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료 튜터링'에 참가한 목표달성 집단과 미달성 집단의 차이: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학습실재감, 학습전이를 중심으로
Differences i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Transfer between Low-Achievers Participating in Peer Tutoring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1, 2020년, pp.581 - 592  

황순희 (홍익대학교(세종) 교양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저성취 대학생을 위한 '동료 튜터링(학습 튜터링)'의 참가 영향을 분석하여, 유관 프로그램 개선 및 운영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참가자 중 목표달성 집단(학점 상승)과 미달성 집단(학점 하락)의 차이를 학점 변화 및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학습실재감, 학습전이의 차이로 비교, 분석해보고, 둘째, 세 변인의 관련성이 어떠한지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세종시 소재 H 대학교, 학습 튜터링 참가자 15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 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t-검정분석, 상관분석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간략한 연구 결과는, 첫째, 튜터링 참여 후 목표달성 집단(124명, 80.52%)은 학점이 상승하였고, 참가자 전체의 학점 평균도 상승하였다. 둘째, 성별, 학년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학습실재감, 학습전이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목표달성 집단은 미달성 집단보다 세 가지 변인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고, 그 차이는 유의하였다. 넷째, 세 가지 성과 변인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으며,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학습실재감이 학습전이의 71%를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동료(학습) 튜터링에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학습실재감 향상을 위한 활동 전략 개발 및 적용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peer tutoring(learning tutoring)' program designed for low achiever students, and to provide an explanation for the improvement of related extracurricular activity. For this, firstly, the study analyzed differences between goal attainment...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저성취 학습자를 지원하기 위해 개발, 운영되는 비교과 활동 (extracurricular activities)1 중 대표적 프로그램인 ‘동료 튜터링(peer tutoring)’(학습 튜터링)[2][3]2 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시작되었다.
  • 이내영과 한지영(2018)은 플립러닝 기반 수업에서 학습전이의 영향 요인으로 협력적 자기효능감, 학습실재감을 제시하였고, 학습실재감이 학습전이에 보다 높은 영향력을 갖는다고 하였다[38]. 이를 기초로 학습실재감을 고려한 학습전이 향상 전략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동료 튜터링 환경에서도 학습전이가 학업성취 향상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영향 요인으로 분석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학습실재감의 향상이 기대되는 다양한 활동 전략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 전술한 바와 같이 대학생 대상의 동료 튜터링 참여 효과 및 유관 연구는 아직 누적된 연구가 많지 않으며, 특히 동료 튜터링 참가자의 목표달성 집단과 미달성 집단의 차이를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학습실재감, 학습전이의 관련성과 통합적으로 다룬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 다. 이상과 같은 연구 배경과 필요성에 근거하여 이 연구는 목표달성 집단과 미달성 집단의 세 가지 변인의 차이를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와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동료 튜터링 활동에서 목표 미달성 집단의 학업 성취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고하는 데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동료 튜터링 참가자의 보다 효과적인 교육 지원을 제고하고 학습전이의 향상을 위해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학습실재감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그런데 본 연구자의 운영 기관 실무경험을 통해 확인한 바에 의하면, 동료 튜터링 참여 이후 학점이 하락한 학습자(목표 미달성 집단) 가 적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목표 미달성 집단 (학점하락)과 목표달성 집단(학점상승)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학업성취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고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먼저 동료 튜터링의 참여를 통해 기대되는 성과 변인은 학업 성취의 긍정적 변화, 즉 평균 평점(GPA: grade point average), 학점 향상일 것이다.

가설 설정

  •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목표 미달성 집단 (학점하락)과 목표달성 집단(학점상승)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학업성취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고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먼저 동료 튜터링의 참여를 통해 기대되는 성과 변인은 학업 성취의 긍정적 변화, 즉 평균 평점(GPA: grade point average), 학점 향상일 것이다. 또한,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적용하고 유지 및 증진하는 행동화를 뜻하는 학습전이(learning transfer)[12]를 비롯하여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13], 학습실재감 (learning presence)[14][15]을 들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저성취 대학생을 위한 '동료 튜터링(학습 튜터링)'의 참가 영향을 분석하여, 유관 프로그램 개선 및 운영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무엇을 수행하였는가? 이 연구의 목적은 저성취 대학생을 위한 '동료 튜터링(학습 튜터링)'의 참가 영향을 분석하여, 유관 프로그램 개선 및 운영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참가자 중 목표달성 집단(학점 상승)과 미달성 집단(학점 하락)의 차이를 학점 변화 및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학습실재감, 학습전이의 차이로 비교, 분석해보고, 둘째, 세 변인의 관련성이 어떠한지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세종시 소재 H 대학교, 학습 튜터링 참가자 15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 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t-검정분석,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학 교육의 양적 성장은 무엇을 요구하고 있는가? 대학 교육의 양적 성장은 지속적인 질적 성장과 향상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학 차원에서도 학습자의 학습 경쟁력과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학업 저성취자란? 그 대표적인 노력으로 학업 저성취자 (academic underachiever; low achiever)를 위한 교육적 개입과 지원을 들 수 있다. 학업 저성취자란 학사경고자를 포함하여 표준화된 성취도 검사로 측정하여 기대되는 성취수준과 실제 학업성취 간의 불일치[1] 를 경험한 학습자를 뜻한다. 이 연구는 저성취 학습자를 지원하기 위해 개발, 운영되는 비교과 활동 (extracurricular activities)1 중 대표적 프로그램인 ‘동료 튜터링(peer tutoring)’(학습 튜터링)[2][3]2 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시작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S. M. Reis and D. B. McCoach, "The underachievement of gifted students: What do we know and where do we go?," Gifted Child Quarterly, Vol.44, pp.152-170, 2000. 

  2. K. J. Topping, "The effectiveness of peer tutoring in further and higher education: A typology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Higher Education, Vol.32, No.3, pp.321-345, 1996. 

  3. L. Bowman-Perrott, H. Davis, K. Vannest, L. Williams, C. Greenwood, and R. Parker, "Academic benefits of peer tutoring: A meta-analytic review of single-case research," School psychology review, Vol.42, No.1, p.39, 2013. 

  4. S. Richards and E. Aries, "Performance, Campus Involvement, and Growth,"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Vol.40, No.3, pp.211-218, 1999. 

  5. Y. R. Huang and S. M. Chang, "Academic and cocurricular involvement: Their relationship and the best combinations for student growth,"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Vol.45, No.4, pp.391-406, 2004. 

  6. E. Massoni, "Positive effects of extra curricular activities on students," ESSAI, Vol.9, No.1, pp.84-87, 2011. 

  7. R. Bakoban and S. Aljarallah,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heir effect on the student's grade point average: Statistical study," Educational Research and Reviews, Vol.10, No.20, pp.2737-2744, 2015. 

  8. 황순희, "비교과 교육 활동 참여가 학점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성, 전공, 학년 변인과 비교과 활동 유형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Vol.13, No.4, pp.11-37, 2019. 

  9. H. Seirup and S. Rose, "Exploring the effects of hope on GPA and retention among college undergraduate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Eduction Research International, pp.1-7, 2011. 

  10. S. Renzulli, "Using learning strategies to improve the academic performance of university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NACADA Journal, Vol.35, No.1, pp.29-41, 2015. 

  11. 서은희, "저성취 대학생 대상 성적향상 프로그램 효과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1, pp.250-257, 2018. 

  12. H. W. Ayres, Factors related to motivation to learn and motivation to transfer learning in a nursing popul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Raleigh, 2005. 

  13. M. S. Knowles,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 New York: Association Press, Vol.2, No.2, 1975. 

  14. W. Barfield, D. Zeltzer, T. Sheridan, and M. Slater, "Presence and performance within virtual environments," In W. Barfield & T.A. Furness(Eds.)., Virtual environments and advanced interface design, pp.473-513,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15. M. Lombard and T. Ditton, "At the heart of it all: The concept of presence,"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3, No.2, JCMC321, 1997. 

  16. 이용진, 양현정, 조성희, "학사경고생의 특성 변인과 교육적 개입 필요성에 대한 탐색," 교육방법연구, Vol.29, No.1, pp.161-184, 2017. 

  17. U. Baslanti, "Investigating the underachie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in Turkey: Exploring subscale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gressive education, Vol.4, No.2, pp.40-56, 2008. 

  18. M. Balduf, "Underachievement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academics, Vol.20, No.2, pp.274-294, 2009. 

  19. M. Houle, Academic suspension and student adjustment: How students mak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Northeastern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13. 

  20. A. Barouch-Gilbert, "Academic probation: student experiences and self-efficacy enhancement," Journal of Ethnographic & Qualitative Research, Vol.10, pp.153-164, 2016. 

  21. 주영아, 정희진, 황선희, 김영혜, "학업 저성취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및 스트레스 대처전략 증진집단상담 프로그램 효과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2, pp.85-115, 2013. 

  22. 선복근, 김병삼, 정준오,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학생 주도형 학습공동체(피어 튜터링) 활동," 공학교육연구, Vol.12, No.4, pp.126-134, 2009. 

  23. J. L. Arco-Tirado, F. D. Fernandez-Martin, and J. M. Fernandez-Balboa, "The impact of a peer-tutoring program on quality standards in higher education," Higher Education, Vol.62, No.6, pp.773-788, 2011. 

  24. K. Keim and M. Kiser, "SI or Peer Tutoring: Is One Really Better Than the Other?," Journal of college academic support programs, Vol.2, No.1, pp.52-53, 2019. 

  25. 박덕희, "학업 저성취 대학생을 위한 일대일 학습 공동체 프로그램 효과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6, pp.375-402, 2017. 

  26. 김진실, 이무영, "전문대학 전공수업의 학습공동체운영 효과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9, No.2, pp.205-226, 2007. 

  27. 곽정숙, 우승희, "학습 튜터링 프로그램이 대인관계,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7, pp.272-281, 2018. 

  28. 공민영, 김진모, "기업 e-Learning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전이와 자기주도성, 전이풍도, 학습과의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0, No.3, pp.223-246, 2008. 

  29. R. S. Caffarella, Planning Programs for Adult Learners: A Practical Guide for Educators, Trainers, and Staff Developers, New York: John Willey & Sons, 2002. 

  30. 장은주, 임효창, "비서직 사원들을 대상으로 한 웹기반 교육훈련(web-based training)의 효과성 모형 도출에 관한 연구," 비서학논총, Vol.10, No.2, pp.21-36, 2001. 

  31. 남기찬, 임효창, 황국재, "온라인(on-line) 교육훈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지, Vol.27, No.1, pp.75-94, 2002. 

  32. 오연재,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학습전이 이론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33. J. A. Cannon-Bowers and E. Salas, "A framework for developing team performance measures in training," In Team performance assessment and measurement (pp.57-74), Psychology Press, 1997. 

  34. 이진화, 기업체 근로자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조직 및 직무특성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35. S. K. McCune, L. M. Guglielmino, and G. Garcia, "Adult self-direction in learning: A preliminary meta-analytic investigation of research us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Advances in self-directed learning research. Norman, OK: Research Center for Continuing Professional and Higher Education, University of Oklahoma, 1990. 

  36. C. Heeter, "Being there: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presence," Presence: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Vol.1, No.2, pp.262-271, 1992. 

  37. 안재성, TBL 기반 플립러닝 수업에서 협력적 자아효능감, 학습실재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팀 멘탈 모델의 매개효과 검증,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38. 이내영, 한지영, "플립러닝을 활용한 팀 기반 학습에서 협력적 자아효능감과 학습실재감이 학습전이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9, No.4, pp.951-960, 2018. 

  39. L. M. Guglielmino,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Doctoral dissertation, ProQuest Information & Learning), 1978. 

  40. 김지자, 김인아, 안현미, "아동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기주도 학습력과의 관계," 한국초등교육, Vol.12, No.1, pp.177-209, 2000. 

  41. M. J. Kang, J. Kim, and M. Park, "Investigating presence as a predictor of learning outcomes in e-learning environment," In EdMedia+ Innovate Learning, pp.4175-4180,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Computing in Education(AACE), 2008. 

  42. 김지심, 기업 이러닝에서 실재감과 학습효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43. H. J. Van Berkel and D. H. Dolmans, "The influence of tutoring competencies on problems, group functioning and student achievement in problem­based learning," Medical Education, Vol.40, No.8, pp.730-736, 2006. 

  44. 송충진,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에 따른 동료 튜터링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 pp.93-120,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