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소인수 학급, 달님반을 대상으로 하는 놀잇감 지원을 중심으로 한 유치원의 자유놀이 사례 및 의미 연구를 심층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유아의 놀이 아이디어에 따른 흐름을 이해하고, 유아의 관점에서 놀이를 바라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놀잇감 지원을 중심으로 한 달님반의 자유놀이 사례는 무엇인가? 연구문제 2. 놀잇감 지원을 중심으로 한 놀이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2020년 6월 30일부터 2020년 8월 25일까지 경기도 공립유치원 소인수 학급의 만 4,5세 유아를 대상으로 자유놀이 시간에 놀잇감을 제공하여 놀이를 관찰하였다. 놀잇감은 대학교재와 호기심 검사도구에서 나온 놀잇감을 추출하여 현직교사 9명에게 7가지 항목에 관한 설문지를 조사한 후 검수를 받아 제공하였다. 코로나 19로 인하여 주 1회 오전과 오후 자유놀이시간을 이용하였으며, 비디오 녹화, 사진 자료, 연구자의 연구 일지 등을 수집하여 ...
본 연구는 소인수 학급, 달님반을 대상으로 하는 놀잇감 지원을 중심으로 한 유치원의 자유놀이 사례 및 의미 연구를 심층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유아의 놀이 아이디어에 따른 흐름을 이해하고, 유아의 관점에서 놀이를 바라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놀잇감 지원을 중심으로 한 달님반의 자유놀이 사례는 무엇인가? 연구문제 2. 놀잇감 지원을 중심으로 한 놀이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2020년 6월 30일부터 2020년 8월 25일까지 경기도 공립유치원 소인수 학급의 만 4,5세 유아를 대상으로 자유놀이 시간에 놀잇감을 제공하여 놀이를 관찰하였다. 놀잇감은 대학교재와 호기심 검사도구에서 나온 놀잇감을 추출하여 현직교사 9명에게 7가지 항목에 관한 설문지를 조사한 후 검수를 받아 제공하였다. 코로나 19로 인하여 주 1회 오전과 오후 자유놀이시간을 이용하였으며, 비디오 녹화, 사진 자료, 연구자의 연구 일지 등을 수집하여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례 별로 놀이 흐름도를 만들고 놀이의 의미를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인수 학급에서의 놀잇감 지원을 중심으로 한 유치원 자유놀이 사례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유아는 주변의 모든 사물이 놀잇감으로 사용하여 놀이를 진행하고, 시·공간의 제약이 있음에도 끊임없이 놀이를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의 역할은 주로 공동놀이자로 한 역할을 맡아 놀이 내외부적으로 지원과 지지를 하고 유아들은 성별, 연령, 발달 차이에 편견 없이 놀이 상대자가 되어 함께 놀이를 구성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인수 학급에서의 놀잇감 지원을 중심으로 한 유치원 자유놀이 의미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감각으로 즐기는 탐색자, 놀이시간의 주체가 되는 놀이자, 놀이의 변화를 이끄는 창조자, 서로의 놀이를 지원하는 협력자로 나타났다. 먼저, 유아는 자신은 오감을 이용하여 놀잇감을 탐색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규칙을 만들거나 놀이를 제안하는 등 놀이시간을 주체가 되는 놀이자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또한, 놀잇감의 양의 조절, 새로운 인물의 추가, 놀이 내용의 변화, 하나의 놀잇감으로 다양한 놀이를 이끄는 등 놀이의 변화를 이끄는 주체가 되기도 하였으며, 서로 배려하고 사회적 기술을 배우는 등의 서로의 놀이를 지원하는 협력자의 모습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놀잇감 지원을 중심으로 한 유치원 자유놀이 사례 및 의미에 관하여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아의 관점에서 놀이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더 나아가 유아의 놀이 이해를 바탕으로 한 교사의 성장과 발전을 지원하는 사회적인 노력의 방향을 세우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라 기대한다.
본 연구는 소인수 학급, 달님반을 대상으로 하는 놀잇감 지원을 중심으로 한 유치원의 자유놀이 사례 및 의미 연구를 심층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유아의 놀이 아이디어에 따른 흐름을 이해하고, 유아의 관점에서 놀이를 바라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놀잇감 지원을 중심으로 한 달님반의 자유놀이 사례는 무엇인가? 연구문제 2. 놀잇감 지원을 중심으로 한 놀이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2020년 6월 30일부터 2020년 8월 25일까지 경기도 공립유치원 소인수 학급의 만 4,5세 유아를 대상으로 자유놀이 시간에 놀잇감을 제공하여 놀이를 관찰하였다. 놀잇감은 대학교재와 호기심 검사도구에서 나온 놀잇감을 추출하여 현직교사 9명에게 7가지 항목에 관한 설문지를 조사한 후 검수를 받아 제공하였다. 코로나 19로 인하여 주 1회 오전과 오후 자유놀이시간을 이용하였으며, 비디오 녹화, 사진 자료, 연구자의 연구 일지 등을 수집하여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례 별로 놀이 흐름도를 만들고 놀이의 의미를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인수 학급에서의 놀잇감 지원을 중심으로 한 유치원 자유놀이 사례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유아는 주변의 모든 사물이 놀잇감으로 사용하여 놀이를 진행하고, 시·공간의 제약이 있음에도 끊임없이 놀이를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의 역할은 주로 공동놀이자로 한 역할을 맡아 놀이 내외부적으로 지원과 지지를 하고 유아들은 성별, 연령, 발달 차이에 편견 없이 놀이 상대자가 되어 함께 놀이를 구성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인수 학급에서의 놀잇감 지원을 중심으로 한 유치원 자유놀이 의미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감각으로 즐기는 탐색자, 놀이시간의 주체가 되는 놀이자, 놀이의 변화를 이끄는 창조자, 서로의 놀이를 지원하는 협력자로 나타났다. 먼저, 유아는 자신은 오감을 이용하여 놀잇감을 탐색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규칙을 만들거나 놀이를 제안하는 등 놀이시간을 주체가 되는 놀이자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또한, 놀잇감의 양의 조절, 새로운 인물의 추가, 놀이 내용의 변화, 하나의 놀잇감으로 다양한 놀이를 이끄는 등 놀이의 변화를 이끄는 주체가 되기도 하였으며, 서로 배려하고 사회적 기술을 배우는 등의 서로의 놀이를 지원하는 협력자의 모습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놀잇감 지원을 중심으로 한 유치원 자유놀이 사례 및 의미에 관하여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아의 관점에서 놀이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더 나아가 유아의 놀이 이해를 바탕으로 한 교사의 성장과 발전을 지원하는 사회적인 노력의 방향을 세우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라 기대한다.
The study is designed to understand cases and meanings research of free play in kindergarten centered on play materials support for small sized class, Dalnim class. Accordingly, it aim to understand the flow of children’s play ideas an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view play from the children’s pers...
The study is designed to understand cases and meanings research of free play in kindergarten centered on play materials support for small sized class, Dalnim class. Accordingly, it aim to understand the flow of children’s play ideas an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view play from the children’s persp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1. What is the case of free play in kindergarten centered on play materials support? 2. What is the meaning of play centered on support of play materials? To this end, the researcher observed play by providing fun during free play time for children aged 4 or 5 in a small class at a public kindergarten in Gyeonggi-do from June 30, 2020 to August 25, 2020. Due to Corona 19, free play time was used once a week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and video recording, photographic data, and research journals of researcher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data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making a flow chart of play for each case and categorizing the meaning of play.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ase of free play in kindergarten centered on play materials support in a small class, it was found that infants play with all surrounding objects as play and continue to play despite time and space constrain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role of the teacher is mainly as a co-player, supporting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in the play. And infants become playmates without prejudice to gender, age, and developmental differences and compose play together.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aning of free play in kindergarten centering on support for play materials in small class, it appeared as the searcher who enjoys the senses, the player who is the subject of the play time, the creator who leads the change of the play, and the partner who supports each other's play. First, it was found that infants explored the sense of play using their five senses, and also appeared as a player whose play time is the subject, such as making rules or suggesting play. In addition, they became the subject of change in the play, such as controlling the amount of play, adding new characters, changing the content of play, and leading various play with one play. It appeared for them to support each other's play, such as caring for each other and learning social skills.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cases and meanings of free play in kindergarten centered on play materials support. These finding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play in-depth from the point of view of children.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social efforts to suppor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eachers based on children's understanding of play.
The study is designed to understand cases and meanings research of free play in kindergarten centered on play materials support for small sized class, Dalnim class. Accordingly, it aim to understand the flow of children’s play ideas an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view play from the children’s persp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1. What is the case of free play in kindergarten centered on play materials support? 2. What is the meaning of play centered on support of play materials? To this end, the researcher observed play by providing fun during free play time for children aged 4 or 5 in a small class at a public kindergarten in Gyeonggi-do from June 30, 2020 to August 25, 2020. Due to Corona 19, free play time was used once a week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and video recording, photographic data, and research journals of researcher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data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making a flow chart of play for each case and categorizing the meaning of play.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ase of free play in kindergarten centered on play materials support in a small class, it was found that infants play with all surrounding objects as play and continue to play despite time and space constrain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role of the teacher is mainly as a co-player, supporting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in the play. And infants become playmates without prejudice to gender, age, and developmental differences and compose play together.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aning of free play in kindergarten centering on support for play materials in small class, it appeared as the searcher who enjoys the senses, the player who is the subject of the play time, the creator who leads the change of the play, and the partner who supports each other's play. First, it was found that infants explored the sense of play using their five senses, and also appeared as a player whose play time is the subject, such as making rules or suggesting play. In addition, they became the subject of change in the play, such as controlling the amount of play, adding new characters, changing the content of play, and leading various play with one play. It appeared for them to support each other's play, such as caring for each other and learning social skills.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cases and meanings of free play in kindergarten centered on play materials support. These finding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play in-depth from the point of view of children.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social efforts to suppor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eachers based on children's understanding of pla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