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A기업의 이러닝을 수료한 학습 참여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실재감, 학습몰입, 자기주도성 및 학습전이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의 매개와 자기주도성의 조절효과를 바탕으로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이러닝을 통한 학습 결과를 현업 복귀 후 실제 업무에 적용하는 학습전이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실재감이 조성될 수 있는 학습 환경과 학습 참여자들의 자기주도성을 높일 수 있는 ...
본 연구는 국내 A기업의 이러닝을 수료한 학습 참여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실재감, 학습몰입, 자기주도성 및 학습전이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의 매개와 자기주도성의 조절효과를 바탕으로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이러닝을 통한 학습 결과를 현업 복귀 후 실제 업무에 적용하는 학습전이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실재감이 조성될 수 있는 학습 환경과 학습 참여자들의 자기주도성을 높일 수 있는 교수설계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수립하였다. 첫째, 기업 이러닝 환경에서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몰입을 매개하여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자기주도성은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전이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가? 위에서 제기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A기업의 이러닝을 수료한 학습 참여자를 대상으로 2020년 10월 2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00명의 설문 결과를 회수하였다. 설문응답을 SPSS 26.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전이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전이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전이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학습몰입을 통해서도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자기주도성은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전이 사이에서 조절효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가정한 상황에서도 자기주도성은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전이 사이에 조건부 직접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기업 이러닝에서의 학습전이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교수자와 학습참여자 간, 그리고 학습참여자들 사이에 사회적 실재감이 발현될 수 있는 분위기와 활동들을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분위기와 환경조성을 통해 학습 참여자들 사이에 사회적 실재감이 형성된다면 학습몰입을 매개로 하여 학습전이를 향상시킬 가능성이 높다. 셋째, 교육훈련 설계시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성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자기주도성은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높여 결국 학습한 내용을 실제 업무에 적용하는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기업 HRD 담당자들의 이러닝 관련 교육훈련 설계시 교수자 중심의 일방향적인 방식이 아닌 교수자와 학습 참여자, 학습 참여자 간의 공유와 토론 방식의 양방향적 방법도 병행하여 사회적 실재감을 높이는 방안과 함께 자기주도성을 촉진하는 전략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는 국내 A기업의 이러닝을 수료한 학습 참여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실재감, 학습몰입, 자기주도성 및 학습전이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의 매개와 자기주도성의 조절효과를 바탕으로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이러닝을 통한 학습 결과를 현업 복귀 후 실제 업무에 적용하는 학습전이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실재감이 조성될 수 있는 학습 환경과 학습 참여자들의 자기주도성을 높일 수 있는 교수설계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수립하였다. 첫째, 기업 이러닝 환경에서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몰입을 매개하여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자기주도성은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전이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가? 위에서 제기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A기업의 이러닝을 수료한 학습 참여자를 대상으로 2020년 10월 2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00명의 설문 결과를 회수하였다. 설문응답을 SPSS 26.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전이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전이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전이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학습몰입을 통해서도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자기주도성은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전이 사이에서 조절효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가정한 상황에서도 자기주도성은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전이 사이에 조건부 직접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기업 이러닝에서의 학습전이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교수자와 학습참여자 간, 그리고 학습참여자들 사이에 사회적 실재감이 발현될 수 있는 분위기와 활동들을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분위기와 환경조성을 통해 학습 참여자들 사이에 사회적 실재감이 형성된다면 학습몰입을 매개로 하여 학습전이를 향상시킬 가능성이 높다. 셋째, 교육훈련 설계시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성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자기주도성은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높여 결국 학습한 내용을 실제 업무에 적용하는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기업 HRD 담당자들의 이러닝 관련 교육훈련 설계시 교수자 중심의 일방향적인 방식이 아닌 교수자와 학습 참여자, 학습 참여자 간의 공유와 토론 방식의 양방향적 방법도 병행하여 사회적 실재감을 높이는 방안과 함께 자기주도성을 촉진하는 전략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겠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esence, learning commitment, self-direction, and learning transfer for learning participants who have completed e-learning at ‘A company’, and learning ba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prese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direction. ...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esence, learning commitment, self-direction, and learning transfer for learning participants who have completed e-learning at ‘A company’, and learning ba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prese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direction. We tried to empirically verify whether it affects metastasis. Through this, in order to promote the learning transfer that applies the learning results through e-learning to actual work after returning to work, it is intended to provide implications that a learning environment that can create a sense of social presence and instructional design that can increase the self-direction of learning participants are necessary.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does social presence affect learning transfer in the corporate e-learning environment? Second, does social presence influence learning transfer by mediating learning flow? Third, does self-direction have a moderating effect between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transfer?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 raised above, a total of 300 survey results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online from October 21 to October 30, 2020 targeting learning participants who completed e-learning by ‘A Company’. The survey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the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pres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transfer. Second, it was found that learning flow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transfer. Although social presence directly affects learning transfer,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at influenced learning transfer through learning flow. Third, it was found that self-direction had a moderate effect between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transfer. Even under the assump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commitment, it was confirmed that self-direction had a direct conditional effect between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transfer.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First, in order to promote learning transfer in corporate e-learning, it is necessary to arrange an atmosphere and activities in which social presence can be expressed between instructors and participants, and between participants. Second, if social presence is formed among learning participants through the creation of an atmosphere and environment, it is highly likely to improve learning transfer through learning flow. Third, when designing training programs before it begin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rograms that can lead to learners' self-direction. Self-direction enhance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hich in turn can affect the learning transfer that applies the learned content to actual work. Therefore, when HRDers working in corporates design e-learning training programs, I ask them to consider not only a one-way method centered on instructors, but also a two-way method of sharing and discuss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ing participants, and between learning participants.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esence, learning commitment, self-direction, and learning transfer for learning participants who have completed e-learning at ‘A company’, and learning ba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presenc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direction. We tried to empirically verify whether it affects metastasis. Through this, in order to promote the learning transfer that applies the learning results through e-learning to actual work after returning to work, it is intended to provide implications that a learning environment that can create a sense of social presence and instructional design that can increase the self-direction of learning participants are necessary.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does social presence affect learning transfer in the corporate e-learning environment? Second, does social presence influence learning transfer by mediating learning flow? Third, does self-direction have a moderating effect between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transfer?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 raised above, a total of 300 survey results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online from October 21 to October 30, 2020 targeting learning participants who completed e-learning by ‘A Company’. The survey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the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pres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transfer. Second, it was found that learning flow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transfer. Although social presence directly affects learning transfer,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at influenced learning transfer through learning flow. Third, it was found that self-direction had a moderate effect between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transfer. Even under the assump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commitment, it was confirmed that self-direction had a direct conditional effect between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transfer.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First, in order to promote learning transfer in corporate e-learning, it is necessary to arrange an atmosphere and activities in which social presence can be expressed between instructors and participants, and between participants. Second, if social presence is formed among learning participants through the creation of an atmosphere and environment, it is highly likely to improve learning transfer through learning flow. Third, when designing training programs before it begin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rograms that can lead to learners' self-direction. Self-direction enhance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hich in turn can affect the learning transfer that applies the learned content to actual work. Therefore, when HRDers working in corporates design e-learning training programs, I ask them to consider not only a one-way method centered on instructors, but also a two-way method of sharing and discuss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ing participants, and between learning participant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