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유 모빌리티 따릉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평가 및 개선 방안 제안
Usability Testing and Improvement of Mobile Application of Shared Mobility Ttareungi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7 no.2, 2021년, pp.377 - 388  

이성현 (서울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문새연 (서울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오시연 (서울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홍진아 (서울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정영욱 (서울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세계적으로 공유경제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최근 국내에도 다양한 공유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다. 국내 공유 모빌리티 산업을 대표하는 서비스 중 하나인 서울시 무인 공공자전거 대여 서비스 '따릉이'는 높은 인지도와 이용률에 비해 따릉이 대여에 필수 매개체인 따릉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은 개선되지 않아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한다. 본 연구는 따릉이 주 이용자인 20~30대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 (Usability testing)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따릉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갖는 문제점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따릉이와 같이 공공성을 갖는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의 디자인 고려사항을 제안하였다. 이는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growth of the global sharing economy market, various sharing services have recently appeared in South Korea. Seoul city unmanned public bicycle rental service, "Ttareuni" is one of the services representing the shared mobility industry in South Korea. Although many users use this service, t...

주제어

표/그림 (13)

참고문헌 (16)

  1. S. Shim, "An Exploratory Study on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Use of Sharing Economy Services," The Journal of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Vol. 16, No. 4, pp. 163-183, 2016. 

  2. S. Hong, A Study on Improving User Experience in the Electric Scooter Sharing Service,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Ewha Womans, Seoul, 2020. 

  3. M. Kim, A Study on User Experience Design for Bike Sharing Services,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Ewha Womans, Seoul, 2017. 

  4. L. Lessig, Remix: Making Art and Commerce Thrive in the Hybrid Economy, Penguin Books, 2008. available at: https://doi.org/10.22329/jtl.v7i1.679 

  5. K. Kim, "4차 산업시대를 열어가는 공유경제 서비스," in Proc. The Sustainability Science Society(지속가능과학회) 학술대회, pp.137-139, 2016. 

  6. R. Botsman, "The Sharing Economy Lacks a Shared Definition," Fast Company, Vol. 21, 2013. 

  7. S. Na, E. Kim, and E. Choi, "Current Status and Implications of the Sharing Economy in the US, Europe, and China," Korea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KIEP), Vol. 17, No. 10, pp. 0-0, December 2017. 

  8. H. Kim, Y. Kim, M. Jang, and J. Choi, "The Effect of Social Network Service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Motivation Factors on User's Intention of Information Sharing,"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Vol. 12, No. 4, pp. 145-164, 2013. available at: https://doi.org/10.9716/KITS.2013.12.4.145 

  9. J. Park, D. Lee, and J. Ahn, "Risk-focused e-commerce adoption model: A cross-country study," Journal of Global Information Technology Management, Vol. 7, No. 2, pp. 6-30, 2004. available at: https://doi.org/10.1080/1097198X.2004.10856370 

  10. S. Hong and Y. Koo, "A Study on Shared Mobility Services for Sustainable Place Making," in Proc.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pp. 153-158, Nov 2019. 

  11. S. Yu,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ntinued Use intention of Personal Mobility Services Based on the Sharing,"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21, No. 12, pp. 2159-2168, 2020. available at: https://doi.org/10.9728/dcs.2020.21.12.2159 

  12. J. Kim and S. Kim, "A study on User Experience of Mobility Platform Service -Focused on kakao Taxi and Tad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7, No. 7, pp. 351-357, 2019. available at: https://doi.org/10.14400/JDC.2019.17.7.351 

  13. S. G. Hart, and L. E. Staveland, "Development of NASA-TLX (Task Load Index): Results of empirical and theoretical research,"in Human Mental Workload, P. A. Hancock and N. Meshkati, Ed. North-Holland: Elsevier Science Publisher B. V., 1988, p. 139-183. availableat: https://doi.org/10.1016/S0166-4115(08)62386-9 

  14. J. Cho, "An Empirical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Trust, Custom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Intention of Mobile Payment Service: Focusing on the multi-mediated effects of trust,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user experience," 산업혁신연구, Vol. 34, No. 1. pp. 99-126, 2018. 

  15. Y. Noh and S. Ok, "전자상거래 환경에서 제도적 메커니즘이 온라인 쇼핑 업체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 The Korea Society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pp. 159-165, May 2019. 

  16. B. Oh, A Study on user experience - centered information design paradigm,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