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 마음챙김 긍정심리 훈련(MPPT) 프로그램이 중년여성들의 노화불안과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
본 연구에서 마음챙김 긍정심리 훈련(MPPT) 프로그램이 중년여성들의 노화불안과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팬데믹이 장기화되면서 대면으로만 진행되어왔던 명상 관련 프로그램에서는 줌(ZOOM)이나 유튜브 등을 이용한 ‘온라인 명상’의 시도가 널리 확대되어 있고 이에 맞춰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화상 집단, 녹화된 동영상 강의로 진행되는 온라인 동영상 집단과 대기통제집단으로 구분(3집단)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 1에서는 명상, 마음챙김과 긍정심리 요인으로 구성된 MPPT 모형을 설정하여 노화불안과 우울, 삶의 만족, 인지적 유연성,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성인 39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한 결과 MPPT의 구성요소와 삶의 만족, 인지적 유연성, 심리적 안녕감, 노화불안과 우울과는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결과변인인 삶의 만족, 인지적 유연성, 심리적 안녕감, 노화불안과 우울에 각각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의 결과를 반영하여 체계적인 개발 절차 모형에 따라 구성내용을 작성하고 평가 과정을 거쳐 MPPT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3에서는 연구 2에서 개발된 MPPT 프로그램의 처치효과를 비교⦁검증을 위해 노화불안이 높은 중년여성을 선정하여 실시간 온라인 화상집단, 온라인 동영상집단과 대기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먼저 온라인 화상 프로그램은 한 회기 당 120분 씩 8회기를 ZOO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진행하였고, 온라인 동영상 프로그램은 본 연구자가 직접 촬영, 녹화 제작하여 참가자들의 스마트폰 SNS를 통해 1주일에 한 회기씩 프로그램 녹화 영상과 과제, 관련 자료 등을 전달하였으며, 각 회기 당 프로그램 시간은 평균 60~80분 정도였다. 대기통제집단은 향후 온라인 화상 프로그램으로 진행예정이며, 각 집단마다 사전, 중간, 사후, 추후 시기별로 종속측정치들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최종 측정 자료는 온라인 화상 프로그램 집단에서 22명, 온라인 동영상 프로그램 집단에서 24명, 대기통제집단에서 23명으로부터 수집되었다. 효과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시간 온라인 프로그램 집단과 온라인 화상 프로그램 집단은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처치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효과 수준 또한 높았다. 집단별 개별 종속변인에 대한 효과 비교에서는 모든 종속변인에서 온라인 기반 MPPT 프로그램 집단(온라인 화상, 온라인 동영상)에서 더 큰 효과가 있었으며, 처치효과의 지속의 정도에서도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PPT 프로그램의 참여가 어떻게 웰빙, 노화불안 및 우울 수준의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기제를 알아보기 위해 MPPT 프로그램의 핵심 요인인 마음챙김과 자기자비, 인지적 정서조절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매개효과 검증결과 모든 종속변인의 효과에 대해 마음챙김과 자기자비, 인지적 정서조절을 통한 총간접효과가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MPPT 프로그램이 심리적 건강 증진에 기여한 점을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해 고려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마음챙김 긍정심리 훈련(MPPT) 프로그램이 중년여성들의 노화불안과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팬데믹이 장기화되면서 대면으로만 진행되어왔던 명상 관련 프로그램에서는 줌(ZOOM)이나 유튜브 등을 이용한 ‘온라인 명상’의 시도가 널리 확대되어 있고 이에 맞춰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화상 집단, 녹화된 동영상 강의로 진행되는 온라인 동영상 집단과 대기통제집단으로 구분(3집단)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 1에서는 명상, 마음챙김과 긍정심리 요인으로 구성된 MPPT 모형을 설정하여 노화불안과 우울, 삶의 만족, 인지적 유연성,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성인 39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한 결과 MPPT의 구성요소와 삶의 만족, 인지적 유연성, 심리적 안녕감, 노화불안과 우울과는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결과변인인 삶의 만족, 인지적 유연성, 심리적 안녕감, 노화불안과 우울에 각각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의 결과를 반영하여 체계적인 개발 절차 모형에 따라 구성내용을 작성하고 평가 과정을 거쳐 MPPT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3에서는 연구 2에서 개발된 MPPT 프로그램의 처치효과를 비교⦁검증을 위해 노화불안이 높은 중년여성을 선정하여 실시간 온라인 화상집단, 온라인 동영상집단과 대기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먼저 온라인 화상 프로그램은 한 회기 당 120분 씩 8회기를 ZOO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진행하였고, 온라인 동영상 프로그램은 본 연구자가 직접 촬영, 녹화 제작하여 참가자들의 스마트폰 SNS를 통해 1주일에 한 회기씩 프로그램 녹화 영상과 과제, 관련 자료 등을 전달하였으며, 각 회기 당 프로그램 시간은 평균 60~80분 정도였다. 대기통제집단은 향후 온라인 화상 프로그램으로 진행예정이며, 각 집단마다 사전, 중간, 사후, 추후 시기별로 종속측정치들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최종 측정 자료는 온라인 화상 프로그램 집단에서 22명, 온라인 동영상 프로그램 집단에서 24명, 대기통제집단에서 23명으로부터 수집되었다. 효과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시간 온라인 프로그램 집단과 온라인 화상 프로그램 집단은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처치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효과 수준 또한 높았다. 집단별 개별 종속변인에 대한 효과 비교에서는 모든 종속변인에서 온라인 기반 MPPT 프로그램 집단(온라인 화상, 온라인 동영상)에서 더 큰 효과가 있었으며, 처치효과의 지속의 정도에서도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PPT 프로그램의 참여가 어떻게 웰빙, 노화불안 및 우울 수준의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기제를 알아보기 위해 MPPT 프로그램의 핵심 요인인 마음챙김과 자기자비, 인지적 정서조절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매개효과 검증결과 모든 종속변인의 효과에 대해 마음챙김과 자기자비, 인지적 정서조절을 통한 총간접효과가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MPPT 프로그램이 심리적 건강 증진에 기여한 점을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해 고려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