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은 섭취한 에너지 중에서 소비되지 않은 것이 체지방으로 전환되어 과다하게 축적되는 질환으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생명체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조직 손상에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기전인 항산화 효소 및 항산화제로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시킨다. 항산화제는 ...
비만은 섭취한 에너지 중에서 소비되지 않은 것이 체지방으로 전환되어 과다하게 축적되는 질환으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생명체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조직 손상에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기전인 항산화 효소 및 항산화제로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시킨다. 항산화제는 지질의 과산화를 억제하고 혈관벽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비만 합병증인 심혈관계 질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방풍나물(Peucedanum japonicum Thunb.)은 미나리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으로, 쌈 채소와 나물 등 생으로도 섭취하지만, 대부분 봄에 수확되기 때문에, 데쳐서 말린 형태인 묵나물로도 섭취하고 있다. 묵나물은 질감이 단단하고 질겨 재수화 과정을 거친 후, 섭취할 수 있다. 생 방풍나물은 in vitro에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rutin과 caffeoylquinic acid가 항산화 활성 성분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생 방풍나물은 이상지질혈증 개선 효과, 항비만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방풍나물의 항비만 및 항산화효과를 조사한 연구는 대부분 생 방풍나물에 대한 연구이었으며, 묵나물 형태의 방풍나물의 생리활성을 규명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을 장기간 섭취시킨 마우스에서 묵나물 형태의 방풍나물의 항산화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묵나물 형태의 방풍나물을 16시간 동안 찬물에 담근 후, 30분간 삶고 다시 1시간 동안 찬물에 담가 재수화하였다. 재수화 전과 후의 방풍나물을 100% 에탄올로 추출한 뒤 감압농축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후, 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재수화 전과 재수화 후의 방풍나물 추출물들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각각 64±4.5%, 44.6±3.7%로 나타나, 재수화 후의 활성이 재수화 전의 활성의 69.1% 수준으로 나타났다. 6주령의 수컷 C57BL/6J 마우스를 네 군으로 나누어, 대조군(control group)에게는 65% corn starch를 함유한 기본 식이(basal diet)를, 고지방군(High-fat diet group, HFD)에게는 20% corn starch, 25% lard, 1% cholestrol를 함유한 고지방 식이를, 저농도(Low Peucedanum japonicum Thunb. (LPJT) group) 및 고농도 방풍나물 추출물군(High Peucedanum japonicum Thunb. (HPJT) group)에게는 고지방 식이에 재수화한 방풍나물 추출물을 각각 0.2%, 0.5%를 첨가하여 10주간 제공하였다. HFD군의 체중, 체중 증가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p<0.05). LPJT군의 체중, 체중 증가량은 HFD군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HPJT군의 체중, 체중 증가량은 HFD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HFD군의 식이 섭취 효율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HPJT군의 식이 섭취 효율은 HFD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HFD군의 부고환 백색지방조직 무게는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HPJT군은 HFD군보다 감소하였다. HFD군의 혈청 중성지방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LPJT군과 HPJT군은 HFD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HFD군의 혈청 총 콜레스테롤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LPJT군과 HPJT군은 HFD군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청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네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HFD군의 간조직 중성지방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LPJT군과 HPJT군의 간조직 중성지방 함량은 HFD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HFD군의 간조직 지질과산화물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LPJT군과 HPJT군은 HFD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간조직 GSH (glutathione) 농도의 경우 HFD군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LPJT군과 HPJT군은 HFD군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HFD군의 간조직 SOD (superoxide dismutase), CAT (catalase), GSH-Px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HPJT군의 SOD, CAT, GSH-Px 활성은 HFD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따라서, 재수화한 방풍나물의 장기간 섭취는 고지방 섭취 마우스에 있어서 지질대사 개선 및 항산화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비만은 섭취한 에너지 중에서 소비되지 않은 것이 체지방으로 전환되어 과다하게 축적되는 질환으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생명체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조직 손상에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기전인 항산화 효소 및 항산화제로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시킨다. 항산화제는 지질의 과산화를 억제하고 혈관벽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비만 합병증인 심혈관계 질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방풍나물(Peucedanum japonicum Thunb.)은 미나리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으로, 쌈 채소와 나물 등 생으로도 섭취하지만, 대부분 봄에 수확되기 때문에, 데쳐서 말린 형태인 묵나물로도 섭취하고 있다. 묵나물은 질감이 단단하고 질겨 재수화 과정을 거친 후, 섭취할 수 있다. 생 방풍나물은 in vitro에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rutin과 caffeoylquinic acid가 항산화 활성 성분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생 방풍나물은 이상지질혈증 개선 효과, 항비만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방풍나물의 항비만 및 항산화효과를 조사한 연구는 대부분 생 방풍나물에 대한 연구이었으며, 묵나물 형태의 방풍나물의 생리활성을 규명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을 장기간 섭취시킨 마우스에서 묵나물 형태의 방풍나물의 항산화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묵나물 형태의 방풍나물을 16시간 동안 찬물에 담근 후, 30분간 삶고 다시 1시간 동안 찬물에 담가 재수화하였다. 재수화 전과 후의 방풍나물을 100% 에탄올로 추출한 뒤 감압농축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후, 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재수화 전과 재수화 후의 방풍나물 추출물들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각각 64±4.5%, 44.6±3.7%로 나타나, 재수화 후의 활성이 재수화 전의 활성의 69.1% 수준으로 나타났다. 6주령의 수컷 C57BL/6J 마우스를 네 군으로 나누어, 대조군(control group)에게는 65% corn starch를 함유한 기본 식이(basal diet)를, 고지방군(High-fat diet group, HFD)에게는 20% corn starch, 25% lard, 1% cholestrol를 함유한 고지방 식이를, 저농도(Low Peucedanum japonicum Thunb. (LPJT) group) 및 고농도 방풍나물 추출물군(High Peucedanum japonicum Thunb. (HPJT) group)에게는 고지방 식이에 재수화한 방풍나물 추출물을 각각 0.2%, 0.5%를 첨가하여 10주간 제공하였다. HFD군의 체중, 체중 증가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p<0.05). LPJT군의 체중, 체중 증가량은 HFD군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HPJT군의 체중, 체중 증가량은 HFD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HFD군의 식이 섭취 효율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HPJT군의 식이 섭취 효율은 HFD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HFD군의 부고환 백색지방조직 무게는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HPJT군은 HFD군보다 감소하였다. HFD군의 혈청 중성지방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LPJT군과 HPJT군은 HFD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HFD군의 혈청 총 콜레스테롤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LPJT군과 HPJT군은 HFD군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청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네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HFD군의 간조직 중성지방 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LPJT군과 HPJT군의 간조직 중성지방 함량은 HFD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HFD군의 간조직 지질과산화물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LPJT군과 HPJT군은 HFD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간조직 GSH (glutathione) 농도의 경우 HFD군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LPJT군과 HPJT군은 HFD군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HFD군의 간조직 SOD (superoxide dismutase), CAT (catalase), GSH-Px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HPJT군의 SOD, CAT, GSH-Px 활성은 HFD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따라서, 재수화한 방풍나물의 장기간 섭취는 고지방 섭취 마우스에 있어서 지질대사 개선 및 항산화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Oxidative stress is increased in obesity, characterized by an increase in excessive fat accumulation due to conversion of unconsumed energy into body fat. Living organisms inhibit the production of free radicals with antioxidant enzymes and antioxidants, which are defense mechanisms to protect thems...
Oxidative stress is increased in obesity, characterized by an increase in excessive fat accumulation due to conversion of unconsumed energy into body fat. Living organisms inhibit the production of free radicals with antioxidant enzymes and antioxidants, which are defense mechanisms to protect themselves from tissue damage caused by oxidative stress. Bangpungnamul (Peucedanum japonicum Thunb., PJT) is a perennial herb belonging to the parsley family. It has been reported that raw bangpungnamul has antioxidant activity and hypolipidemic and anti-obesity effect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bangpungnamul in the form of muknamu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effect of bangpungnamul in the form of muknamul in mice that consumed high-fat diet for a long tim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ethanol extracts before and after rehydration of muknamul type of bangpungnamul were 64±4.5% and 44.6±3.7%, respectively. Six-week-old C57BL/6J male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he mice were fed a basal diet (Control gorup), high-fat diet (HFD group), or the HFD diet containing 0.2% or 0.5% PJT extract (Low PJT (LPJT) group or High PJT (HPJT) group) for 10 weeks. After sacrifice, serum lipid profile and levels of lipid peroxides and glutathione (GSH) in the liver were measure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the liver were determined. The body weight and epididymal white adipose tissue (WAT) weight of the HFD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05). There were decreases in body weight and epididymal WAT weight of the HPJT group compared to the HFD group (p<0.05). The feed efficiency ratio (FER) of the HPJT group were decreased compared to the HFD group. The serum triglyceride levels of the HFD group were elevat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LPJT and HPJT groups had decreased serum triglyceride levels compared to the HFD group. Serum total cholesterol in the LPJT and HPJT groups tended to decrease compared to the HFD group. The hepatic triglyceride content of the HFD group was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hepatic triglyceride contents of the LPJT and HPJT groups were decreased compared to the HFD group. HFD group had increase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BARS levels of the LPJT and HPJT groups were decreased compared to the HFD group. The hepatic GSH concentration in the LPJT and HPJT groups tended to increase compared to the HFD group.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and GSH-peroxidase (GSH-Px) activities of the liver in the HFD group were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SOD, CAT, and GSH-Px activities of the HPJT group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e HFD group. Therefore, long-term intake of rehydrated bangpungnamul may be useful in improving obesity and dyslipidemia and reducing oxidative stress in mice fed high-fat diet.
Oxidative stress is increased in obesity, characterized by an increase in excessive fat accumulation due to conversion of unconsumed energy into body fat. Living organisms inhibit the production of free radicals with antioxidant enzymes and antioxidants, which are defense mechanisms to protect themselves from tissue damage caused by oxidative stress. Bangpungnamul (Peucedanum japonicum Thunb., PJT) is a perennial herb belonging to the parsley family. It has been reported that raw bangpungnamul has antioxidant activity and hypolipidemic and anti-obesity effect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bangpungnamul in the form of muknamu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effect of bangpungnamul in the form of muknamul in mice that consumed high-fat diet for a long tim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ethanol extracts before and after rehydration of muknamul type of bangpungnamul were 64±4.5% and 44.6±3.7%, respectively. Six-week-old C57BL/6J male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he mice were fed a basal diet (Control gorup), high-fat diet (HFD group), or the HFD diet containing 0.2% or 0.5% PJT extract (Low PJT (LPJT) group or High PJT (HPJT) group) for 10 weeks. After sacrifice, serum lipid profile and levels of lipid peroxides and glutathione (GSH) in the liver were measure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the liver were determined. The body weight and epididymal white adipose tissue (WAT) weight of the HFD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p<0.05). There were decreases in body weight and epididymal WAT weight of the HPJT group compared to the HFD group (p<0.05). The feed efficiency ratio (FER) of the HPJT group were decreased compared to the HFD group. The serum triglyceride levels of the HFD group were elevat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LPJT and HPJT groups had decreased serum triglyceride levels compared to the HFD group. Serum total cholesterol in the LPJT and HPJT groups tended to decrease compared to the HFD group. The hepatic triglyceride content of the HFD group was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hepatic triglyceride contents of the LPJT and HPJT groups were decreased compared to the HFD group. HFD group had increase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BARS levels of the LPJT and HPJT groups were decreased compared to the HFD group. The hepatic GSH concentration in the LPJT and HPJT groups tended to increase compared to the HFD group.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and GSH-peroxidase (GSH-Px) activities of the liver in the HFD group were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SOD, CAT, and GSH-Px activities of the HPJT group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e HFD group. Therefore, long-term intake of rehydrated bangpungnamul may be useful in improving obesity and dyslipidemia and reducing oxidative stress in mice fed high-fat die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