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권리존중양육이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other's Perception of Child Rights and Parenting Respecting Rights on Children's Happiness원문보기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일반적인 배경에 따른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 권리존중양육, 아동의 행복감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권리존중양육과의 관계를 분석하며,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권리존중양육이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 권리존중양육, 아동의 행복감은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권리존중양육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권리존중양육이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남도 무안군과 목포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자녀를 둔 어머니 383명이었으며,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재연과 강성희(1997)가 사용한 척도를 허은(2014)이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권리존중양육의 측정도구는 황소영(2016)이 개발한 아동권리존중 양육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행복감의 측정도구는 이은주(2010)가 교사의 관점에서 개발한 유아행복척도를 정영선(2016)이 부모의 관점에서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일반적인 배경에 따른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 권리존중양육, 아동의 행복감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권리존중양육과의 관계를 분석하며,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권리존중양육이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 권리존중양육, 아동의 행복감은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권리존중양육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권리존중양육이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남도 무안군과 목포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자녀를 둔 어머니 383명이었으며,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재연과 강성희(1997)가 사용한 척도를 허은(2014)이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권리존중양육의 측정도구는 황소영(2016)이 개발한 아동권리존중 양육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행복감의 측정도구는 이은주(2010)가 교사의 관점에서 개발한 유아행복척도를 정영선(2016)이 부모의 관점에서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해서 SPSS 25.0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분석, t-test, One-way ANOVA, Pearson의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온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 권리존중양육, 아동의 행복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권리존중양육은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아동의 행복감은 어머니의 학력, 아동의 성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 권리존중양육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권리존중양육 전체와 하위요인 전체에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권리존중양육 정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권리존중양육이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권리존중양육 모두 아동의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인 의사결정참여와 긍정적양육이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에 비하여 권리존중양육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아동의 행복을 증진시키기 위해 어머니의 아동리에 대한 인식을 함양시키고 아동권리를 존중하는 양육의 실천을 위한 아동권리교육에 기초한 권리존중양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 word ; 아동권리인식, 권리존중양육, 아동의 행복감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일반적인 배경에 따른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 권리존중양육, 아동의 행복감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권리존중양육과의 관계를 분석하며,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권리존중양육이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 권리존중양육, 아동의 행복감은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권리존중양육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권리존중양육이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남도 무안군과 목포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자녀를 둔 어머니 383명이었으며,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재연과 강성희(1997)가 사용한 척도를 허은(2014)이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권리존중양육의 측정도구는 황소영(2016)이 개발한 아동권리존중 양육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행복감의 측정도구는 이은주(2010)가 교사의 관점에서 개발한 유아행복척도를 정영선(2016)이 부모의 관점에서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해서 SPSS 25.0을 사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분석, t-test, One-way ANOVA, Pearson의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온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 권리존중양육, 아동의 행복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권리존중양육은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아동의 행복감은 어머니의 학력, 아동의 성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 권리존중양육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권리존중양육 전체와 하위요인 전체에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권리존중양육 정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권리존중양육이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권리존중양육 모두 아동의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인 의사결정참여와 긍정적양육이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에 비하여 권리존중양육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아동의 행복을 증진시키기 위해 어머니의 아동리에 대한 인식을 함양시키고 아동권리를 존중하는 양육의 실천을 위한 아동권리교육에 기초한 권리존중양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the respect for rights and the happiness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mother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and the respect for rights of mother...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the respect for rights and the happiness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mother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and the respect for rights of mothers and whether the respect for rights affects the happiness of children.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1.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a mother's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respect for rights, and children's happiness according to her general background?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erception of child rights and rights-respecting parenting? 3. What is the effect of mother's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and respect for rights on children's happi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83 mothers with children aged 3, 4 and 5 attending daycare centers located in Muan-gun, Jeollanam-do and Mokpo-si, the research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Heo Eun(2014) from the scales used by Lee Jae-yeon and Kang Sung-hee(1997) to identify the awareness of mothers' children's rights, the measure of rights-respecting child care developed by Hwang So-young(2016) was used as a measure of rights-respecting child care, the measure of a child's happiness was developed by Lee Eun-joo(2010) from the perspective of a teacher and modified by Jeong Young-sun (2016) from the perspective of parents.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in this study,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um-retur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5.0.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a mother's perception of child rights, respect for rights, and a child's happiness based on the mother's general backgrou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 mother's perception of child rights and respect for rights, and a child's happines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child's gender.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erception of child rights and rights-respecting parenting was examined, and the perception of mother's right to children and the whole right respecting parenting and the whole sub-factor was static.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awareness of a mother's rights to children, the higher the degree of respect for rights. Third, the effect of mother's awareness of child rights and respect for rights on children's happin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happiness in both mother's awareness of child rights and rights respecting care, and to have an effect on children's happiness in decision making participation and positive parenting.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respect for rights was more influential than the mother's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ould like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rights respecting programs based on the education of children's rights for the practice of parenting in respect of children's rights and fostering the awareness of mothers' children's rights in order to promote children's happiness.
key word ;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respect for rights, happiness of children
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the respect for rights and the happiness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mother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and the respect for rights of mothers and whether the respect for rights affects the happiness of children.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1.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a mother's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respect for rights, and children's happiness according to her general background?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erception of child rights and rights-respecting parenting? 3. What is the effect of mother's awareness of children's rights and respect for rights on children's happi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83 mothers with children aged 3, 4 and 5 attending daycare centers located in Muan-gun, Jeollanam-do and Mokpo-si, the research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Heo Eun(2014) from the scales used by Lee Jae-yeon and Kang Sung-hee(1997) to identify the awareness of mothers' children's rights, the measure of rights-respecting child care developed by Hwang So-young(2016) was used as a measure of rights-respecting child care, the measure of a child's happiness was developed by Lee Eun-joo(2010) from the perspective of a teacher and modified by Jeong Young-sun (2016) from the perspective of parents.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in this study,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um-retur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5.0.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a mother's perception of child rights, respect for rights, and a child's happiness based on the mother's general backgrou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 mother's perception of child rights and respect for rights, and a child's happines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child's gender.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erception of child rights and rights-respecting parenting was examined, and the perception of mother's right to children and the whole right respecting parenting and the whole sub-factor was static.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awareness of a mother's rights to children, the higher the degree of respect for rights. Third, the effect of mother's awareness of child rights and respect for rights on children's happin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happiness in both mother's awareness of child rights and rights respecting care, and to have an effect on children's happiness in decision making participation and positive parenting.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respect for rights was more influential than the mother's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ould like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rights respecting programs based on the education of children's rights for the practice of parenting in respect of children's rights and fostering the awareness of mothers' children's rights in order to promote children's happiness.
key word ;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respect for rights, happiness of childre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