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중국 애니메이션 작품과 시대문화정신 연구 : <나타요해>와 <나타지마동강세>를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Animation and Chinese cultural spirit : From Nezha Nao Hai to Nezha : The Devil Child Comes into the World원문보기
인문 예술의 창작은 종종 회귀성의 특징을 나타낸다. 항상 끊임없이 고전적인 회귀로 발전하는 새로운 기틀을 마련하여, 전체적으로 서술하지 않는 형태를 띤다. 예술 창작의 이런 특질은 보편적인 지도의 의미를 지닌 창작 방법과 창작 법칙을 어느 정도 구현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관심을 갖고 연구할 가치가 있다. 나타는 매우 전형적인 연구 사례이다. 나타는 불교의 종교와 신화적 시스템에서 발원한다. 이와 동시에 불교의 중국화 과정에서도 중국 본토의 종교로도 받아들여졌다. 이 이미지는 대체로 당(唐), 송(宋) 시기에 형성되었으며, 원대(元代), 명대(明代) 이후 중국 민간예술이 형성되면서 많은 화본소설, 희곡소설을 창작하는 데 가장 사랑을 받는 캐릭터가 되었다. 명대 중국에는 특이한 예술적 재제형식인 화본소설이 형성됐다. 명대 중후반 허중림(许仲琳)이 쓴 소설 <봉신연의(封神演义)> <봉신연의(封神演义)>는 허중림의 중국 명나라 장편소설로, 전서가 모두 100회이다. 저자가 민간 전설을 융합하여 엮은 장편 신마소설(神魔小說)이다. (이하<봉신>)는 나타를 생동감 있게 묘사하였으며 중국 현 세대의 예술 창작에 사용된 나타 이미지의 근원이 되었다. 그동안 나타의 다양한 이미지를 종합적으로 해석한 것이다. 이 작품은 중국 명대의 삼교합류(三敎合流) 삼교합류(三敎合流)는 삼교는 곧 유교, 불교, 도교를 가리킨다. 삼교합류의 대의는 송명 이후 유교·불교·도교의 세 가지 사상이 서로 영향을 미쳐, 융회하여 통달한다는 것을 가리킨다. 라는 사상적 배경에서 나온 것으로, 중국 전통 천명(天命)관념 천명(天命)관념는 원시사회에서 비롯됐다. 당시 사람들은 자연계에 대해서 인식이 부족해 자연계를 지배하고 인간을 지배하는 초인적인 힘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 초인적인 힘은 하늘이고, 하늘은 지고무상(至高無上)한 신이다. 의 철학적 사상이 나타에 강하게 투영돼 있다. 이 같은 반응은 유기적인 전체적 우주관, 역사 안에서 발생하는 행운의 주기설, 유가(儒家)에 뿌리를 둔 유명한 윤리관념 등 세 가지에 집약되어 있다. 1979년 상하이미술영화제작소(上海美術電影制片廠) 상하이미술영화제작소(上海美術電影制片廠)는 1957년 4월에 설립되었다. 중국에서 가장 ...
인문 예술의 창작은 종종 회귀성의 특징을 나타낸다. 항상 끊임없이 고전적인 회귀로 발전하는 새로운 기틀을 마련하여, 전체적으로 서술하지 않는 형태를 띤다. 예술 창작의 이런 특질은 보편적인 지도의 의미를 지닌 창작 방법과 창작 법칙을 어느 정도 구현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관심을 갖고 연구할 가치가 있다. 나타는 매우 전형적인 연구 사례이다. 나타는 불교의 종교와 신화적 시스템에서 발원한다. 이와 동시에 불교의 중국화 과정에서도 중국 본토의 종교로도 받아들여졌다. 이 이미지는 대체로 당(唐), 송(宋) 시기에 형성되었으며, 원대(元代), 명대(明代) 이후 중국 민간예술이 형성되면서 많은 화본소설, 희곡소설을 창작하는 데 가장 사랑을 받는 캐릭터가 되었다. 명대 중국에는 특이한 예술적 재제형식인 화본소설이 형성됐다. 명대 중후반 허중림(许仲琳)이 쓴 소설 <봉신연의(封神演义)> <봉신연의(封神演义)>는 허중림의 중국 명나라 장편소설로, 전서가 모두 100회이다. 저자가 민간 전설을 융합하여 엮은 장편 신마소설(神魔小說)이다. (이하<봉신>)는 나타를 생동감 있게 묘사하였으며 중국 현 세대의 예술 창작에 사용된 나타 이미지의 근원이 되었다. 그동안 나타의 다양한 이미지를 종합적으로 해석한 것이다. 이 작품은 중국 명대의 삼교합류(三敎合流) 삼교합류(三敎合流)는 삼교는 곧 유교, 불교, 도교를 가리킨다. 삼교합류의 대의는 송명 이후 유교·불교·도교의 세 가지 사상이 서로 영향을 미쳐, 융회하여 통달한다는 것을 가리킨다. 라는 사상적 배경에서 나온 것으로, 중국 전통 천명(天命)관념 천명(天命)관념는 원시사회에서 비롯됐다. 당시 사람들은 자연계에 대해서 인식이 부족해 자연계를 지배하고 인간을 지배하는 초인적인 힘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 초인적인 힘은 하늘이고, 하늘은 지고무상(至高無上)한 신이다. 의 철학적 사상이 나타에 강하게 투영돼 있다. 이 같은 반응은 유기적인 전체적 우주관, 역사 안에서 발생하는 행운의 주기설, 유가(儒家)에 뿌리를 둔 유명한 윤리관념 등 세 가지에 집약되어 있다. 1979년 상하이미술영화제작소(上海美術電影制片廠) 상하이미술영화제작소(上海美術電影制片廠)는 1957년 4월에 설립되었다. 중국에서 가장 지적재산권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미술영화제작소이다. 가 제작한 애니메이션 영화 <나타요해(哪吒闹海)> <나타요해(哪吒闹海)>는 상해미술영화제작소에서 제작한 애니메이션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대형 컬러 와이드 스크린 애니메이션이다. 1979년 5월 19일 중국에서 개봉하였으며, 주로 진당관(陳堂關)이정(李靖)의 아들 나타와 동해 용궁(龍宮) 사이의 원한을 다룬다. (이하<요해>)는 나타의 이미지에 대한 또 하나의 고전적 해석이다. 이 경전의 창작적인 해석은 영화 나타를 대중적 캐릭터로 각인시키며 중국 현 세대 나타를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 제작의 효시로 자리매김했다. 이 작품은 형식적으로 중국 전통 문화적 요소를 많이 활용했으나 내용적으로는 나타를 노동자 인민이 군권(君權)과 부권(父權)에 대항하는 중국 근대 100여 년의 민족혁명 역사와 1960~70년대 정치적 리더십의 이데올로기 영향으로 혁명영웅으로 형상화했다. 중국 근대의 혁명은 외래의 생존 위기 압력 속에서 전통사회를 벗어나 현대화로 나아가는 것이다. 이 때문에 전통적인 봉건사회의 가장 두드러진 황제와 군권, 그리고 부수적인 봉건적 부권(父權)에 대한 투쟁을 강령으로 하는 문화대혁명으로 폭발했으며 <요해>가 추구하는 지도사상이 되기도 한다. 2019년 중국 감독 쟈오즈가 감독한 애니메이션 영화 <나타지마동강세(哪吒之魔童降世)> <나타지마동강세(哪吒之魔童降世)>는 호르고스컬러룸영화 유한회사가 제작한 애니메이션으로 쟈오즈가 연출, 각본을 맡았다, 2019년 7월 26일 중국에서 개봉. 나타의 성장 스토리를 담고 있다. (이하 <마동>)는 나타의 이미지에 대한 세 번째 고전 해석이 되며, 또한 중국 애니메이션 역사의 또 다른 이정표를 세웠다. 천명(天命)관념이라는 시각의 추상적 인성론 구조를 해석하며, 나타의 기호화된 특징을 분석하고 나타를 살아 숨쉬는 풍성한 생명으로 환원시켜 자신의 생존 상황에서 개성을 되찾을 수 있는 주체적 가치를 부여한다. <요해>의 혁명적 서사를 생존의 가치와 의미를 배려한 휴머니즘 서사로 바꾼다. 이들 세작품의 나타 이미지에 대한 묘사는 그들이 속한 시대의 정신적 함의를 잘 반영하고, 시대에 대한 응답으로 자신의 정신적 생명을 획득한다. 나타는 예술창작, 특히 애니메이션의 발전에 내재된 변증논리를 보여주는 사례인데, 이런 논리는 본제(긍정)-반제(부정)-합제(부정의 부정) 로 표현된다. 이것은 나타에게 나타난다. <봉신>은 전통이고, <요해>는 반전통이며, <마동>은 전통과의 화해에 더해 전통을 뛰어넘는 것이다. 이는 인문예술에 대하여 보편적 경험적 지도를 해주는 특징을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다.
인문 예술의 창작은 종종 회귀성의 특징을 나타낸다. 항상 끊임없이 고전적인 회귀로 발전하는 새로운 기틀을 마련하여, 전체적으로 서술하지 않는 형태를 띤다. 예술 창작의 이런 특질은 보편적인 지도의 의미를 지닌 창작 방법과 창작 법칙을 어느 정도 구현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관심을 갖고 연구할 가치가 있다. 나타는 매우 전형적인 연구 사례이다. 나타는 불교의 종교와 신화적 시스템에서 발원한다. 이와 동시에 불교의 중국화 과정에서도 중국 본토의 종교로도 받아들여졌다. 이 이미지는 대체로 당(唐), 송(宋) 시기에 형성되었으며, 원대(元代), 명대(明代) 이후 중국 민간예술이 형성되면서 많은 화본소설, 희곡소설을 창작하는 데 가장 사랑을 받는 캐릭터가 되었다. 명대 중국에는 특이한 예술적 재제형식인 화본소설이 형성됐다. 명대 중후반 허중림(许仲琳)이 쓴 소설 <봉신연의(封神演义)> <봉신연의(封神演义)>는 허중림의 중국 명나라 장편소설로, 전서가 모두 100회이다. 저자가 민간 전설을 융합하여 엮은 장편 신마소설(神魔小說)이다. (이하<봉신>)는 나타를 생동감 있게 묘사하였으며 중국 현 세대의 예술 창작에 사용된 나타 이미지의 근원이 되었다. 그동안 나타의 다양한 이미지를 종합적으로 해석한 것이다. 이 작품은 중국 명대의 삼교합류(三敎合流) 삼교합류(三敎合流)는 삼교는 곧 유교, 불교, 도교를 가리킨다. 삼교합류의 대의는 송명 이후 유교·불교·도교의 세 가지 사상이 서로 영향을 미쳐, 융회하여 통달한다는 것을 가리킨다. 라는 사상적 배경에서 나온 것으로, 중국 전통 천명(天命)관념 천명(天命)관념는 원시사회에서 비롯됐다. 당시 사람들은 자연계에 대해서 인식이 부족해 자연계를 지배하고 인간을 지배하는 초인적인 힘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 초인적인 힘은 하늘이고, 하늘은 지고무상(至高無上)한 신이다. 의 철학적 사상이 나타에 강하게 투영돼 있다. 이 같은 반응은 유기적인 전체적 우주관, 역사 안에서 발생하는 행운의 주기설, 유가(儒家)에 뿌리를 둔 유명한 윤리관념 등 세 가지에 집약되어 있다. 1979년 상하이미술영화제작소(上海美術電影制片廠) 상하이미술영화제작소(上海美術電影制片廠)는 1957년 4월에 설립되었다. 중국에서 가장 지적재산권을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미술영화제작소이다. 가 제작한 애니메이션 영화 <나타요해(哪吒闹海)> <나타요해(哪吒闹海)>는 상해미술영화제작소에서 제작한 애니메이션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대형 컬러 와이드 스크린 애니메이션이다. 1979년 5월 19일 중국에서 개봉하였으며, 주로 진당관(陳堂關)이정(李靖)의 아들 나타와 동해 용궁(龍宮) 사이의 원한을 다룬다. (이하<요해>)는 나타의 이미지에 대한 또 하나의 고전적 해석이다. 이 경전의 창작적인 해석은 영화 나타를 대중적 캐릭터로 각인시키며 중국 현 세대 나타를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 제작의 효시로 자리매김했다. 이 작품은 형식적으로 중국 전통 문화적 요소를 많이 활용했으나 내용적으로는 나타를 노동자 인민이 군권(君權)과 부권(父權)에 대항하는 중국 근대 100여 년의 민족혁명 역사와 1960~70년대 정치적 리더십의 이데올로기 영향으로 혁명영웅으로 형상화했다. 중국 근대의 혁명은 외래의 생존 위기 압력 속에서 전통사회를 벗어나 현대화로 나아가는 것이다. 이 때문에 전통적인 봉건사회의 가장 두드러진 황제와 군권, 그리고 부수적인 봉건적 부권(父權)에 대한 투쟁을 강령으로 하는 문화대혁명으로 폭발했으며 <요해>가 추구하는 지도사상이 되기도 한다. 2019년 중국 감독 쟈오즈가 감독한 애니메이션 영화 <나타지마동강세(哪吒之魔童降世)> <나타지마동강세(哪吒之魔童降世)>는 호르고스컬러룸영화 유한회사가 제작한 애니메이션으로 쟈오즈가 연출, 각본을 맡았다, 2019년 7월 26일 중국에서 개봉. 나타의 성장 스토리를 담고 있다. (이하 <마동>)는 나타의 이미지에 대한 세 번째 고전 해석이 되며, 또한 중국 애니메이션 역사의 또 다른 이정표를 세웠다. 천명(天命)관념이라는 시각의 추상적 인성론 구조를 해석하며, 나타의 기호화된 특징을 분석하고 나타를 살아 숨쉬는 풍성한 생명으로 환원시켜 자신의 생존 상황에서 개성을 되찾을 수 있는 주체적 가치를 부여한다. <요해>의 혁명적 서사를 생존의 가치와 의미를 배려한 휴머니즘 서사로 바꾼다. 이들 세작품의 나타 이미지에 대한 묘사는 그들이 속한 시대의 정신적 함의를 잘 반영하고, 시대에 대한 응답으로 자신의 정신적 생명을 획득한다. 나타는 예술창작, 특히 애니메이션의 발전에 내재된 변증논리를 보여주는 사례인데, 이런 논리는 본제(긍정)-반제(부정)-합제(부정의 부정) 로 표현된다. 이것은 나타에게 나타난다. <봉신>은 전통이고, <요해>는 반전통이며, <마동>은 전통과의 화해에 더해 전통을 뛰어넘는 것이다. 이는 인문예술에 대하여 보편적 경험적 지도를 해주는 특징을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다.
The creation of humanities and art often presents a retrospective feature, always a new opportunity for development in the constant return to the classics, presenting a form of "telling without writing" as a whole. This characteristic of artistic creation, to a certain extent, embodies the creation ...
The creation of humanities and art often presents a retrospective feature, always a new opportunity for development in the constant return to the classics, presenting a form of "telling without writing" as a whole. This characteristic of artistic creation, to a certain extent, embodies the creation methods and creation rules with universal guiding significance. It deserves our attention and research. Nezha is a very typical research case. The image of Nezha originated from the religious and mythological system of Buddhism. At the same time, in the process of the sinicization of Buddhism, it was also accepted by the Chinese native religious roads. This image was roughly formed during the Tang and Song dynasties, and became the darling of many scripts, operas, and novels in the rise of Chinese folk art in the Yuan, Ming and later. In the Ming Dynasty, China formed a special kind of artistic story-telling novels. The novel The Legend of Deification(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Legend ) created by Xu Zhonglin in the middle and late Qing Dynasty described Nezha heavily, which became the source of the image of Nezha used in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art creation. This is a comprehensive retrospective and interpretation of the previous images of Nezha. This work was created under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confluence of three religions" in the Ming Dynasty in China. The image of NeZha it created deeply reflects the philosophical thinking of the traditional Chinese Tian Dao. This reaction is concentrated in three points: the organic whole cosmology, the historical catastrophe cycle theory, and the Confucian ethics concept. In 2019, the animated film Nezha: The Devil Child Comes into the World(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evil Child ) directed by the Chinese director Jiaozi turned out to be the third classic interpretation of Nezha’s image. It also created another milestone in the history of Chinese animation film. It deconstructs the abstract theory of human n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ian Dao", deconstructs the symbolic characteristics of Nezha, restores Nezha to a full life with flesh and blood, and gives him the subjective value of reshaping his own personality in his own living circumstances. It turns the revolutionary narrative of Nao Hai into a humanistic narrative that cares about the value and meaning of survival. The cre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image of Nezha by these three works not only deeply reflects the spiritual connotation of the times they belong to, but also gains their own spiritual life in response to the times. The case of Nezha fully demonstrates the dialectical logic inherent in the development of artistic creation,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animation film and television creation, the main expression of this logic is "the topic (positive)-the opposite (negative)-the combined topic (negative of the negative)". This is reflected in Ne Zha that The Legend is a tradition, Nao Hai is anti-tradition, and The Devil Child transcends tradition on the basis of reconciling with tradition. To a certain extent, this reflects the universal guiding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humanities and arts.
The creation of humanities and art often presents a retrospective feature, always a new opportunity for development in the constant return to the classics, presenting a form of "telling without writing" as a whole. This characteristic of artistic creation, to a certain extent, embodies the creation methods and creation rules with universal guiding significance. It deserves our attention and research. Nezha is a very typical research case. The image of Nezha originated from the religious and mythological system of Buddhism. At the same time, in the process of the sinicization of Buddhism, it was also accepted by the Chinese native religious roads. This image was roughly formed during the Tang and Song dynasties, and became the darling of many scripts, operas, and novels in the rise of Chinese folk art in the Yuan, Ming and later. In the Ming Dynasty, China formed a special kind of artistic story-telling novels. The novel The Legend of Deification(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Legend ) created by Xu Zhonglin in the middle and late Qing Dynasty described Nezha heavily, which became the source of the image of Nezha used in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art creation. This is a comprehensive retrospective and interpretation of the previous images of Nezha. This work was created under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confluence of three religions" in the Ming Dynasty in China. The image of NeZha it created deeply reflects the philosophical thinking of the traditional Chinese Tian Dao. This reaction is concentrated in three points: the organic whole cosmology, the historical catastrophe cycle theory, and the Confucian ethics concept. In 2019, the animated film Nezha: The Devil Child Comes into the World(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evil Child ) directed by the Chinese director Jiaozi turned out to be the third classic interpretation of Nezha’s image. It also created another milestone in the history of Chinese animation film. It deconstructs the abstract theory of human n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ian Dao", deconstructs the symbolic characteristics of Nezha, restores Nezha to a full life with flesh and blood, and gives him the subjective value of reshaping his own personality in his own living circumstances. It turns the revolutionary narrative of Nao Hai into a humanistic narrative that cares about the value and meaning of survival. The cre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image of Nezha by these three works not only deeply reflects the spiritual connotation of the times they belong to, but also gains their own spiritual life in response to the times. The case of Nezha fully demonstrates the dialectical logic inherent in the development of artistic creation,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animation film and television creation, the main expression of this logic is "the topic (positive)-the opposite (negative)-the combined topic (negative of the negative)". This is reflected in Ne Zha that The Legend is a tradition, Nao Hai is anti-tradition, and The Devil Child transcends tradition on the basis of reconciling with tradition. To a certain extent, this reflects the universal guiding experience characteristics of humanities and art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