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일자리를 늘리고, 고용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만들고 있지만 실업난은 해소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광역경제권을 대상으로 구인 구직의 구조적 미스매치 현상 가운데 지역 간 미스매치를 분석하여 실업을 발생시키는 요인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워크넷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2008~2013년 동안 구인 구직의 지역 간 미스매치로 인한 실업은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졸 이상, 고숙련 일자리의 경우 모든 광역경제권 에서 지역 간 미스매치는 매우 낮게 나타나지만, 고졸 이하, 저숙련 일자리의 경우 충청권, 동남권, 호남권에서 지역 간 미스매치가 상당히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고졸 이하, 저숙련 구직자들이 해당 광역경제권 내에서 특정 지역을 선호하여 구직활동을 하기 때문으로, 이들이 직종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지역을 옮겨서 구직활동을 한다면 실업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음을 말해준다. 그러나 수도권의 경우 모든 일자리 유형에서 지역 간 미스매치가 매우 낮아 구직자들이 지역을 이동하더라도 실업상태에서 벗어나기 매우 어려움을 말해준다. 본 연구 결과는 실업문제 해소를 위해 전국적으로 일률적인 실업 정책을 수립하기 보다는 각 광역경제권별로 일자리 유형에 따른 지역 간 미스매치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실업 전략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정부는 일자리를 늘리고, 고용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만들고 있지만 실업난은 해소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광역경제권을 대상으로 구인 구직의 구조적 미스매치 현상 가운데 지역 간 미스매치를 분석하여 실업을 발생시키는 요인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워크넷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2008~2013년 동안 구인 구직의 지역 간 미스매치로 인한 실업은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졸 이상, 고숙련 일자리의 경우 모든 광역경제권 에서 지역 간 미스매치는 매우 낮게 나타나지만, 고졸 이하, 저숙련 일자리의 경우 충청권, 동남권, 호남권에서 지역 간 미스매치가 상당히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고졸 이하, 저숙련 구직자들이 해당 광역경제권 내에서 특정 지역을 선호하여 구직활동을 하기 때문으로, 이들이 직종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지역을 옮겨서 구직활동을 한다면 실업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음을 말해준다. 그러나 수도권의 경우 모든 일자리 유형에서 지역 간 미스매치가 매우 낮아 구직자들이 지역을 이동하더라도 실업상태에서 벗어나기 매우 어려움을 말해준다. 본 연구 결과는 실업문제 해소를 위해 전국적으로 일률적인 실업 정책을 수립하기 보다는 각 광역경제권별로 일자리 유형에 따른 지역 간 미스매치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실업 전략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In spite of the various government policies to increase the jobs and to improve the employment environment, the unemployment rate has not reduced.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structural mismatch(especially geographical mismatch) between job opening and job seeking, and thus to comprehe...
In spite of the various government policies to increase the jobs and to improve the employment environment, the unemployment rate has not reduced.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structural mismatch(especially geographical mismatch) between job opening and job seeking, and thus to comprehend more deeply the factors affecting unemployment rates of economic regions in Korea. For the period of 2008~2013, the unemployment rates caused by geographical mismatches between job opening and job seeking have been increased steadily. For Chungcheong, Dongnam and Honam economic region, geographical mismatches of low-educated and low-skilled jobs showed relatively quite high, indicating that the job seeker have a strong tendency of preferring certain areas in looking for their jobs. It means that the job seeker can get a job only to move the other areas within an economic region. However, for Capital region, which is the largest job seekers in Korea, geographical mismatches in all types of jobs showed very quite low. So,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job seeker to escape from unemployment when changing the other areas in looking for a job in Capital reg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gives an important implication that a nationwide uniform unemployment policy may not be effective to reduce unemployment conditions, and a differentiated unemployment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i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geographic mismatches by the types of job in terms of the level of education and skill for each economic region.
In spite of the various government policies to increase the jobs and to improve the employment environment, the unemployment rate has not reduced.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structural mismatch(especially geographical mismatch) between job opening and job seeking, and thus to comprehend more deeply the factors affecting unemployment rates of economic regions in Korea. For the period of 2008~2013, the unemployment rates caused by geographical mismatches between job opening and job seeking have been increased steadily. For Chungcheong, Dongnam and Honam economic region, geographical mismatches of low-educated and low-skilled jobs showed relatively quite high, indicating that the job seeker have a strong tendency of preferring certain areas in looking for their jobs. It means that the job seeker can get a job only to move the other areas within an economic region. However, for Capital region, which is the largest job seekers in Korea, geographical mismatches in all types of jobs showed very quite low. So, it is very difficult for the job seeker to escape from unemployment when changing the other areas in looking for a job in Capital reg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gives an important implication that a nationwide uniform unemployment policy may not be effective to reduce unemployment conditions, and a differentiated unemployment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i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geographic mismatches by the types of job in terms of the level of education and skill for each economic reg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