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안전취약자인 장애인이 안전사고 및 재난에 잘 대처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인 안전교육의 활성화에 대한 방안연구이다. 우선 안전교육에 대한 이해와 체험학습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고, 장애인들에 대한 안전교육의 전반적인 상태를 검토하기 위하여 국내·외 장애인 대상 안전교육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을 위한 실제적인 안전교육 시설의 전반적 상태를 검토하기 위하여 장애인의 입장에서 안전체험관에 대한 현황을 설문·조사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장애인들이 이용할 수 있는 체험안전교육의 시설적인 부분과 안전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부분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각·청각·지체장애인들이 안전체험관을 직접 체험한 후 평가를 인터뷰방식으로 진행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장애인의 재난에 대한 인식과 안전교육의 효율에 대한 조사를 위하여 각 유형별 장애인전문가 그룹과 장애인 교육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각각 심층인터뷰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이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안전체험관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장애인 대상 안전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인 안전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5가지 방안이 필요함을 규명하였다. 첫째, 안전교육 시 장애 유형과 장애 특성에 따라 안전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달라야 한다. 둘째, 실제 재난 상황에서 생명을 구할 수 있는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반복적인 교육, 체험적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셋째, 장애인의 보호자, 활동보조인, 교사도 장애인과 함께 안전교육을 받아야 한다. 넷째. ...
본 연구는 안전취약자인 장애인이 안전사고 및 재난에 잘 대처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인 안전교육의 활성화에 대한 방안연구이다. 우선 안전교육에 대한 이해와 체험학습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고, 장애인들에 대한 안전교육의 전반적인 상태를 검토하기 위하여 국내·외 장애인 대상 안전교육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을 위한 실제적인 안전교육 시설의 전반적 상태를 검토하기 위하여 장애인의 입장에서 안전체험관에 대한 현황을 설문·조사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장애인들이 이용할 수 있는 체험안전교육의 시설적인 부분과 안전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부분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각·청각·지체장애인들이 안전체험관을 직접 체험한 후 평가를 인터뷰방식으로 진행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장애인의 재난에 대한 인식과 안전교육의 효율에 대한 조사를 위하여 각 유형별 장애인전문가 그룹과 장애인 교육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각각 심층인터뷰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이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안전체험관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장애인 대상 안전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인 안전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5가지 방안이 필요함을 규명하였다. 첫째, 안전교육 시 장애 유형과 장애 특성에 따라 안전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달라야 한다. 둘째, 실제 재난 상황에서 생명을 구할 수 있는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반복적인 교육, 체험적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셋째, 장애인의 보호자, 활동보조인, 교사도 장애인과 함께 안전교육을 받아야 한다. 넷째. IT 기술을 활용한 시뮬레이터기반의 VR이나 AR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보급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 모든 것을 아우를 수 있는 장애인 안전교육을 위한 장애인 법이 제정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이론적 함의로는 성인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체험적 안전교육에 대한 연구가 거의 부재한 상황에서 연구를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정책적으로는 향후 정부의 장애인의 안전교육 정책에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적 시사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안전취약자인 장애인이 안전사고 및 재난에 잘 대처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인 안전교육의 활성화에 대한 방안연구이다. 우선 안전교육에 대한 이해와 체험학습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고, 장애인들에 대한 안전교육의 전반적인 상태를 검토하기 위하여 국내·외 장애인 대상 안전교육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을 위한 실제적인 안전교육 시설의 전반적 상태를 검토하기 위하여 장애인의 입장에서 안전체험관에 대한 현황을 설문·조사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장애인들이 이용할 수 있는 체험안전교육의 시설적인 부분과 안전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부분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각·청각·지체장애인들이 안전체험관을 직접 체험한 후 평가를 인터뷰방식으로 진행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장애인의 재난에 대한 인식과 안전교육의 효율에 대한 조사를 위하여 각 유형별 장애인전문가 그룹과 장애인 교육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각각 심층인터뷰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이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안전체험관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장애인 대상 안전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인 안전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5가지 방안이 필요함을 규명하였다. 첫째, 안전교육 시 장애 유형과 장애 특성에 따라 안전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달라야 한다. 둘째, 실제 재난 상황에서 생명을 구할 수 있는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반복적인 교육, 체험적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셋째, 장애인의 보호자, 활동보조인, 교사도 장애인과 함께 안전교육을 받아야 한다. 넷째. IT 기술을 활용한 시뮬레이터기반의 VR이나 AR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보급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 모든 것을 아우를 수 있는 장애인 안전교육을 위한 장애인 법이 제정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이론적 함의로는 성인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체험적 안전교육에 대한 연구가 거의 부재한 상황에서 연구를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정책적으로는 향후 정부의 장애인의 안전교육 정책에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적 시사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 study on ways to promote safety education, one of the ways for the disabled, who are vulnerable to safety, to cope well with safety accidents and disasters. First of all, the theory of understanding and hands-on learning about safety education was examined, and the current status of ...
This study is a study on ways to promote safety education, one of the ways for the disabled, who are vulnerable to safety, to cope well with safety accidents and disasters. First of all, the theory of understanding and hands-on learning about safety education was examined, and the current status of safety education for the disabled at home and abroad was grasped to examine the overall status of safety education for the disabled. Based on this,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derived by surveying the current status of safety experience center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isabled in order to review the overall status of actual safety educ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ad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facilities of the experience safety education available to the disabled and the overall safety education, visually, hearing, and physically handicapped people experienced the safety experience center firsthand and conducted an interview to present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analyzed for each type of group of experts for the disabled and groups of education experts for the disabled, respectively,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safety education and awareness of disasters for the disabled. Based on the opinions of these experts, the safety experience center was analyzed to promote safety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Korea. The study found that the following five measures were needed to promote safety education for the disabled. First, the contents and methods of safety education sh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disability and the nature of the disability in safety education. Second, repeated education and hands-on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so that it can lead to actions that can save lives in actual disaster situations. Third, the guardian, activity assistant and teacher of the disabled should also receive safety education with the disabled. Fourth, VR or AR education contents based on simulator using IT technology shall be developed and disseminated. Finally, a disability law should be enacted for safety education for the disabled that can cover all this.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very meaningful in that it is attempting research in the absence of research on experiential safety education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Furthermore, the policy has implications in that it can provide data on the government's future safety education policies for the disabled.
This study is a study on ways to promote safety education, one of the ways for the disabled, who are vulnerable to safety, to cope well with safety accidents and disasters. First of all, the theory of understanding and hands-on learning about safety education was examined, and the current status of safety education for the disabled at home and abroad was grasped to examine the overall status of safety education for the disabled. Based on this,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derived by surveying the current status of safety experience center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isabled in order to review the overall status of actual safety educ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addi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facilities of the experience safety education available to the disabled and the overall safety education, visually, hearing, and physically handicapped people experienced the safety experience center firsthand and conducted an interview to present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analyzed for each type of group of experts for the disabled and groups of education experts for the disabled, respectively,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safety education and awareness of disasters for the disabled. Based on the opinions of these experts, the safety experience center was analyzed to promote safety education for the disabled in Korea. The study found that the following five measures were needed to promote safety education for the disabled. First, the contents and methods of safety education sh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disability and the nature of the disability in safety education. Second, repeated education and hands-on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so that it can lead to actions that can save lives in actual disaster situations. Third, the guardian, activity assistant and teacher of the disabled should also receive safety education with the disabled. Fourth, VR or AR education contents based on simulator using IT technology shall be developed and disseminated. Finally, a disability law should be enacted for safety education for the disabled that can cover all this.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very meaningful in that it is attempting research in the absence of research on experiential safety education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Furthermore, the policy has implications in that it can provide data on the government's future safety education policies for the disabl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