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차문화는 오랜 역사를 거쳐 우리 민족 문화 전반에 영향을 미쳤고 전통문화 속에 민족적 정서를 형성하는 요소였다. 세계적으로 웰빙 열풍과 더불어 차의 약리적 효과가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차생활이 활성화되었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차와 함께 곁들이는 다식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한국의 전통 다식은 전통차와 함께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 서양의 홍차 문화가 유입되고 다양한 차문화의 확산으로 서양식 디저트 형식의 티푸드가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고 ...
한국의 차문화는 오랜 역사를 거쳐 우리 민족 문화 전반에 영향을 미쳤고 전통문화 속에 민족적 정서를 형성하는 요소였다. 세계적으로 웰빙 열풍과 더불어 차의 약리적 효과가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차생활이 활성화되었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차와 함께 곁들이는 다식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한국의 전통 다식은 전통차와 함께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 서양의 홍차 문화가 유입되고 다양한 차문화의 확산으로 서양식 디저트 형식의 티푸드가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고 프랜차이즈 카페에서 새로운 재료로 만든 신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맞춰 전통 다식을 발전시킬 방법을 고찰하고 한국의 전통 다식에 관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전통 문양의 활용에서 나아가 현대적인 문양 개발을 시도하였다. 현대 문양을 개발하기 위해 고조리서(古調理書)에 나타난 전통 다식부터 살펴보았다. 문헌에 나타난 제조방법은 시대별로 제조 방법의 차이가 있었으며 다식의 종류도 점차 다양해져 갔다. 다식은 다식판에 재료를 넣고 찍어내어 만드는 음식으로 우리 민족의 오랜 전통이 담겨 있다. 18세기가 되자 다식의 재료가 다양해지면서 여러 색상의 다식이 만들어졌다. 차와 함께 먹는 다식은 우리 고유의 음식으로 차 마시는 풍습과 함께 제례와 혼례 등의 통과의례와 다과상, 진다례, 다정 모임, 연회 등에 필수적으로 오르는 음식이며 국가적인 행사에도 사용되었다. 차문화에서 다식의 역할은 기존의 다식 개념뿐만 아니며 차와 어울리는 재료로 전통을 주제로 하여 미각적인 측면과 시각적인 측면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다.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통 다식의 의미를 알아보고 우리 선조들이 주변 사물을 통해 지향했던 의미를 문양별로 제시하였다. 문양을 바탕으로 다식판의 종류와 제작과정을 살펴보았고, 다식판 바닥에도 문양을 새겨 넣어 조형미를 살렸는데 이러한 다식판에 담긴 기원을 통해 양반계층과 서민계층의 기원의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옛것을 본받아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정신으로 옛것을 이어가지만, 그것을 변화시킬 수 있고 새로운 것을 만들되 근본은 잃지 않는 것은 우리가 추구하는 전통에 대한 방향성이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인의 생활과 밀접하고, 사용도 편리하며, 미적인 감각과 장식성을 담아내는 새로운 문양을 제작하였다. 또한, 그러한 문양이 가진 상징과 그 의미를 부여하였는데, 이러한 점은 연구자가 제시하는 궁극적인 연구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건강에 관심이 많은 현대인들에게 적합한 다식 재료로 귀리를 제안하였다. 귀리는 식이섬유가 많아 건강기능식품으로 등록되었다. 건강 재료인 귀리 다식은 기능성이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다식의 앞면과 뒷면을 각각 전통 문양과 현대 문양으로 찍어내어 전통과 현대를 공유하는 새로운 제조방법을 제시하였다. 다식을 교육으로 연계하는 학습 프로그램과 다식 문양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활용하고 공유하여 누구나 다식을 만들 수 있도록 제작 방법 등을 자세히 제시하였다. 따라서 다식의 대중화를 위해 일반인들이 다식을 직접 제조할 수 있도록 교육하며 이를 활용하기 위해 건강한 다식 재료를 제안하고 현대 다식의 문양 개발을 연구하였다.
한국의 차문화는 오랜 역사를 거쳐 우리 민족 문화 전반에 영향을 미쳤고 전통문화 속에 민족적 정서를 형성하는 요소였다. 세계적으로 웰빙 열풍과 더불어 차의 약리적 효과가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차생활이 활성화되었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차와 함께 곁들이는 다식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한국의 전통 다식은 전통차와 함께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 서양의 홍차 문화가 유입되고 다양한 차문화의 확산으로 서양식 디저트 형식의 티푸드가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고 프랜차이즈 카페에서 새로운 재료로 만든 신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맞춰 전통 다식을 발전시킬 방법을 고찰하고 한국의 전통 다식에 관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전통 문양의 활용에서 나아가 현대적인 문양 개발을 시도하였다. 현대 문양을 개발하기 위해 고조리서(古調理書)에 나타난 전통 다식부터 살펴보았다. 문헌에 나타난 제조방법은 시대별로 제조 방법의 차이가 있었으며 다식의 종류도 점차 다양해져 갔다. 다식은 다식판에 재료를 넣고 찍어내어 만드는 음식으로 우리 민족의 오랜 전통이 담겨 있다. 18세기가 되자 다식의 재료가 다양해지면서 여러 색상의 다식이 만들어졌다. 차와 함께 먹는 다식은 우리 고유의 음식으로 차 마시는 풍습과 함께 제례와 혼례 등의 통과의례와 다과상, 진다례, 다정 모임, 연회 등에 필수적으로 오르는 음식이며 국가적인 행사에도 사용되었다. 차문화에서 다식의 역할은 기존의 다식 개념뿐만 아니며 차와 어울리는 재료로 전통을 주제로 하여 미각적인 측면과 시각적인 측면을 충분히 표현할 수 있다.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통 다식의 의미를 알아보고 우리 선조들이 주변 사물을 통해 지향했던 의미를 문양별로 제시하였다. 문양을 바탕으로 다식판의 종류와 제작과정을 살펴보았고, 다식판 바닥에도 문양을 새겨 넣어 조형미를 살렸는데 이러한 다식판에 담긴 기원을 통해 양반계층과 서민계층의 기원의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옛것을 본받아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정신으로 옛것을 이어가지만, 그것을 변화시킬 수 있고 새로운 것을 만들되 근본은 잃지 않는 것은 우리가 추구하는 전통에 대한 방향성이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인의 생활과 밀접하고, 사용도 편리하며, 미적인 감각과 장식성을 담아내는 새로운 문양을 제작하였다. 또한, 그러한 문양이 가진 상징과 그 의미를 부여하였는데, 이러한 점은 연구자가 제시하는 궁극적인 연구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건강에 관심이 많은 현대인들에게 적합한 다식 재료로 귀리를 제안하였다. 귀리는 식이섬유가 많아 건강기능식품으로 등록되었다. 건강 재료인 귀리 다식은 기능성이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다식의 앞면과 뒷면을 각각 전통 문양과 현대 문양으로 찍어내어 전통과 현대를 공유하는 새로운 제조방법을 제시하였다. 다식을 교육으로 연계하는 학습 프로그램과 다식 문양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활용하고 공유하여 누구나 다식을 만들 수 있도록 제작 방법 등을 자세히 제시하였다. 따라서 다식의 대중화를 위해 일반인들이 다식을 직접 제조할 수 있도록 교육하며 이를 활용하기 위해 건강한 다식 재료를 제안하고 현대 다식의 문양 개발을 연구하였다.
Korean tea culture has had a huge influence on our national cultures and been a factor to create a national emotion. As a pharmaceutical effect of tea had been well known to the world with the well-being trend, tea life has been popular. Dasik with tea is now more interested. Korean traditional ...
Korean tea culture has had a huge influence on our national cultures and been a factor to create a national emotion. As a pharmaceutical effect of tea had been well known to the world with the well-being trend, tea life has been popular. Dasik with tea is now more interested. Korean traditional Dasik has been used with traditional teas. But now black tea from foreign countries is popular and the change in various tea cultures makes tea foods such as foreign desserts made of new ingredients famous and franchise cafes introduce something new. With the change in the period this paper explained how to develop traditional Dasik. This paper tried to develop modern patterns regardless of use of traditional patterns. This paper investigated traditional Dasik on Gojoriseo(古調理書) in order to develop modern patterns. Production methods on many books were different from the periods and the kinds of Dasik were various. Dasik means how to put ingredients into Dasik boards and print them on Dasik frames and symbolizes our tradition. With the 18th century entering, the ingredients of Dasik had been diverse and various colors of Dasik were seen. Dasik with tea has been our tradition and been essential to rituals, weddings, snacks, Jindarye, Dajeong Meeting and even festivals and used for national ceremonies. The role of traditional Dasik in tea culture is not only just a tea food, but it is a material that goes well with tea and can fully express both the taste and the visual aspect with the theme of tradition.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this paper investigated the meaning of traditional Dasik and the expectations of our ancestors' lives and gave the meanings of each pattern through neighboring things. This paper also explained the kinds and productions processes of Dasik boards producing Dasik through the patterns. The bottom of Dasik boards have patterns in order to emphasize a sense of sculpture according to most Korean traditional ceremonies. It is the fact that the origins of the aristocratic clas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ordinary one. With Beopgochangsin(法古創新), a saying which means that respecting old helps creating new, people transform something old, while introduce something new, though does not lose origins. Based on this, a new pattern was produced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life of modern people, is convenient to use, and contains aesthetic sense and decorativeness. In addition, the symbols of such patterns and their meanings were given, which can be said to be the ultimate research direction presented by the researcher. In particular, oats were suggested as a suitable ingredient for pressed sweet for modern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health. Oats are registered as health functional foods because they have a lot of dietary fiber. I believe that oatmeal, a healthy ingredient, is enough as a functional pressed sweet. And by making the front and back sides of pressed sweet frame with traditional and modern patterns, respectively, a new manufacturing method was presented to share tradition and modernity. This paper gave details including production methods in order for everyone to use Dasik patterns through educational programs and social media. This paper also suggested healthy ingredients and investigated development of patterns for modern Dasik in order for everyone to learn and use how to cook Dasik for popularization of Dasik.
Korean tea culture has had a huge influence on our national cultures and been a factor to create a national emotion. As a pharmaceutical effect of tea had been well known to the world with the well-being trend, tea life has been popular. Dasik with tea is now more interested. Korean traditional Dasik has been used with traditional teas. But now black tea from foreign countries is popular and the change in various tea cultures makes tea foods such as foreign desserts made of new ingredients famous and franchise cafes introduce something new. With the change in the period this paper explained how to develop traditional Dasik. This paper tried to develop modern patterns regardless of use of traditional patterns. This paper investigated traditional Dasik on Gojoriseo(古調理書) in order to develop modern patterns. Production methods on many books were different from the periods and the kinds of Dasik were various. Dasik means how to put ingredients into Dasik boards and print them on Dasik frames and symbolizes our tradition. With the 18th century entering, the ingredients of Dasik had been diverse and various colors of Dasik were seen. Dasik with tea has been our tradition and been essential to rituals, weddings, snacks, Jindarye, Dajeong Meeting and even festivals and used for national ceremonies. The role of traditional Dasik in tea culture is not only just a tea food, but it is a material that goes well with tea and can fully express both the taste and the visual aspect with the theme of tradition.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this paper investigated the meaning of traditional Dasik and the expectations of our ancestors' lives and gave the meanings of each pattern through neighboring things. This paper also explained the kinds and productions processes of Dasik boards producing Dasik through the patterns. The bottom of Dasik boards have patterns in order to emphasize a sense of sculpture according to most Korean traditional ceremonies. It is the fact that the origins of the aristocratic clas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ordinary one. With Beopgochangsin(法古創新), a saying which means that respecting old helps creating new, people transform something old, while introduce something new, though does not lose origins. Based on this, a new pattern was produced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life of modern people, is convenient to use, and contains aesthetic sense and decorativeness. In addition, the symbols of such patterns and their meanings were given, which can be said to be the ultimate research direction presented by the researcher. In particular, oats were suggested as a suitable ingredient for pressed sweet for modern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health. Oats are registered as health functional foods because they have a lot of dietary fiber. I believe that oatmeal, a healthy ingredient, is enough as a functional pressed sweet. And by making the front and back sides of pressed sweet frame with traditional and modern patterns, respectively, a new manufacturing method was presented to share tradition and modernity. This paper gave details including production methods in order for everyone to use Dasik patterns through educational programs and social media. This paper also suggested healthy ingredients and investigated development of patterns for modern Dasik in order for everyone to learn and use how to cook Dasik for popularization of Dasik.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