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구인-구직 간 일자리 미스매치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research in the status of job mismatch between job vacancies and job seekers and the solutions to improve the situation원문보기
본 연구 목적은 정부와 부산시에서 고용환경 개선을 위해 일자리 수의 양적 확대를 위해 매년 많은 예산과 다양한 정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나아지지 않는 원인으로는 구인-구직 간에 일자리 미스매치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실태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2가지 연구 방법을 통하여 구인-구직자 간의 일자리 미스매치 실태와 원인을 분석하였다. 첫 번째는 양적 분석을 통해 일자리 미스매치를 실태를 분석하였다. 고용노동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구인-구직 인터넷 정보시스템인 워크넷(work-net)을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일자리 미스매치 실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미스매치 요인을 성별, 연령별, 학력별, 고용형태별, 임금별, 직종별, 근무지역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또한 미스매치 요인을 4가지 유형으로 나눠 보상, 숙련, 정보, 공간 미스매치 실태를 분석하였다. 두 번째 질적 분석을 위해 FGI(Focus Group Interview 집단심층면접) 조사를 통해 일자리 미스매치 실태와 해소방안을 분석하였다. 일자리를 지원하고 있는 알선기관, 대학 등에서 근무하는 전문와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구직자 등 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아울러, 부산시 일자리종합센터를 방문하여 구직 및 구인 등록을 신청한 방문자들의 주요 상담 사례를 통하여 미스매치 원인과 실태를 함께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성별로는 여성보다 남성이, 연령별로는 60대 이상과 20대에서 미스매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학력별로는 학력이 높을수록 미스매치 비율이 높았고, 정규직이 비정규직보다 미스매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임금이 높을수록 미스매치 비율이 비례해서 높게 나타났으며, 직종별로는 생산직 보다 서비스업의 미스매치 비율이 높았다. 근무지역별로는 부산을 제외하고 서울, 울산의 미스매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일자리 미스매치의 원인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여성은 출산과 육아 문제로, 60대 이상은 일자리의 질과 임금 문제로, 20대 청년층은 구직자의 눈높이 차이로 발생하고 있었다. 고학력자와 고임금자는 규모 있는 대기업의 부족이 원인으로 나타났다. 미스매치 해소를 위한 방안으로는 매년 투입되고 있는 일자리 예산에서 미스매치 해소를 위한 예산을 확대해 나가고, 부산시 산하에 일자리 업무를 전담할 수 있는 별도 기관 설립과 청년 및 고학력자를 위한 청년 친화형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 구직자의 눈높이 차이 해소를 위한 고용환경 개선과 인식개선을 위한 사업 추진, 산업단지 ...
본 연구 목적은 정부와 부산시에서 고용환경 개선을 위해 일자리 수의 양적 확대를 위해 매년 많은 예산과 다양한 정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나아지지 않는 원인으로는 구인-구직 간에 일자리 미스매치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실태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2가지 연구 방법을 통하여 구인-구직자 간의 일자리 미스매치 실태와 원인을 분석하였다. 첫 번째는 양적 분석을 통해 일자리 미스매치를 실태를 분석하였다. 고용노동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구인-구직 인터넷 정보시스템인 워크넷(work-net)을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일자리 미스매치 실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미스매치 요인을 성별, 연령별, 학력별, 고용형태별, 임금별, 직종별, 근무지역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또한 미스매치 요인을 4가지 유형으로 나눠 보상, 숙련, 정보, 공간 미스매치 실태를 분석하였다. 두 번째 질적 분석을 위해 FGI(Focus Group Interview 집단심층면접) 조사를 통해 일자리 미스매치 실태와 해소방안을 분석하였다. 일자리를 지원하고 있는 알선기관, 대학 등에서 근무하는 전문와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구직자 등 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아울러, 부산시 일자리종합센터를 방문하여 구직 및 구인 등록을 신청한 방문자들의 주요 상담 사례를 통하여 미스매치 원인과 실태를 함께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성별로는 여성보다 남성이, 연령별로는 60대 이상과 20대에서 미스매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학력별로는 학력이 높을수록 미스매치 비율이 높았고, 정규직이 비정규직보다 미스매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임금이 높을수록 미스매치 비율이 비례해서 높게 나타났으며, 직종별로는 생산직 보다 서비스업의 미스매치 비율이 높았다. 근무지역별로는 부산을 제외하고 서울, 울산의 미스매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일자리 미스매치의 원인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여성은 출산과 육아 문제로, 60대 이상은 일자리의 질과 임금 문제로, 20대 청년층은 구직자의 눈높이 차이로 발생하고 있었다. 고학력자와 고임금자는 규모 있는 대기업의 부족이 원인으로 나타났다. 미스매치 해소를 위한 방안으로는 매년 투입되고 있는 일자리 예산에서 미스매치 해소를 위한 예산을 확대해 나가고, 부산시 산하에 일자리 업무를 전담할 수 있는 별도 기관 설립과 청년 및 고학력자를 위한 청년 친화형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 구직자의 눈높이 차이 해소를 위한 고용환경 개선과 인식개선을 위한 사업 추진, 산업단지 정주환경 개선, 구인업체와 훈련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고용없는 성장이 지속되는 가운데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정책 보다 일자리의 수요와 공급을 맞추며 미스매치를 줄이는 정책이 앞으로는 더 효과적인 일자리 정책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 목적은 정부와 부산시에서 고용환경 개선을 위해 일자리 수의 양적 확대를 위해 매년 많은 예산과 다양한 정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나아지지 않는 원인으로는 구인-구직 간에 일자리 미스매치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실태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2가지 연구 방법을 통하여 구인-구직자 간의 일자리 미스매치 실태와 원인을 분석하였다. 첫 번째는 양적 분석을 통해 일자리 미스매치를 실태를 분석하였다. 고용노동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구인-구직 인터넷 정보시스템인 워크넷(work-net)을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일자리 미스매치 실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미스매치 요인을 성별, 연령별, 학력별, 고용형태별, 임금별, 직종별, 근무지역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또한 미스매치 요인을 4가지 유형으로 나눠 보상, 숙련, 정보, 공간 미스매치 실태를 분석하였다. 두 번째 질적 분석을 위해 FGI(Focus Group Interview 집단심층면접) 조사를 통해 일자리 미스매치 실태와 해소방안을 분석하였다. 일자리를 지원하고 있는 알선기관, 대학 등에서 근무하는 전문와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구직자 등 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아울러, 부산시 일자리종합센터를 방문하여 구직 및 구인 등록을 신청한 방문자들의 주요 상담 사례를 통하여 미스매치 원인과 실태를 함께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성별로는 여성보다 남성이, 연령별로는 60대 이상과 20대에서 미스매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학력별로는 학력이 높을수록 미스매치 비율이 높았고, 정규직이 비정규직보다 미스매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임금이 높을수록 미스매치 비율이 비례해서 높게 나타났으며, 직종별로는 생산직 보다 서비스업의 미스매치 비율이 높았다. 근무지역별로는 부산을 제외하고 서울, 울산의 미스매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일자리 미스매치의 원인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여성은 출산과 육아 문제로, 60대 이상은 일자리의 질과 임금 문제로, 20대 청년층은 구직자의 눈높이 차이로 발생하고 있었다. 고학력자와 고임금자는 규모 있는 대기업의 부족이 원인으로 나타났다. 미스매치 해소를 위한 방안으로는 매년 투입되고 있는 일자리 예산에서 미스매치 해소를 위한 예산을 확대해 나가고, 부산시 산하에 일자리 업무를 전담할 수 있는 별도 기관 설립과 청년 및 고학력자를 위한 청년 친화형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 구직자의 눈높이 차이 해소를 위한 고용환경 개선과 인식개선을 위한 사업 추진, 산업단지 정주환경 개선, 구인업체와 훈련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고용없는 성장이 지속되는 가운데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정책 보다 일자리의 수요와 공급을 맞추며 미스매치를 줄이는 정책이 앞으로는 더 효과적인 일자리 정책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