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챗봇을 활용한 수준별 과제의 모형을 개발하고, 실제로 수준별 과제를 개발하여 시범 적용과 전문가의 평가를 거쳐 수정·보완하여 챗봇의 최종본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챗봇을 개발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하여 챗봇 개발의 원칙과 챗봇 과제 구성 변인을 설정하고 4학년의 교과서 5종을 분석하여 공통적으로 출현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의사소통 기능과 고빈도 표현을 추출하여 자기 평가 및 기본 수준, 보충 수준, 심화 수준의 챗봇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개발된 챗봇을 4학년 두 개 학급의 29명 학생을 대상으로 시범 적용을 실시하였다. 시범 적용의 결과로 수집된 챗봇의 히스토리(History)와 교사의 관찰일지, 학생의 챗봇 사용 설문 결과를 질적 분석하여 수정·보완할 점을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챗봇에 대하여, 성취기준 및 과제 목표 부합성, 챗봇 과제의 정의적 특성, 실제성, ...
본 연구는 챗봇을 활용한 수준별 과제의 모형을 개발하고, 실제로 수준별 과제를 개발하여 시범 적용과 전문가의 평가를 거쳐 수정·보완하여 챗봇의 최종본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챗봇을 개발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하여 챗봇 개발의 원칙과 챗봇 과제 구성 변인을 설정하고 4학년의 교과서 5종을 분석하여 공통적으로 출현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의사소통 기능과 고빈도 표현을 추출하여 자기 평가 및 기본 수준, 보충 수준, 심화 수준의 챗봇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개발된 챗봇을 4학년 두 개 학급의 29명 학생을 대상으로 시범 적용을 실시하였다. 시범 적용의 결과로 수집된 챗봇의 히스토리(History)와 교사의 관찰일지, 학생의 챗봇 사용 설문 결과를 질적 분석하여 수정·보완할 점을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챗봇에 대하여, 성취기준 및 과제 목표 부합성, 챗봇 과제의 정의적 특성, 실제성, 상호작용성, 보조 자료의 적합성의 5개의 평가 영역에 대한 전문가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선택형 문항의 평가 결과는 평가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제시하였으며, 각 평가 영역에 대한 전문가의 서술형 의견은 전문가간의 협의를 통해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전문가의 평가와 피드백을 반영하여 챗봇의 최종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은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수준별 챗봇 과제의 개발 원칙과 과제 구성 변인을 제시하였다. 교사가 수준별 챗봇 과제 개발 시에 참고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교사의 과제 개발에 대한 곤란도와 피로도를 감소시킬 것이다. 둘째, 세 가지 수준의 챗봇 시나리오 작성을 위한 대화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대화 모형은 전문가 평가 중 성취기준 및 과제 목표 부합성의 전 영역과 챗봇 과제의 실제성 중 대화 단계의 유기적 연계성에서 모두 4점이 넘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셋째, 챗봇의 시범 적용과 전문가 평가에 의한 피드백을 통해 수준별 챗봇 과제 개발의 유의점을 도출하였다. 인텐트(Intent) 설정의 정교화와 실효성 있는 프롬프트(Prompt) 탐색, 학생 발화에 대한 적절한 보상 제공, 대화 상황 설명의 정교화 및 도식화, 학습 목적과 수준에 맞는 적합한 보조 자료의 사용과 같은 점에 유의하여 챗봇을 개발한다면 완성도 높은 챗봇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챗봇을 활용한 수준별 과제의 모형을 개발하고, 실제로 수준별 과제를 개발하여 시범 적용과 전문가의 평가를 거쳐 수정·보완하여 챗봇의 최종본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챗봇을 개발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하여 챗봇 개발의 원칙과 챗봇 과제 구성 변인을 설정하고 4학년의 교과서 5종을 분석하여 공통적으로 출현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의사소통 기능과 고빈도 표현을 추출하여 자기 평가 및 기본 수준, 보충 수준, 심화 수준의 챗봇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개발된 챗봇을 4학년 두 개 학급의 29명 학생을 대상으로 시범 적용을 실시하였다. 시범 적용의 결과로 수집된 챗봇의 히스토리(History)와 교사의 관찰일지, 학생의 챗봇 사용 설문 결과를 질적 분석하여 수정·보완할 점을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챗봇에 대하여, 성취기준 및 과제 목표 부합성, 챗봇 과제의 정의적 특성, 실제성, 상호작용성, 보조 자료의 적합성의 5개의 평가 영역에 대한 전문가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선택형 문항의 평가 결과는 평가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제시하였으며, 각 평가 영역에 대한 전문가의 서술형 의견은 전문가간의 협의를 통해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전문가의 평가와 피드백을 반영하여 챗봇의 최종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은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수준별 챗봇 과제의 개발 원칙과 과제 구성 변인을 제시하였다. 교사가 수준별 챗봇 과제 개발 시에 참고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교사의 과제 개발에 대한 곤란도와 피로도를 감소시킬 것이다. 둘째, 세 가지 수준의 챗봇 시나리오 작성을 위한 대화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대화 모형은 전문가 평가 중 성취기준 및 과제 목표 부합성의 전 영역과 챗봇 과제의 실제성 중 대화 단계의 유기적 연계성에서 모두 4점이 넘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셋째, 챗봇의 시범 적용과 전문가 평가에 의한 피드백을 통해 수준별 챗봇 과제 개발의 유의점을 도출하였다. 인텐트(Intent) 설정의 정교화와 실효성 있는 프롬프트(Prompt) 탐색, 학생 발화에 대한 적절한 보상 제공, 대화 상황 설명의 정교화 및 도식화, 학습 목적과 수준에 맞는 적합한 보조 자료의 사용과 같은 점에 유의하여 챗봇을 개발한다면 완성도 높은 챗봇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