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지의 지속가능한 개발이 정상적으로 잘 되어 있는지를 살피기 위해서는 여행지의 관광자원과 이를 이용하는 여행객의 행동을 분석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논문은 2021년을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사업의 출발점으로 정한 한국의 관광도시 속초를 중심으로 관광산업의 성격과 방향을 짚어 보기 위해 내외국인 학생의 여행 행동 파악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속초의 지속가능한 관광 현황을 파악하고, 둘째, 내외국인 학생의 여행 동기 및 선호하는 여행 활동을 유럽, 아시아, 한국 학생들의 균형 잡힌 표본을 통해 비교하였다. 설문조사를 구성할 때 여행 동기의 요인들은 5가지 그룹으로 나누었고, 선호 여행 활동 요인은 크게 기초와 속초의 관광자원에 맞는 여섯 가지 여행 활동으로 나누었다. 셋째, 여섯 가지 여행 선호 활동에 관한 분석자료를 바탕으로 학생들과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지속가능한 여행 행동을 파악하고자 하였고, 속초의 지속가능한 관광 개발을 위한 제안을 제시해 보았다. 주요 연구 방법으로는 속초의 관광자원에 대한 현지 조사와 여행 동기 및 선호하는 여행 활동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N=115명) 및 심층인터뷰(N=6명)를 실시하였다. 관광 개발계획, 관광자원과 관광 홍보 및 마케팅을 중심으로 한 현지 조사에 관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결론을 내렸다. 첫째, 속초와 강원도에서 생태관광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는데, 지속가능한 관광에 대한 내용을 담은 계획은 아직 미흡할 뿐만 아니라 두 개념이 아직 혼용되고 있다. 둘째, 속초는 여러 새로운 관광자원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2021년을 지속가능한 관광 개발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셋째, 홍보·마케팅 방법에서 여러 문제점이 있으며, 특산품과 기념품 가게에 대한 홍보 부족 및 외국어로 된 관광 정보 부족 등이 가장 뚜렷하다. 학생의 여행 동기, 선호 여행 활동과 지속가능한 여행 행동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신 지역별 학생 사이에 '자연환경 즐기기', '위락', '야외 및 스포츠 활동'에 대한 여행 동기 요인 그룹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연환경 즐기기' 동기에서는 아시아 유학생과 한국 학생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아시아 유학생은 가장 높은 동기, 한국인 학생은 가장 낮은 동기를 나타냈다. 유럽 유학생은 ‘위락’ 동기가 가장 낮은 동기로 나타났으며, '야외 및 스포츠 활동'은 아시아 유학생이 다른 두 그룹보다 더 중요시하였다. 세 그룹 모두에서 '재충전' 여행 동기가 가장 높았고, '야외 및 스포츠 활동'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으로 학생이 속초 여행지 중에 가장 선호한 장소는 해수욕장, 설악산국립공원, 중앙시장과 수산시장, 그리고 아바이 마을 순으로 나타났다. 수산시장과 아바이 마을은 한국인 학생이 외국인 학생보다 더 선호하였다. 특정 관광 상품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산책과 하이킹은 야외·스포츠 활동 중에서 압도적으로 선호되었으며, 숙소의 경우에는 한국인 학생은 체인호텔을, 외국인 유학생은 소규모 지역 숙소를 더 선호하였다. 음식점에서는 로컬 식당 및 카페를 전반적으로 가장 선호했고, 한국인은 유학생보다 중앙시장 및 수산시장에서의 식사를 선호하였다. 특산품 및 기념품을 구매하지 않은 학생의 비율과 중앙시장에서 쇼핑한 사람의 비율은 37.3%로 똑같았는데, 한국인 학생과 아시아 유학생이 주로 쇼핑한 곳은 중앙시장이었고, 유럽인 유학생은 기념품 가게나 수공예품 가게를 많이 이용하였다. 셋째, 지속가능한 여행 행동에서는 학생이 선호하는 여행 교통 수단에서 내외국인 학생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유학생이 더 지속가능한 여행 행동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반적으로 학생의 가장 지속가능한 여행 행동은 야외·스포츠 활동이고, 문화·사회 활동, 속초 방문 시 이용한 교통, 식음료, 숙소, 기념품 및 특산품 쇼핑, 시내에서 이용한 교통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또한, 심층인터뷰 결과에 따르면, 시내버스를 이용하기 불편하고, 자전거 대여도 쉽지 않으며, 야외·스포츠 및 문화·사회 활동에 대한 정보와 홍보가 부족하고, 숙소에 대한 선택의 폭이 좁으며, 소규모 로컬 숙소는 서비스 질에 대한 우려가 있고, 특산품의 종류와 사용법, 기념품의 종류와 가게의 위치에 대한 홍보가 부족하다는 점이 도출되었다. 이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개발사업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1) 공유 자전거 및 전기 오토바이 사업 개발, 2) 종이 홍보 정보를 인터넷 웹사이트로 통합하고 모바일 앱으로 개발하는 것과 관광 안내판을 최신 정보, 외국어 병기로 교체, 3) 로컬 숙소의 선택을 확대할 수 있는 사업 추진 및 지속가능한 관광사업을 홍보하는 ...
관광지의 지속가능한 개발이 정상적으로 잘 되어 있는지를 살피기 위해서는 여행지의 관광자원과 이를 이용하는 여행객의 행동을 분석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논문은 2021년을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사업의 출발점으로 정한 한국의 관광도시 속초를 중심으로 관광산업의 성격과 방향을 짚어 보기 위해 내외국인 학생의 여행 행동 파악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속초의 지속가능한 관광 현황을 파악하고, 둘째, 내외국인 학생의 여행 동기 및 선호하는 여행 활동을 유럽, 아시아, 한국 학생들의 균형 잡힌 표본을 통해 비교하였다. 설문조사를 구성할 때 여행 동기의 요인들은 5가지 그룹으로 나누었고, 선호 여행 활동 요인은 크게 기초와 속초의 관광자원에 맞는 여섯 가지 여행 활동으로 나누었다. 셋째, 여섯 가지 여행 선호 활동에 관한 분석자료를 바탕으로 학생들과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지속가능한 여행 행동을 파악하고자 하였고, 속초의 지속가능한 관광 개발을 위한 제안을 제시해 보았다. 주요 연구 방법으로는 속초의 관광자원에 대한 현지 조사와 여행 동기 및 선호하는 여행 활동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N=115명) 및 심층인터뷰(N=6명)를 실시하였다. 관광 개발계획, 관광자원과 관광 홍보 및 마케팅을 중심으로 한 현지 조사에 관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결론을 내렸다. 첫째, 속초와 강원도에서 생태관광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는데, 지속가능한 관광에 대한 내용을 담은 계획은 아직 미흡할 뿐만 아니라 두 개념이 아직 혼용되고 있다. 둘째, 속초는 여러 새로운 관광자원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2021년을 지속가능한 관광 개발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셋째, 홍보·마케팅 방법에서 여러 문제점이 있으며, 특산품과 기념품 가게에 대한 홍보 부족 및 외국어로 된 관광 정보 부족 등이 가장 뚜렷하다. 학생의 여행 동기, 선호 여행 활동과 지속가능한 여행 행동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신 지역별 학생 사이에 '자연환경 즐기기', '위락', '야외 및 스포츠 활동'에 대한 여행 동기 요인 그룹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연환경 즐기기' 동기에서는 아시아 유학생과 한국 학생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아시아 유학생은 가장 높은 동기, 한국인 학생은 가장 낮은 동기를 나타냈다. 유럽 유학생은 ‘위락’ 동기가 가장 낮은 동기로 나타났으며, '야외 및 스포츠 활동'은 아시아 유학생이 다른 두 그룹보다 더 중요시하였다. 세 그룹 모두에서 '재충전' 여행 동기가 가장 높았고, '야외 및 스포츠 활동'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으로 학생이 속초 여행지 중에 가장 선호한 장소는 해수욕장, 설악산국립공원, 중앙시장과 수산시장, 그리고 아바이 마을 순으로 나타났다. 수산시장과 아바이 마을은 한국인 학생이 외국인 학생보다 더 선호하였다. 특정 관광 상품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산책과 하이킹은 야외·스포츠 활동 중에서 압도적으로 선호되었으며, 숙소의 경우에는 한국인 학생은 체인호텔을, 외국인 유학생은 소규모 지역 숙소를 더 선호하였다. 음식점에서는 로컬 식당 및 카페를 전반적으로 가장 선호했고, 한국인은 유학생보다 중앙시장 및 수산시장에서의 식사를 선호하였다. 특산품 및 기념품을 구매하지 않은 학생의 비율과 중앙시장에서 쇼핑한 사람의 비율은 37.3%로 똑같았는데, 한국인 학생과 아시아 유학생이 주로 쇼핑한 곳은 중앙시장이었고, 유럽인 유학생은 기념품 가게나 수공예품 가게를 많이 이용하였다. 셋째, 지속가능한 여행 행동에서는 학생이 선호하는 여행 교통 수단에서 내외국인 학생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유학생이 더 지속가능한 여행 행동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반적으로 학생의 가장 지속가능한 여행 행동은 야외·스포츠 활동이고, 문화·사회 활동, 속초 방문 시 이용한 교통, 식음료, 숙소, 기념품 및 특산품 쇼핑, 시내에서 이용한 교통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또한, 심층인터뷰 결과에 따르면, 시내버스를 이용하기 불편하고, 자전거 대여도 쉽지 않으며, 야외·스포츠 및 문화·사회 활동에 대한 정보와 홍보가 부족하고, 숙소에 대한 선택의 폭이 좁으며, 소규모 로컬 숙소는 서비스 질에 대한 우려가 있고, 특산품의 종류와 사용법, 기념품의 종류와 가게의 위치에 대한 홍보가 부족하다는 점이 도출되었다. 이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개발사업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1) 공유 자전거 및 전기 오토바이 사업 개발, 2) 종이 홍보 정보를 인터넷 웹사이트로 통합하고 모바일 앱으로 개발하는 것과 관광 안내판을 최신 정보, 외국어 병기로 교체, 3) 로컬 숙소의 선택을 확대할 수 있는 사업 추진 및 지속가능한 관광사업을 홍보하는 인증마크 제도 도입, 4) 특산품 기업 간의 협력 강화를 통해 기념품·선물 패키지 개발 및 기념품 가게 증설, 5) 속초 전역에 지속가능한 여행 행동에 대해 안내하고 홍보하는 안내판 설치를 제한하였다.
관광지의 지속가능한 개발이 정상적으로 잘 되어 있는지를 살피기 위해서는 여행지의 관광자원과 이를 이용하는 여행객의 행동을 분석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 논문은 2021년을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사업의 출발점으로 정한 한국의 관광도시 속초를 중심으로 관광산업의 성격과 방향을 짚어 보기 위해 내외국인 학생의 여행 행동 파악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속초의 지속가능한 관광 현황을 파악하고, 둘째, 내외국인 학생의 여행 동기 및 선호하는 여행 활동을 유럽, 아시아, 한국 학생들의 균형 잡힌 표본을 통해 비교하였다. 설문조사를 구성할 때 여행 동기의 요인들은 5가지 그룹으로 나누었고, 선호 여행 활동 요인은 크게 기초와 속초의 관광자원에 맞는 여섯 가지 여행 활동으로 나누었다. 셋째, 여섯 가지 여행 선호 활동에 관한 분석자료를 바탕으로 학생들과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지속가능한 여행 행동을 파악하고자 하였고, 속초의 지속가능한 관광 개발을 위한 제안을 제시해 보았다. 주요 연구 방법으로는 속초의 관광자원에 대한 현지 조사와 여행 동기 및 선호하는 여행 활동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N=115명) 및 심층인터뷰(N=6명)를 실시하였다. 관광 개발계획, 관광자원과 관광 홍보 및 마케팅을 중심으로 한 현지 조사에 관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결론을 내렸다. 첫째, 속초와 강원도에서 생태관광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는데, 지속가능한 관광에 대한 내용을 담은 계획은 아직 미흡할 뿐만 아니라 두 개념이 아직 혼용되고 있다. 둘째, 속초는 여러 새로운 관광자원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2021년을 지속가능한 관광 개발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셋째, 홍보·마케팅 방법에서 여러 문제점이 있으며, 특산품과 기념품 가게에 대한 홍보 부족 및 외국어로 된 관광 정보 부족 등이 가장 뚜렷하다. 학생의 여행 동기, 선호 여행 활동과 지속가능한 여행 행동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신 지역별 학생 사이에 '자연환경 즐기기', '위락', '야외 및 스포츠 활동'에 대한 여행 동기 요인 그룹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연환경 즐기기' 동기에서는 아시아 유학생과 한국 학생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아시아 유학생은 가장 높은 동기, 한국인 학생은 가장 낮은 동기를 나타냈다. 유럽 유학생은 ‘위락’ 동기가 가장 낮은 동기로 나타났으며, '야외 및 스포츠 활동'은 아시아 유학생이 다른 두 그룹보다 더 중요시하였다. 세 그룹 모두에서 '재충전' 여행 동기가 가장 높았고, '야외 및 스포츠 활동'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반적으로 학생이 속초 여행지 중에 가장 선호한 장소는 해수욕장, 설악산국립공원, 중앙시장과 수산시장, 그리고 아바이 마을 순으로 나타났다. 수산시장과 아바이 마을은 한국인 학생이 외국인 학생보다 더 선호하였다. 특정 관광 상품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산책과 하이킹은 야외·스포츠 활동 중에서 압도적으로 선호되었으며, 숙소의 경우에는 한국인 학생은 체인호텔을, 외국인 유학생은 소규모 지역 숙소를 더 선호하였다. 음식점에서는 로컬 식당 및 카페를 전반적으로 가장 선호했고, 한국인은 유학생보다 중앙시장 및 수산시장에서의 식사를 선호하였다. 특산품 및 기념품을 구매하지 않은 학생의 비율과 중앙시장에서 쇼핑한 사람의 비율은 37.3%로 똑같았는데, 한국인 학생과 아시아 유학생이 주로 쇼핑한 곳은 중앙시장이었고, 유럽인 유학생은 기념품 가게나 수공예품 가게를 많이 이용하였다. 셋째, 지속가능한 여행 행동에서는 학생이 선호하는 여행 교통 수단에서 내외국인 학생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 유학생이 더 지속가능한 여행 행동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반적으로 학생의 가장 지속가능한 여행 행동은 야외·스포츠 활동이고, 문화·사회 활동, 속초 방문 시 이용한 교통, 식음료, 숙소, 기념품 및 특산품 쇼핑, 시내에서 이용한 교통 순으로 그 뒤를 이었다. 또한, 심층인터뷰 결과에 따르면, 시내버스를 이용하기 불편하고, 자전거 대여도 쉽지 않으며, 야외·스포츠 및 문화·사회 활동에 대한 정보와 홍보가 부족하고, 숙소에 대한 선택의 폭이 좁으며, 소규모 로컬 숙소는 서비스 질에 대한 우려가 있고, 특산품의 종류와 사용법, 기념품의 종류와 가게의 위치에 대한 홍보가 부족하다는 점이 도출되었다. 이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개발사업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1) 공유 자전거 및 전기 오토바이 사업 개발, 2) 종이 홍보 정보를 인터넷 웹사이트로 통합하고 모바일 앱으로 개발하는 것과 관광 안내판을 최신 정보, 외국어 병기로 교체, 3) 로컬 숙소의 선택을 확대할 수 있는 사업 추진 및 지속가능한 관광사업을 홍보하는 인증마크 제도 도입, 4) 특산품 기업 간의 협력 강화를 통해 기념품·선물 패키지 개발 및 기념품 가게 증설, 5) 속초 전역에 지속가능한 여행 행동에 대해 안내하고 홍보하는 안내판 설치를 제한하였다.
Sustainable development become a major keyword for the development discourse in the 1990s and has now grown to be one of the main topics considered when planning any development, including tourism. The idea of sustainable tourism has expanded into the development plans and policies of many industrie...
Sustainable development become a major keyword for the development discourse in the 1990s and has now grown to be one of the main topics considered when planning any development, including tourism. The idea of sustainable tourism has expanded into the development plans and policies of many industries and governments on a national and regional scale. Sokcho, a small tourist city in South Korea represents one of those regional governments, which have chosen the year 2021 as the starting point for developing sustainable tourism projects. Sokcho has a geographical advantage, as it is not only located in proximity to both mountains and the coastline but is also rich in unique culture and history. Therefore, making Sokcho is a diverse travel destination with a great potential to sustainably develop and diversify its tourist services and products. In order to identify the sectors in need of development and recommend practical development solutions, this research set three goals. First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sustainable tourist attractions in Sokcho. Second was to compare a balanced sample of European, Asian and Korean students in the context with international student’s travel motivation and preferences in Korea. Third was to analyse student’s sustainable behaviour through their actual activities in Sokcho, which were recorded through travel preferences. The methodology used for data gathering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is field work in Sokcho, consisting of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local government’s tourist development representative and local tourism business owners. Second is a two-part online survey (N=115), including a 17 factor 5-scale Likert travel motivation questionnaire and multiple answer travel preferences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nalysed using ANOVA with a Games Howell post hoc test in IBM SPSS. Lastly,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survey participants to gain insight into obstacles which prevented the tourist from displaying a more sustainable behaviour. Results can be summarized in next five points. First, this thesis investigated tourism development plans, tourist attractions, and tourism marketing and promotion of Sokcho’s tourism by conducting field research. It was discovered that while some tourism development plans do include the concept and plan of sustainable tourism, it is mostly done on a national scale and with a lesser focus on specific regions. As such, Sokcho is yet to include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practices into its development plans and policie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year 2021 represents a beginning for new sustainable projects led by the local government. Sokcho’s tourism promotion is mainly organized by Sokcho city hall and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ficial website and social media, printed promotion material and tourist information boards. Three issues were recognised regarding promotion: lack of foreign language translation and out-of-date information boards, lack of promotion of local products and souvenirs, and non-standardized websites in Korean and foreign languages. Second, regarding travel motiv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ree groups of students were confirmed for ‘enjoying the natural environment’ motivation. Motivation was highest amongst Asian students and lowest for Korean students. Next, European students were confirmed to be less motivated by ‘entertainment’ than the rest of the students, and Asian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otivation for ‘outdoor and sporting activities’. All three groups showed the highest motivation for ‘recharging’, while ‘outdoor and sporting activities’ were confirmed to be the least motivational factor. Third, the highest preferred travel attraction in Sokcho is the beach, followed by Mt. Seorak National Park, central market, and Abai Village. The latter two are more preferred by Korean students. Besides strolling and hiking, sport activities were not highly preferred by all three student groups. Korean students preferred spending the night in a hotel chain, while international students mostly opted for a small local accommodation. All students showed a high preference for local restaurants and cafes. The overall percentage of students that did not purchase local products or souvenirs amounted to 37.7%. Those that did make a purchase preferred the central market and souvenir shops. Fourth, it was proven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dent’s sustainable behaviour only occurs in the transportation category, where it was apparent that international students relied on public transportation much more than Korean students. The sustainable behaviour was the highest in the case of sporting and outdoor activities, followed by cultural and social activities, transportation to Sokcho, food and beverage, accommodation, shopping, and transportation inside Sokcho. Fifth, the obstacles that prevented students from displaying more sustainable behaviour are as follows: inconvenient city bus and bike rental, lack of information and promotion for cultural and sporting activities, narrow range of accommodation selection and concern about quality of small-scale local accommodation, lack of promotion for local products and souvenirs, their utility and store location.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nd filed work, the next sustainable tourism projects are recommended. 1) Development of shared city bicycle and electric motorcycle for more sustainable mobility. 2) Renovation of tourist information boards and digitalisation of existing paper promotional material, developing phone application and interactive maps. 3) Introduction of sustainable tourism label system which promotes sustainable tourist businesses and services to travellers. 4) Strengthening promotion of local food, products and souvenirs. 5) Installing information boards across the city which present simple examples for contributing to Sokcho’s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thesis contributes to research on international student’s travel behaviour, as it includes a balanced sample of European students, and does not only focus on Asian students, as can be seen done in many previous studies. Additionally, tourist sustainable behaviour is analysed using respondent’s travel preference and interviews which is not commonly seen in previous research. It is recommended that future research uses a larger sample of respondents in order to gain clearer and more conclusive results. Moreover, since young travellers statistically represent a smaller percentage of Sokcho visitors, research of sustainable behaviour across different generations which provides more relevant implications for sustainable tourist projects is suggested.
Sustainable development become a major keyword for the development discourse in the 1990s and has now grown to be one of the main topics considered when planning any development, including tourism. The idea of sustainable tourism has expanded into the development plans and policies of many industries and governments on a national and regional scale. Sokcho, a small tourist city in South Korea represents one of those regional governments, which have chosen the year 2021 as the starting point for developing sustainable tourism projects. Sokcho has a geographical advantage, as it is not only located in proximity to both mountains and the coastline but is also rich in unique culture and history. Therefore, making Sokcho is a diverse travel destination with a great potential to sustainably develop and diversify its tourist services and products. In order to identify the sectors in need of development and recommend practical development solutions, this research set three goals. First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sustainable tourist attractions in Sokcho. Second was to compare a balanced sample of European, Asian and Korean students in the context with international student’s travel motivation and preferences in Korea. Third was to analyse student’s sustainable behaviour through their actual activities in Sokcho, which were recorded through travel preferences. The methodology used for data gathering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is field work in Sokcho, consisting of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local government’s tourist development representative and local tourism business owners. Second is a two-part online survey (N=115), including a 17 factor 5-scale Likert travel motivation questionnaire and multiple answer travel preferences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nalysed using ANOVA with a Games Howell post hoc test in IBM SPSS. Lastly,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survey participants to gain insight into obstacles which prevented the tourist from displaying a more sustainable behaviour. Results can be summarized in next five points. First, this thesis investigated tourism development plans, tourist attractions, and tourism marketing and promotion of Sokcho’s tourism by conducting field research. It was discovered that while some tourism development plans do include the concept and plan of sustainable tourism, it is mostly done on a national scale and with a lesser focus on specific regions. As such, Sokcho is yet to include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practices into its development plans and policie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year 2021 represents a beginning for new sustainable projects led by the local government. Sokcho’s tourism promotion is mainly organized by Sokcho city hall and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ficial website and social media, printed promotion material and tourist information boards. Three issues were recognised regarding promotion: lack of foreign language translation and out-of-date information boards, lack of promotion of local products and souvenirs, and non-standardized websites in Korean and foreign languages. Second, regarding travel motiv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ree groups of students were confirmed for ‘enjoying the natural environment’ motivation. Motivation was highest amongst Asian students and lowest for Korean students. Next, European students were confirmed to be less motivated by ‘entertainment’ than the rest of the students, and Asian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otivation for ‘outdoor and sporting activities’. All three groups showed the highest motivation for ‘recharging’, while ‘outdoor and sporting activities’ were confirmed to be the least motivational factor. Third, the highest preferred travel attraction in Sokcho is the beach, followed by Mt. Seorak National Park, central market, and Abai Village. The latter two are more preferred by Korean students. Besides strolling and hiking, sport activities were not highly preferred by all three student groups. Korean students preferred spending the night in a hotel chain, while international students mostly opted for a small local accommodation. All students showed a high preference for local restaurants and cafes. The overall percentage of students that did not purchase local products or souvenirs amounted to 37.7%. Those that did make a purchase preferred the central market and souvenir shops. Fourth, it was proven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dent’s sustainable behaviour only occurs in the transportation category, where it was apparent that international students relied on public transportation much more than Korean students. The sustainable behaviour was the highest in the case of sporting and outdoor activities, followed by cultural and social activities, transportation to Sokcho, food and beverage, accommodation, shopping, and transportation inside Sokcho. Fifth, the obstacles that prevented students from displaying more sustainable behaviour are as follows: inconvenient city bus and bike rental, lack of information and promotion for cultural and sporting activities, narrow range of accommodation selection and concern about quality of small-scale local accommodation, lack of promotion for local products and souvenirs, their utility and store location.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nd filed work, the next sustainable tourism projects are recommended. 1) Development of shared city bicycle and electric motorcycle for more sustainable mobility. 2) Renovation of tourist information boards and digitalisation of existing paper promotional material, developing phone application and interactive maps. 3) Introduction of sustainable tourism label system which promotes sustainable tourist businesses and services to travellers. 4) Strengthening promotion of local food, products and souvenirs. 5) Installing information boards across the city which present simple examples for contributing to Sokcho’s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thesis contributes to research on international student’s travel behaviour, as it includes a balanced sample of European students, and does not only focus on Asian students, as can be seen done in many previous studies. Additionally, tourist sustainable behaviour is analysed using respondent’s travel preference and interviews which is not commonly seen in previous research. It is recommended that future research uses a larger sample of respondents in order to gain clearer and more conclusive results. Moreover, since young travellers statistically represent a smaller percentage of Sokcho visitors, research of sustainable behaviour across different generations which provides more relevant implications for sustainable tourist projects is suggest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