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OECD ‘교육 2030’ 프로젝트 웰빙(Well-Being) 관점에서의 실과 교육과정 분석 An Analysis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in terms of Well-being of OECD ‘Education 2030’ Project원문보기
본 연구는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가 미래교육의 지향점으로 삼은 웰빙(Well-being)의 관점에서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하여 실과 교육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으며 설정한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에서 웰빙(Well-being)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파악한다. 둘째,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의 웰빙(Well-being)의 하위요소를 준거로 하여 실과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한다. 셋째, 실과 교과의 웰빙(Well-being) 교과로서의 가치와 역할을 탐색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 및 웰빙 관련 연구 ...
본 연구는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가 미래교육의 지향점으로 삼은 웰빙(Well-being)의 관점에서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하여 실과 교육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으며 설정한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에서 웰빙(Well-being)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파악한다. 둘째,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의 웰빙(Well-being)의 하위요소를 준거로 하여 실과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한다. 셋째, 실과 교과의 웰빙(Well-being) 교과로서의 가치와 역할을 탐색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 및 웰빙 관련 연구 자료 분석을 통하여 웰빙의 개념 및 내용요소를 파악하고, 11개 웰빙(Well-being)요소 즉, ‘주거, 소득, 직업, 공동체, 교육, 환경, 시민참여, 건강, 삶의 만족, 안전, 일과 삶의 균형’을 분석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5 초등 실과 교육과정에서의 웰빙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내용 분석의 타당성 검토는 6명의 실과교육전공 초등교사에 의해 2회에 걸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 ‘성격’의 가정생활 분야에서는 주거, 공동체, 건강, 안전 요소와의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기술의 세계 분야에서는 직업, 교육, 환경 요소와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목표’에서는 11개 지수 중 소득을 제외한 주거, 직업, 공동체, 교육, 환경, 시민참여, 건강, 삶의 만족, 안전, 일과 삶의 균형 요소와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용 요소 및 성취 기준’에서는 가정생활과 기술의 세계 분야에서 서로 다른 웰빙 요소와의 관련성이 나타났다. 가정생활 분야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웰빙 요소가 반영되어 있으며, 가장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 요소는 건강요소로 나타났다. 기술의 세계 분야 또한 대부분의 웰빙 요소와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장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 요소는 교육, 직업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에서는 일부 항목에서 직업, 공동체, 교육, 환경, 시민참여, 안전요소와 매우 높은 관련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가 지향하는 웰빙의 요소와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과 밀접한 관련성이 나타났으므로 이러한 지수를 활용한 연구의 타당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는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의 지향점인 웰빙이 직접적으로 표현되어있지는 않으나, 대부분의 웰빙 요소가 내포되어 있어 실과 교과가 웰빙의 핵심 교과로서 그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셋째,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의 기본 방향이 적극 반영될 미래형 교육을 위한 2022 개정 교육과정 개편 시 실과 교육과정에서는 웰빙이라는 용어가 직접적으로 표현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가 미래교육의 지향점으로 삼은 웰빙(Well-being)의 관점에서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하여 실과 교육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으며 설정한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에서 웰빙(Well-being)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파악한다. 둘째,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의 웰빙(Well-being)의 하위요소를 준거로 하여 실과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한다. 셋째, 실과 교과의 웰빙(Well-being) 교과로서의 가치와 역할을 탐색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 및 웰빙 관련 연구 자료 분석을 통하여 웰빙의 개념 및 내용요소를 파악하고, 11개 웰빙(Well-being)요소 즉, ‘주거, 소득, 직업, 공동체, 교육, 환경, 시민참여, 건강, 삶의 만족, 안전, 일과 삶의 균형’을 분석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5 초등 실과 교육과정에서의 웰빙 교육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내용 분석의 타당성 검토는 6명의 실과교육전공 초등교사에 의해 2회에 걸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 ‘성격’의 가정생활 분야에서는 주거, 공동체, 건강, 안전 요소와의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기술의 세계 분야에서는 직업, 교육, 환경 요소와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목표’에서는 11개 지수 중 소득을 제외한 주거, 직업, 공동체, 교육, 환경, 시민참여, 건강, 삶의 만족, 안전, 일과 삶의 균형 요소와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용 요소 및 성취 기준’에서는 가정생활과 기술의 세계 분야에서 서로 다른 웰빙 요소와의 관련성이 나타났다. 가정생활 분야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웰빙 요소가 반영되어 있으며, 가장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 요소는 건강요소로 나타났다. 기술의 세계 분야 또한 대부분의 웰빙 요소와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장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 요소는 교육, 직업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에서는 일부 항목에서 직업, 공동체, 교육, 환경, 시민참여, 안전요소와 매우 높은 관련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가 지향하는 웰빙의 요소와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과 밀접한 관련성이 나타났으므로 이러한 지수를 활용한 연구의 타당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는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의 지향점인 웰빙이 직접적으로 표현되어있지는 않으나, 대부분의 웰빙 요소가 내포되어 있어 실과 교과가 웰빙의 핵심 교과로서 그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셋째,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의 기본 방향이 적극 반영될 미래형 교육을 위한 2022 개정 교육과정 개편 시 실과 교육과정에서는 웰빙이라는 용어가 직접적으로 표현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well-being which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aims,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contents of the study established are as follows. First, Identi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well-being which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aims,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contents of the study established are as follows. First, Identify the concepts and components of well-being of OECD 'Education 2030' project. Second, the details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re analyzed based on the sub-elements of well-being of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Third, understands the value and role of Practical arts as a well-being subject. Specific research methods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Identifying the concept and content components of well-being through the analysis of research data related to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and well-being. And The 11 well-being factors, namely 'housing, income, jobs, community, education, environment, civic engagement, health, life satisfaction, safety, work-life balance', were set as analytical criteria. Based on this, well-being education in the 2015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curriculum was analyzed. The feasibility study of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wice by six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joring in practical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aracteristic’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was very closely related with ‘housing, jobs, community, education, environment, health, life satisfaction and safety’, closely related with ‘income and civic engagement’, and related with ‘work-life balance’. Second, ‘Objective’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was very closely related with ‘community, environment, health, life satisfaction, safety, work-life balance’, and closely related with ‘housing, jobs and civic engagement’. Third, the ‘cont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relevance to various factors has been shown for each area. In the ‘family life’ area, most well-being factors are reflected, and the most closely related factor is ‘health’. The ‘world of technology’ area has also been shown to be relevant to most well-being factors, but the most closely related factors are ‘education and jobs’. Four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was very closely related with ‘jobs, community, education, environment, civic engagement, health, and safety’. The conclusions from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using this index is valid because well-being elements that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aims for have been closely related to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Second,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does not directly present well-being, the orientation of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but most well-being elements are implanted, which can conclude that practical arts can fully play their role as key course in well-being. Third, the term ‘well-being’ needs to be directly expressed in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when reforming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or future education, which will actively reflect the basic direction of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well-being which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aims,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contents of the study established are as follows. First, Identify the concepts and components of well-being of OECD 'Education 2030' project. Second, the details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re analyzed based on the sub-elements of well-being of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Third, understands the value and role of Practical arts as a well-being subject. Specific research methods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Identifying the concept and content components of well-being through the analysis of research data related to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and well-being. And The 11 well-being factors, namely 'housing, income, jobs, community, education, environment, civic engagement, health, life satisfaction, safety, work-life balance', were set as analytical criteria. Based on this, well-being education in the 2015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curriculum was analyzed. The feasibility study of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wice by six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joring in practical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aracteristic’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was very closely related with ‘housing, jobs, community, education, environment, health, life satisfaction and safety’, closely related with ‘income and civic engagement’, and related with ‘work-life balance’. Second, ‘Objective’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was very closely related with ‘community, environment, health, life satisfaction, safety, work-life balance’, and closely related with ‘housing, jobs and civic engagement’. Third, the ‘cont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relevance to various factors has been shown for each area. In the ‘family life’ area, most well-being factors are reflected, and the most closely related factor is ‘health’. The ‘world of technology’ area has also been shown to be relevant to most well-being factors, but the most closely related factors are ‘education and jobs’. Four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was very closely related with ‘jobs, community, education, environment, civic engagement, health, and safety’. The conclusions from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using this index is valid because well-being elements that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aims for have been closely related to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Second,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does not directly present well-being, the orientation of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but most well-being elements are implanted, which can conclude that practical arts can fully play their role as key course in well-being. Third, the term ‘well-being’ needs to be directly expressed in the practical arts curriculum when reforming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or future education, which will actively reflect the basic direction of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