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퇴직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는 것으로 직무전문성을 조절변수로 하여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의 경찰공무원 434명을 대상으로 하여 2021년 9월 5일부터 2021년 9월 20일까지 설문지를 도구로 하여 조사를 진행하였고 설문조사 후 데이터를 코딩화하여 SPSS 22.0 프로그램으로 본 연구에 대해 분석하였다. 경찰공무원의 퇴직준비, 그리고 삶의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한 변수로는 ...
이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퇴직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는 것으로 직무전문성을 조절변수로 하여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의 경찰공무원 434명을 대상으로 하여 2021년 9월 5일부터 2021년 9월 20일까지 설문지를 도구로 하여 조사를 진행하였고 설문조사 후 데이터를 코딩화하여 SPSS 22.0 프로그램으로 본 연구에 대해 분석하였다. 경찰공무원의 퇴직준비, 그리고 삶의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한 변수로는 독립변수로 퇴직준비, 조절변수로 직무전문성, 종속변수로는 삶의 만족도로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먼저, 연구의 가설분석에서는 가설 1은 ‘퇴직준비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는 ‘퇴직준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직무전문성은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가설 3은 ‘퇴직 후 비활동을 하는 그룹(이탈그룹, Disengagement Group)과 활동을 하는 그룹(활동그룹, Social Activity Group)간 퇴직준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직무전문성은 조절효과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로 설정하여 본 연구의 주제에 대해 검증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특히 가설 3에서는 퇴직 후 비활동 그룹의 경제적 준비와 신체적 준비가 유의하였으며 조절변수 또한 유의함으로써 조절변수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지만,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최종 결과에서 독립변수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조절변수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렇지만 퇴직 후 활동그룹에 조절변수가 투입된 결과를 살펴보면, 경제적 준비와 신체적 준비가 유의하였으며 조절변수 또한 유의함으로써 조절변수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최종적으로 3단계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결과, 독립변수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경제적 상호작용항이 .05 수준에서 유의하여 조절변수는 정(+)적으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대해 다음과 같은 5가지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퇴직 예정인 경찰공무원 교육 프로그램의 전문성과 현실화가 필요하다. 둘째, 퇴직예정 경찰공무원에게 인턴십(internship)과 같은 현장 체험 교육을 통해 선행 학습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교육대상을 일률적으로 모든 현직 경찰공무원이 아닌 퇴직에 관심 있는 경찰공무원 중, 재직 경력 10년 이상이라면 누구나 자격증 취득 온라인 교육을 무료로 개방 지원해야 한다. 넷째, 퇴직경찰관이 취업할 수 있는 새로운 업태(業態)와 종목(種目) 발굴과 다양한 민간기업 분야와 정기적인 교류가 필요하다. 다섯째, 경찰공무원 연금제도에 퇴직연금 DC형(Defined Contribution: 확정기여형) 제도의 도입이다.
이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퇴직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는 것으로 직무전문성을 조절변수로 하여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의 경찰공무원 434명을 대상으로 하여 2021년 9월 5일부터 2021년 9월 20일까지 설문지를 도구로 하여 조사를 진행하였고 설문조사 후 데이터를 코딩화하여 SPSS 22.0 프로그램으로 본 연구에 대해 분석하였다. 경찰공무원의 퇴직준비, 그리고 삶의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한 변수로는 독립변수로 퇴직준비, 조절변수로 직무전문성, 종속변수로는 삶의 만족도로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먼저, 연구의 가설분석에서는 가설 1은 ‘퇴직준비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는 ‘퇴직준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직무전문성은 조절효과가 있을 것이다.’ 가설 3은 ‘퇴직 후 비활동을 하는 그룹(이탈그룹, Disengagement Group)과 활동을 하는 그룹(활동그룹, Social Activity Group)간 퇴직준비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직무전문성은 조절효과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로 설정하여 본 연구의 주제에 대해 검증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특히 가설 3에서는 퇴직 후 비활동 그룹의 경제적 준비와 신체적 준비가 유의하였으며 조절변수 또한 유의함으로써 조절변수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지만,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최종 결과에서 독립변수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조절변수는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렇지만 퇴직 후 활동그룹에 조절변수가 투입된 결과를 살펴보면, 경제적 준비와 신체적 준비가 유의하였으며 조절변수 또한 유의함으로써 조절변수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최종적으로 3단계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결과, 독립변수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경제적 상호작용항이 .05 수준에서 유의하여 조절변수는 정(+)적으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대해 다음과 같은 5가지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퇴직 예정인 경찰공무원 교육 프로그램의 전문성과 현실화가 필요하다. 둘째, 퇴직예정 경찰공무원에게 인턴십(internship)과 같은 현장 체험 교육을 통해 선행 학습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교육대상을 일률적으로 모든 현직 경찰공무원이 아닌 퇴직에 관심 있는 경찰공무원 중, 재직 경력 10년 이상이라면 누구나 자격증 취득 온라인 교육을 무료로 개방 지원해야 한다. 넷째, 퇴직경찰관이 취업할 수 있는 새로운 업태(業態)와 종목(種目) 발굴과 다양한 민간기업 분야와 정기적인 교류가 필요하다. 다섯째, 경찰공무원 연금제도에 퇴직연금 DC형(Defined Contribution: 확정기여형) 제도의 도입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retirement preparation of police officials on life satisfaction and has conducted with job expertise as a moderator variable.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434 police officials in Seoul from September 5, 2021, to September 20, 2021, and after the survey, data were c...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retirement preparation of police officials on life satisfaction and has conducted with job expertise as a moderator variable.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434 police officials in Seoul from September 5, 2021, to September 20, 2021, and after the survey, data were coded and analyzed as the SPSS 22.0 program. As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retirement prepar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police officials, retirement prepar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job expertise as moderator variables, and life satisfaction as dependent variables were set and conducted. First, in the hypothesis analysis of the study, hypothesis 1 is that ‘Retirement preparation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Hypothesis 2 states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preparation and life satisfaction, job expertise will have a moderating effect.' Hypothesis 3 set that ‘Job expertise h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prepar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inactive and active groups after retirement.’ The results of verification on the subject of this study had derived by setting it as above. In particular, in Hypothesis 3, the economic and physical preparation of the inactive group (Disengagement Group) after retirement were significant, and the moderator variable was also meaningful, so the moderator variable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However, in the final result of inputting the interaction variabl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moderator variable had no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satisfaction with life. But, looking at the result put in moderator variables into the activity group(Social Activity Group) after retirement, economic and physical preparations have significant, and the moderator variables were also meaningful, so the moderator variables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Finally, as a result of inputting the three-step interaction variable, it was confirmed that the economic interaction variable was significant at the .05 leve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the modulating variable showed a positive (+) moderating effect. The following five policy proposals had presented for these results.
First, it is necessary to realize the expertise and reality of the education program for police officials scheduled to retire. Second, it should be providing police officials who have a plan to retire with opportunities for prior learning through field experience training such as internships. Third, among police officials have interested in retirement, not all incumbent police officials, anyone with more than ten years of experience in police office should support free online education for obtaining certificates. Fourth, it is necessary to discover new business types and items where retired police officers can get a job and regularly exchange with various private enterprises. Fifth, the introduction system of Defined Contribution type retirement pensions into the police officer pension system.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retirement preparation of police officials on life satisfaction and has conducted with job expertise as a moderator variable.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434 police officials in Seoul from September 5, 2021, to September 20, 2021, and after the survey, data were coded and analyzed as the SPSS 22.0 program. As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retirement prepar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police officials, retirement prepar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job expertise as moderator variables, and life satisfaction as dependent variables were set and conducted. First, in the hypothesis analysis of the study, hypothesis 1 is that ‘Retirement preparation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Hypothesis 2 states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preparation and life satisfaction, job expertise will have a moderating effect.' Hypothesis 3 set that ‘Job expertise h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prepar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inactive and active groups after retirement.’ The results of verification on the subject of this study had derived by setting it as above. In particular, in Hypothesis 3, the economic and physical preparation of the inactive group (Disengagement Group) after retirement were significant, and the moderator variable was also meaningful, so the moderator variable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However, in the final result of inputting the interaction variabl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moderator variable had no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satisfaction with life. But, looking at the result put in moderator variables into the activity group(Social Activity Group) after retirement, economic and physical preparations have significant, and the moderator variables were also meaningful, so the moderator variables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Finally, as a result of inputting the three-step interaction variable, it was confirmed that the economic interaction variable was significant at the .05 leve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the modulating variable showed a positive (+) moderating effect. The following five policy proposals had presented for these results.
First, it is necessary to realize the expertise and reality of the education program for police officials scheduled to retire. Second, it should be providing police officials who have a plan to retire with opportunities for prior learning through field experience training such as internships. Third, among police officials have interested in retirement, not all incumbent police officials, anyone with more than ten years of experience in police office should support free online education for obtaining certificates. Fourth, it is necessary to discover new business types and items where retired police officers can get a job and regularly exchange with various private enterprises. Fifth, the introduction system of Defined Contribution type retirement pensions into the police officer pension system.
Keyword
#경찰공무원 퇴직준비 퇴직교육 프로그램 경제적 준비 직무전문성 Police Officer Retirement of Preparation Retirement Education Program Economic Preparation Job Expertise Life Satisfaction Aging Society
학위논문 정보
저자
남반석
학위수여기관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경찰행정학과
지도교수
한상암
발행연도
2022
총페이지
p152
키워드
경찰공무원 퇴직준비 퇴직교육 프로그램 경제적 준비 직무전문성 Police Officer Retirement of Preparation Retirement Education Program Economic Preparation Job Expertise Life Satisfaction Aging Socie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