성, 행복감의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의 강점, 놀이성, 행복감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유아의 강점, 놀이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P시와 K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5세 유아 200명이다. 본 연구의 도구는 이은주(2010)의 ‘유아행복척도와 탁정화(2016)가 개발한 ‘유아강점척도’를 사용하였으며, Barnett(1990)이 개발한 유아놀이성척도를 김영희(1995)가 번역하고 타당화하여 최근 김수현(2019)이 활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강점과 놀이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변인들 간의 상호 영향력을 밝힘으로써 유아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며 이를 통해 유아의 강점과 놀이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강점, 놀이성, 행복감의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의 강점, 놀이성, 행복감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유아의 강점, 놀이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P시와 K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5세 유아 200명이다. 본 연구의 도구는 이은주(2010)의 ‘유아행복척도와 탁정화(2016)가 개발한 ‘유아강점척도’를 사용하였으며, Barnett(1990)이 개발한 유아놀이성척도를 김영희(1995)가 번역하고 타당화하여 최근 김수현(2019)이 활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의 적률상관 분석, 중다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내용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강점, 놀이성, 행복감의 정도는 모두 ‘보통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강점, 놀이성, 행복감의 관계는 유아의 강점, 놀이성, 행복감 간에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강점, 놀이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아의 강점과 놀이성이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가 높은 수준의 행복과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유아기에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발휘하며 자유롭고 주도적으로 놀이 할 수 있도록 교육적 지원을 하는 것이 행복교육을 실현하는 기초이자 출발점이라 볼 수 있다. 특히 유아의 행복감에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력을 미친 변인인 개인의 긍정적 특질인 성격강점과 주도성, 융통성, 그리고 독창성을 반영한 인지적 자발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개별 유아에게 세심한 관찰과 주의 깊은 관심을 기울이고 유아가 가진 결을 존중하여 개인의 다양성과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을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강점과 놀이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변인들 간의 상호 영향력을 밝힘으로써 유아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며 이를 통해 유아의 강점과 놀이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강점, 놀이성, 행복감의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의 강점, 놀이성, 행복감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유아의 강점, 놀이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P시와 K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5세 유아 200명이다. 본 연구의 도구는 이은주(2010)의 ‘유아행복척도와 탁정화(2016)가 개발한 ‘유아강점척도’를 사용하였으며, Barnett(1990)이 개발한 유아놀이성척도를 김영희(1995)가 번역하고 타당화하여 최근 김수현(2019)이 활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의 적률상관 분석, 중다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내용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강점, 놀이성, 행복감의 정도는 모두 ‘보통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강점, 놀이성, 행복감의 관계는 유아의 강점, 놀이성, 행복감 간에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강점, 놀이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아의 강점과 놀이성이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가 높은 수준의 행복과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유아기에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발휘하며 자유롭고 주도적으로 놀이 할 수 있도록 교육적 지원을 하는 것이 행복교육을 실현하는 기초이자 출발점이라 볼 수 있다. 특히 유아의 행복감에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력을 미친 변인인 개인의 긍정적 특질인 성격강점과 주도성, 융통성, 그리고 독창성을 반영한 인지적 자발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개별 유아에게 세심한 관찰과 주의 깊은 관심을 기울이고 유아가 가진 결을 존중하여 개인의 다양성과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을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