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회초리말(Mutimo cylindricus)의 항산화, 항염 및 미백 활성
The Antioxidation Effect of Mutimo cylindricus Extract and Its Influence on Cell Bioactivity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11, 2020년, pp.279 - 287  

박상남 (경동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이옥희 (경동대학교 보건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갈조류 중 하나인 회초리말의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 기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항산화 실험 및 세포실험을 실시하였다. 항산화능 측정을 위해 회초리말을 70% 에탄올로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항산화 측정에는 DPPH와 ABTS 법을 사용하였으며, 각 실험에서 EC50값이 2.040과 2.182 mg/mL로 나타났다. 폴리페놀 함량과 환원능 측정에서는 103 mg gallic acid/g extract의 폴리페놀 함량과 134 mg ascorbic acid/g extract의 환원능이 나타났다. 세포실험에서는 MTT 법을 사용하여 해당 추출물이 세포독성이 없음을 나타내었으며, 100 ㎍/mL 농도에서 항염능과 미백능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수송나물 추출물은 미백 및 항염능을 가진 화장품 소재로서 사용가능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functionality of Mutimo cylindricus as a cosmetic ingredient, one of the brown algae. The M. cylindricus 70% ethanol extract was manufactured for antioxidant measurement. DPPH and ABTS methods were used to measure antioxidants, and its EC50 values were 2.0...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이유로 갈조류는 새로운 화장품 원료로서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갈조류 중 회초리 말의 항산화능 및 세포활성을 측정하여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G. T. Jeong & D. H. Park. (2014). Effect of Pretreatment Method on Lipid Extraction from Enteromorpha intestinalis.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29(1), 22-28. DOI : 10.7841/ksbbj.2014.29.1.22 

  2. C. S. Kumar, P. Ganesan, P. V. Suresh & N. Bhaskar. (2008). Seaweeds as a source of nutritionally beneficial compounds-a review.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5(1), 1. 

  3. Y. E. Jeon, F. Y. Xing, S. S. Lim, C. K. Chung & I. J. Kang. (2012). Antioxidant Activities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ies from Seaweed Extra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1(4), 443-449. DOI : 10.3746/jkfn.2012.41.4.443 

  4. Y. H. Park, Y. J. Kang, J. H. Pyeun & H. K. Oh. (1976). Chemical Composition of Unexpoited Algae and Extraction of Algal Protein Utilization of Unexpoited Algae for Food or Other Industrial Uses.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9(3), 155-162. 

  5. N. Y. Park, I. S. Kim & Y. J. Jeong. (2008). Effects of Extraction Conditions on the Componential Extraction of Brown Seaweed (Undaria pinnatifida).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13(4), 321-326. DOI : 10.3746/jfn.2008.13.4.321 

  6. C. H. Lee, Y. N. Park & S. G. Lee. (2020). Analysis and Comparison of Bioactive Compounds and Total Antioxidant Capabilities of Korean Brown Algae.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52(1), 54-59. DOI : 10.9721/KJFST.2020.52.1.54 

  7. P. Kumari, C. R. K. Reddy & B. Jha. (2011). Comparative evaluation and selection of a method for lipid and fatty acid extraction from macroalgae. Analytical biochemistry, 415(2), 134-144. DOI : 10.1016/j.ab.2011.04.010 

  8. B. Poljsak & R. Dahmane. (2012). Free radicals and extrinsic skin aging. Dermatology research and practice, 2012(1), 1-4. DOI : 10.1155/2012/135206 

  9. B. Poljsak, R. G. Dahmane & A. Godic. (2012). Intrinsic skin aging: the role of oxidative stress. Acta Dermatovenerol Alp Pannonica Adriat, 21(2), 33-36. DOI : 10.2478/v10162-012-0012-5 

  10. H. Kawai, K. Kogishi, Y. Hanyuda & T. Kitayama. (2012). Taxonomic revision of the genus Cutleria proposing a new genus Mutimo to accommodate M. cylindricus (Cutleriaceae, Phaeophyceae). Phycological research, 60(3), 241-248. DOI : 10.1111/j.1440-1835.2012.00651.x 

  11. D. B. Shin, E. H. Han & S. S. Park. (2014). Cytoprotective Effects of Phaeophyta Extracts from the Coast of Jeju Island in HT-22 Mouse Neuronal Cel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3(2), 224-230. DOI : 10.3746/jkfn.2014.43.2.224 

  12. F. Ferreres, G. Lopes, A. Gil-Izquierdo, P. B. Andrade, C. Sousa, T. Mouga & P. Valentao. (2012). Phlorotannin extracts from fucales characterized by HPLC-DAD-ESI-MSn: approaches to hyaluronidase inhibitory capac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Marine drugs, 10(12), 2766-2781. DOI : 10.3390/md10122766 

  13. M. S. Bloi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4617), 1199-1200. 

  14. N. J. Miller & C. A. Rice-Evans. (1997). Factors influencing the antioxidant activity determined by the ABTS•+ radical cation assay. Free radical research, 26(3), 195-199. DOI : 10.3109/10715769709097799 

  15. S. B. Kedare & R. P. Singh. (2011). Genesis and development of DPPH method of antioxidant assay.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8(4), 412-422. DOI : 10.1007/s13197-011-0251-1 

  16. V. N. Gladyshev. (2014). The free radical theory of aging is dead. Long live the damage theory!. Antioxidants & redox signaling, 20(4), 727-731. DOI : 10.1089/ars.2013.5228 

  17. J. Imai, N. Ide, S. Nagae, T. Moriguchi, H. Matsuura & Y. Itakura. (1994).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aged garlic extract and its constituents. Planta medica, 60(5), 417-420. DOI : 10.1055/s-2006-959522 

  18. B. Halliwell, R. Aeschbach, J. Loliger & O. I. Aruoma. (1995). The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nts.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33(7), 601-617. DOI : 10.1016/0278-6915(95)00024-V 

  19. N. S. Rajurkar & S. M. Hande. (2011). Estimation of phytochemica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selected traditional Indian medicinal plants. Indian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73(2), 146. DOI : 10.4103/0250-474x.91574 

  20. L. Wang, Y. R. Cui, H. W. Yang, H. G. Lee, J. Y. Ko & Y. J. Jeon. (2019). A mixture of seaweed extracts and glycosaminoglycans from sea squirts inhibits α-MSH-induced melanogen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22(1), 1-8. DOI : 10.1186/s41240-019-0126-3 

  21. S. J. Heo et al. (2010). Evaluation of anti-inflammatory effect of fucoxanthin isolated from brown algae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48(8-9), 2045-2051. DOI : 10.1016/j.fct.2010.05.00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