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수업의 방향과 효과적인 지원 방안을 도출하여 학교 현장에서 수용 가능하고 초등 교사들이 주체적으로 실천해 나갈 수 있는 정책 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학년도 2학기 동안 Zoom을 활용한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을 진행한 초등 교사의 수업을 관찰하고, 초등 교사들과 그 학급 학생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함으로써 초등 교사들의 원격수업 경험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원격수업의 경험과 의미 분석 결과를 토대로 2021학년도 1학기 동안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서울시교육청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 역량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의 배움 중심에 기반한 원격수업의 방향과 교사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중심으로 한 원격수업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서울시 관내 초등학교 3교를 선정하여 2020년 10월부터 12월까지 반 구조화된 질문으로 교사와 학생의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면담 대상 교사 3명이 담임하고 있는 3개 학급을 대상으로 2020년 9월부터 11월까지 총 8회 참여 관찰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21년 6월 28일부터 7월 12일까지 서울시교육청 11개 교육지원청별 소속 초등학교 1개교씩을 무선 표집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원격수업 상황을 예측할 수 없었기 때문에 아무도 가보지 않은 길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새로운 것을 배우고 익히고자 다양하게 도전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대면수업에 비해 원격수업에서 상호 의사소통, 학생들의 능동적 참여와 자주적 학습 유도, 원격수업 수업환경 구성 순으로 중점을 두어 진행하였다. 셋째, 원격수업 관련 교사 역량 중요도는 변화 대응 역량, 공감적 ...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수업의 방향과 효과적인 지원 방안을 도출하여 학교 현장에서 수용 가능하고 초등 교사들이 주체적으로 실천해 나갈 수 있는 정책 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학년도 2학기 동안 Zoom을 활용한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을 진행한 초등 교사의 수업을 관찰하고, 초등 교사들과 그 학급 학생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함으로써 초등 교사들의 원격수업 경험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원격수업의 경험과 의미 분석 결과를 토대로 2021학년도 1학기 동안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서울시교육청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 역량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의 배움 중심에 기반한 원격수업의 방향과 교사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중심으로 한 원격수업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서울시 관내 초등학교 3교를 선정하여 2020년 10월부터 12월까지 반 구조화된 질문으로 교사와 학생의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면담 대상 교사 3명이 담임하고 있는 3개 학급을 대상으로 2020년 9월부터 11월까지 총 8회 참여 관찰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21년 6월 28일부터 7월 12일까지 서울시교육청 11개 교육지원청별 소속 초등학교 1개교씩을 무선 표집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원격수업 상황을 예측할 수 없었기 때문에 아무도 가보지 않은 길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새로운 것을 배우고 익히고자 다양하게 도전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대면수업에 비해 원격수업에서 상호 의사소통, 학생들의 능동적 참여와 자주적 학습 유도, 원격수업 수업환경 구성 순으로 중점을 두어 진행하였다. 셋째, 원격수업 관련 교사 역량 중요도는 변화 대응 역량, 공감적 의사소통 역량, 학습 자원 활용 역량, 관계 역량, 맞춤형 수업 설계 역량 순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현재 교사 역량 수준은 공감적 의사소통 역량, 관계 역량, 문제 해결 역량, 학습 자원 활용 역량, 변화 대응 역량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원격수업이 나아갈 방향 등에 대한 논의는 첫째, 학생의 배움을 돕고 성장을 지원하는 교사들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단위학교 차원에서 원격수업에 필요한 교사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원학습공동체 등 공동체적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교사의 원격수업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넷째, 원격수업 관련 법령이나 정책 및 원격수업 시스템, 원격수업 콘텐츠 등을 체계화하고 학생 맞춤형 학습관리시스템(LMS)의 표준화와 안정적인 구축이 필요할 것이다. 다섯째, 블렌디드 러닝 등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교육환경 구축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일부 교사들의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의 한계를 지니고 있으나, 현장 교사들의 원격수업을 위한 교사 역량에 대한 인식을 파악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수업의 방향과 효과적인 지원 방안을 도출하여 학교 현장에서 수용 가능하고 초등 교사들이 주체적으로 실천해 나갈 수 있는 정책 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학년도 2학기 동안 Zoom을 활용한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을 진행한 초등 교사의 수업을 관찰하고, 초등 교사들과 그 학급 학생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함으로써 초등 교사들의 원격수업 경험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원격수업의 경험과 의미 분석 결과를 토대로 2021학년도 1학기 동안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서울시교육청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 역량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의 배움 중심에 기반한 원격수업의 방향과 교사들이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중심으로 한 원격수업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서울시 관내 초등학교 3교를 선정하여 2020년 10월부터 12월까지 반 구조화된 질문으로 교사와 학생의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면담 대상 교사 3명이 담임하고 있는 3개 학급을 대상으로 2020년 9월부터 11월까지 총 8회 참여 관찰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21년 6월 28일부터 7월 12일까지 서울시교육청 11개 교육지원청별 소속 초등학교 1개교씩을 무선 표집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원격수업 상황을 예측할 수 없었기 때문에 아무도 가보지 않은 길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새로운 것을 배우고 익히고자 다양하게 도전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대면수업에 비해 원격수업에서 상호 의사소통, 학생들의 능동적 참여와 자주적 학습 유도, 원격수업 수업환경 구성 순으로 중점을 두어 진행하였다. 셋째, 원격수업 관련 교사 역량 중요도는 변화 대응 역량, 공감적 의사소통 역량, 학습 자원 활용 역량, 관계 역량, 맞춤형 수업 설계 역량 순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현재 교사 역량 수준은 공감적 의사소통 역량, 관계 역량, 문제 해결 역량, 학습 자원 활용 역량, 변화 대응 역량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원격수업이 나아갈 방향 등에 대한 논의는 첫째, 학생의 배움을 돕고 성장을 지원하는 교사들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단위학교 차원에서 원격수업에 필요한 교사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원학습공동체 등 공동체적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교사의 원격수업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넷째, 원격수업 관련 법령이나 정책 및 원격수업 시스템, 원격수업 콘텐츠 등을 체계화하고 학생 맞춤형 학습관리시스템(LMS)의 표준화와 안정적인 구축이 필요할 것이다. 다섯째, 블렌디드 러닝 등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교육환경 구축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일부 교사들의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의 한계를 지니고 있으나, 현장 교사들의 원격수업을 위한 교사 역량에 대한 인식을 파악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