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자유놀이에서의 유아 놀이 주도성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Q 방법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Play Leadership in Free Play : Focusing on the Q-methodology approach원문보기
본 연구는 자유놀이에서의 유아 놀이 주도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유형을 알아보고 그 유형 별 특성에 대해 탐색해 보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유아 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가진 자유놀이에서의 유아 놀이 주도성에 대한 교사의 주관적 인식을 Q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유형을 분류한 후 각각의 인식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절차는 모두 5단계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먼저 1단계에서는 Q 모집단을 구성하기 위한 사전 준비 단계로써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유아교육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사 3인을 대상으로 하는 기초면담을 수행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반 구조화된 면담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2단계에서는 Q ...
본 연구는 자유놀이에서의 유아 놀이 주도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유형을 알아보고 그 유형 별 특성에 대해 탐색해 보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유아 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가진 자유놀이에서의 유아 놀이 주도성에 대한 교사의 주관적 인식을 Q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유형을 분류한 후 각각의 인식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절차는 모두 5단계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먼저 1단계에서는 Q 모집단을 구성하기 위한 사전 준비 단계로써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유아교육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사 3인을 대상으로 하는 기초면담을 수행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반 구조화된 면담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2단계에서는 Q 모집단 구성을 위해 전국의 유아 교육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아 교사 130명을 대상으로 1단계에서 개발한 반 구조화된 면담 질문지를 통해 면담을 수행하였다. 면담 결과를 바탕으로 157개의 진술문으로 구성된 Q 표본을 선정하고, 이를 3회에 걸쳐 전문가 집단에게 분류하게 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48개의 진술문이 추출되다. 분류 결과에 대한 신뢰도 분석을 수행하여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3단계에서는 서울 소재 유아 교육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아 교사 41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P 표본을 구성하고, 이들이 Q 분류를 수행할 카드 및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4단계에서는 P 표본을 대상으로 48개 진술문에 대한 Q 분류를 수행하게 하였다. Q 분류의 방식은 11점 척도의 편평한 강제 분류 방식을 선택하였으며, 이에 덧붙여 분류 작업 중 가장 동의하는 진술문과 가장 동의하지 않는 진술문을 분류한 이유에 대한 개방형 질문에 응답하는 추가 면담을 진행하였다. 5단계에서는 Q 분류 응답 결과에 대한 자료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은 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행되었으며, 추가 면담 결과는 연구자가 전사한 후 해당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인분석과 베리맥스 회전을 통한 Q 요인분석 결과 유아 자유놀이에서의 놀이 주도성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은 총 3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3개 유형 별 고유값은 유형 1은 4.27, 유형 2는 4.11, 유형 3은 3.97이었으며, 설명 변량은 유형 1이 8.89%, 유형 2가 8.56%, 유형 3은 8.26%로 총 누적 변량은 25.71%이었다. 이 때 유형 간 상관계수는 모두 유의하지 않아 3개 유형은 서로 관련성이 낮으며 서로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표준점수 ±1.00을 기준으로 동의 경향이 높은 문항과 동의 경향이 낮은 항목을 추출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교사의 인식 유형별 설명은 다음과 같다. 1유형의 교사들은 자유놀이에서의 놀이 주도성에 대한 긍정적 시각을 가지고 있지만, 여전히 교사가 정서적으로 지원하거나 격려를 통한 자신감을 고취 시킬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유아가 놀이를 이끌 수 있도록 어느 정도 교사의 개입이 있어야 하는 ‘준 신뢰형’으로 인식하였다. 2유형의 교사들은 유아들의 자유놀이가 이루어지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나 부정적 시각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나, 온전히 유아들이 주도적으로 자유놀이를 이끌어 나가는 것에 대해서는 의심과 회의적인 생각을 하였으며, 자유놀이의 성패는 유아들의 놀이 주도성 외에도 교사의 개입과 교사 주도적 측면이 관여되는 것으로 자유놀이에서 놀이 주도성에 대한 믿음 정도는 ‘비 신뢰형’으로 교사의 개입이 필요한 유아 주도 놀이로 인식하였다. 3유형의 교사들은 놀이에서 교사들의 개입보다는 유아의 내적 주도성에 의해 자유놀이가 진행될 수 있다고 인식한다. 자유놀이에서 놀이 주도성에 대해 믿음을 가지는 ‘신뢰형’으로 교사의 개입이 없는 유아 주도 놀이로 인식하였다. 이처럼 교사의 인식에 따라 자유놀이에서의 놀이 주도성 발현 정도와 이를 보장하는 교사의 태도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놀이 주도성을 활성화 하는데 일선 교사들에게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주제어: 유아, 놀이, 자유놀이, 놀이 주도성, 놀이 주도성에 대한 교사 인식
본 연구는 자유놀이에서의 유아 놀이 주도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유형을 알아보고 그 유형 별 특성에 대해 탐색해 보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유아 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가진 자유놀이에서의 유아 놀이 주도성에 대한 교사의 주관적 인식을 Q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유형을 분류한 후 각각의 인식 특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절차는 모두 5단계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먼저 1단계에서는 Q 모집단을 구성하기 위한 사전 준비 단계로써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유아교육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사 3인을 대상으로 하는 기초면담을 수행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반 구조화된 면담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2단계에서는 Q 모집단 구성을 위해 전국의 유아 교육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아 교사 130명을 대상으로 1단계에서 개발한 반 구조화된 면담 질문지를 통해 면담을 수행하였다. 면담 결과를 바탕으로 157개의 진술문으로 구성된 Q 표본을 선정하고, 이를 3회에 걸쳐 전문가 집단에게 분류하게 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48개의 진술문이 추출되다. 분류 결과에 대한 신뢰도 분석을 수행하여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3단계에서는 서울 소재 유아 교육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아 교사 41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P 표본을 구성하고, 이들이 Q 분류를 수행할 카드 및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4단계에서는 P 표본을 대상으로 48개 진술문에 대한 Q 분류를 수행하게 하였다. Q 분류의 방식은 11점 척도의 편평한 강제 분류 방식을 선택하였으며, 이에 덧붙여 분류 작업 중 가장 동의하는 진술문과 가장 동의하지 않는 진술문을 분류한 이유에 대한 개방형 질문에 응답하는 추가 면담을 진행하였다. 5단계에서는 Q 분류 응답 결과에 대한 자료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은 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행되었으며, 추가 면담 결과는 연구자가 전사한 후 해당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인분석과 베리맥스 회전을 통한 Q 요인분석 결과 유아 자유놀이에서의 놀이 주도성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은 총 3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3개 유형 별 고유값은 유형 1은 4.27, 유형 2는 4.11, 유형 3은 3.97이었으며, 설명 변량은 유형 1이 8.89%, 유형 2가 8.56%, 유형 3은 8.26%로 총 누적 변량은 25.71%이었다. 이 때 유형 간 상관계수는 모두 유의하지 않아 3개 유형은 서로 관련성이 낮으며 서로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표준점수 ±1.00을 기준으로 동의 경향이 높은 문항과 동의 경향이 낮은 항목을 추출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교사의 인식 유형별 설명은 다음과 같다. 1유형의 교사들은 자유놀이에서의 놀이 주도성에 대한 긍정적 시각을 가지고 있지만, 여전히 교사가 정서적으로 지원하거나 격려를 통한 자신감을 고취 시킬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유아가 놀이를 이끌 수 있도록 어느 정도 교사의 개입이 있어야 하는 ‘준 신뢰형’으로 인식하였다. 2유형의 교사들은 유아들의 자유놀이가 이루어지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나 부정적 시각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나, 온전히 유아들이 주도적으로 자유놀이를 이끌어 나가는 것에 대해서는 의심과 회의적인 생각을 하였으며, 자유놀이의 성패는 유아들의 놀이 주도성 외에도 교사의 개입과 교사 주도적 측면이 관여되는 것으로 자유놀이에서 놀이 주도성에 대한 믿음 정도는 ‘비 신뢰형’으로 교사의 개입이 필요한 유아 주도 놀이로 인식하였다. 3유형의 교사들은 놀이에서 교사들의 개입보다는 유아의 내적 주도성에 의해 자유놀이가 진행될 수 있다고 인식한다. 자유놀이에서 놀이 주도성에 대해 믿음을 가지는 ‘신뢰형’으로 교사의 개입이 없는 유아 주도 놀이로 인식하였다. 이처럼 교사의 인식에 따라 자유놀이에서의 놀이 주도성 발현 정도와 이를 보장하는 교사의 태도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놀이 주도성을 활성화 하는데 일선 교사들에게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 types of teachers' perception of infant play initiative in free play and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o this end,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leadership of infant play in free play by infant teachers was analyzed by applyi...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 types of teachers' perception of infant play initiative in free play and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o this end,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leadership of infant play in free play by infant teachers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Q methodology, and based on the results, the types were classified and the recognition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The research procedures in this study were all conducted through a five-step process. First, as a preliminary preparatory step to form the Q population in phase 1, prior research was considered and basic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teachers working at the si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In phase 2, a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naire developed in stage 1 was conducted for 130 infant teachers working at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nationwide to form a Q popul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a Q sample consisting of 157 statements was selected and classified into a group of experts three times. As a result, 48 statements are finally extracted. Reliability analysis of classification results is performed to ensure validity. In the third stage, 41 infant teachers working at Seoul-based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were selected to form P samples, and they produced cards and questionnaires to perform Q classification. Step 4 required the classification of 48 statements on P samples. The method of Q classification selected a flat forced classification method on an 11-point scale, in addition to conducting additional interviews answering open questions about why the most agreed statements and the least agreed statements were classified during the classification task. Step 5 performed a data analysis of the Q classification response results.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R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e additional interview were qualitatively analyzed after the researchers transcribed.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Q factor analysis through principal factor analysis and VaryMax rotation resulted in a total of three types of infant teachers' perception of play initiative in infant free play. The eigenvalues for each of the three types were 4.27 for Type 1, 4.11 for Type 2, and 3.97 for Type 3. The total cumulative variation was 25.71%, with explained variance of Type 1 being 8.89%, Type 2 being 8.56% and Type 3 being 8.26%. At this time,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ypes were all not significant, so the three types were less relevant to each other and had distinct characteristics. Second, on the basis of the standard score ±1.00 the following statements and items with a low tendency to agree are extracted and based on their contents, the teacher's description of the type of recognition is as follows. Type 1 teachers have a positive view of play initiative in free play, but they still felt that teachers should be able to emotionally support or inspire confidence through encouragement. Therefore, it was recognized as a "quasi-reliable type" where there should be some teacher intervention so that infants can lead the play. Type 2 teachers did not have a negative or rejection of the children's free play, but they were entirely suspicious and skeptical about the children's initiative. In addition to children's play initiative, the success or failure of free play is related to teacher intervention and teacher-led aspects, and the degree of belief in play initiative in free play is "non-trustworthy." Type 3 teachers were perceived as "trustworthy" that believed free play could be carried out by the inner initiative of infants rather than the intervention of teachers in play, and that they believed in the initiative of play in free play. According to the study, the degree of play-driven expression in free play and the attitude of teachers to guarantee it can be seen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teacher's percep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basic data can be provided to frontline teachers to promote play initiative in the future.
Key words: Preschoolers, Play, Free play, Initiative for play, Teacher perception of initiative for pla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 types of teachers' perception of infant play initiative in free play and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o this end,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leadership of infant play in free play by infant teachers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Q methodology, and based on the results, the types were classified and the recognition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The research procedures in this study were all conducted through a five-step process. First, as a preliminary preparatory step to form the Q population in phase 1, prior research was considered and basic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teachers working at the si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In phase 2, a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naire developed in stage 1 was conducted for 130 infant teachers working at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nationwide to form a Q popul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a Q sample consisting of 157 statements was selected and classified into a group of experts three times. As a result, 48 statements are finally extracted. Reliability analysis of classification results is performed to ensure validity. In the third stage, 41 infant teachers working at Seoul-based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were selected to form P samples, and they produced cards and questionnaires to perform Q classification. Step 4 required the classification of 48 statements on P samples. The method of Q classification selected a flat forced classification method on an 11-point scale, in addition to conducting additional interviews answering open questions about why the most agreed statements and the least agreed statements were classified during the classification task. Step 5 performed a data analysis of the Q classification response results.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R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e additional interview were qualitatively analyzed after the researchers transcribed.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Q factor analysis through principal factor analysis and VaryMax rotation resulted in a total of three types of infant teachers' perception of play initiative in infant free play. The eigenvalues for each of the three types were 4.27 for Type 1, 4.11 for Type 2, and 3.97 for Type 3. The total cumulative variation was 25.71%, with explained variance of Type 1 being 8.89%, Type 2 being 8.56% and Type 3 being 8.26%. At this time,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ypes were all not significant, so the three types were less relevant to each other and had distinct characteristics. Second, on the basis of the standard score ±1.00 the following statements and items with a low tendency to agree are extracted and based on their contents, the teacher's description of the type of recognition is as follows. Type 1 teachers have a positive view of play initiative in free play, but they still felt that teachers should be able to emotionally support or inspire confidence through encouragement. Therefore, it was recognized as a "quasi-reliable type" where there should be some teacher intervention so that infants can lead the play. Type 2 teachers did not have a negative or rejection of the children's free play, but they were entirely suspicious and skeptical about the children's initiative. In addition to children's play initiative, the success or failure of free play is related to teacher intervention and teacher-led aspects, and the degree of belief in play initiative in free play is "non-trustworthy." Type 3 teachers were perceived as "trustworthy" that believed free play could be carried out by the inner initiative of infants rather than the intervention of teachers in play, and that they believed in the initiative of play in free play. According to the study, the degree of play-driven expression in free play and the attitude of teachers to guarantee it can be seen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teacher's percep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basic data can be provided to frontline teachers to promote play initiative in the future.
Key words: Preschoolers, Play, Free play, Initiative for play, Teacher perception of initiative for pla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