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2019년 7월 시행된 장애등급제 폐지에 의해 변화된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정책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애인고용패널 2차 웨이브 3차(2018년), 5차(2020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먼저 장애등급제 폐지를 살펴보고 이로 인한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확대 정책을 살펴보았다.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정책효과 변수로서 본 연구에서 사용할 사회적 배제의 개념 및 영역을 5가지 영역(경제, 건강, 주거, 사회적 관계, 사회참여)으로 정의하였다. 정책효과 분석은 이중·삼중 차이 ...
본 연구의 목적은 2019년 7월 시행된 장애등급제 폐지에 의해 변화된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정책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애인고용패널 2차 웨이브 3차(2018년), 5차(2020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먼저 장애등급제 폐지를 살펴보고 이로 인한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확대 정책을 살펴보았다.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정책효과 변수로서 본 연구에서 사용할 사회적 배제의 개념 및 영역을 5가지 영역(경제, 건강, 주거, 사회적 관계, 사회참여)으로 정의하였다. 정책효과 분석은 이중·삼중 차이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고자 했고, 분석 대상 선정을 위해 정책 이용집단을 추출하고 이들과 일반적 특성이 비슷한 정책 비 이용집단을 성향점수 매칭을 통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 장애인활동지원제도를 이용한 장애인은 주관적 경제배제와 가족관계 배제 수준이 완화되는 정책효과를 볼 수 있었다. 또한, 비수도권에서 정책을 이용한 장애인의 경우 수도권의 이용 장애인보다 주관적 경제배제, 가족관계 배제 수준이 완화되는 결과를 보였다. 세부적으로 각 지역 내에서 정책의 효과를 살펴보았는데 비수도권 이용 장애인의 배제 수준은 완화된 반면, 수도권 이용 장애인의 경우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문제점과 과제를 파악하고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수준을 완화하기 위한 방향으로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19년 7월 시행된 장애등급제 폐지에 의해 변화된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정책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애인고용패널 2차 웨이브 3차(2018년), 5차(2020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먼저 장애등급제 폐지를 살펴보고 이로 인한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확대 정책을 살펴보았다.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정책효과 변수로서 본 연구에서 사용할 사회적 배제의 개념 및 영역을 5가지 영역(경제, 건강, 주거, 사회적 관계, 사회참여)으로 정의하였다. 정책효과 분석은 이중·삼중 차이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고자 했고, 분석 대상 선정을 위해 정책 이용집단을 추출하고 이들과 일반적 특성이 비슷한 정책 비 이용집단을 성향점수 매칭을 통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 장애인활동지원제도를 이용한 장애인은 주관적 경제배제와 가족관계 배제 수준이 완화되는 정책효과를 볼 수 있었다. 또한, 비수도권에서 정책을 이용한 장애인의 경우 수도권의 이용 장애인보다 주관적 경제배제, 가족관계 배제 수준이 완화되는 결과를 보였다. 세부적으로 각 지역 내에서 정책의 효과를 살펴보았는데 비수도권 이용 장애인의 배제 수준은 완화된 반면, 수도권 이용 장애인의 경우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문제점과 과제를 파악하고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수준을 완화하기 위한 방향으로 장애인활동지원제도의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licy effect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altered by the abolition of degrees of disabilities implemented in July 2019. For the analysis, data from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2nd Wave 3rd (2018) and 5th (2020) were used.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licy effect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altered by the abolition of degrees of disabilities implemented in July 2019. For the analysis, data from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2nd Wave 3rd (2018) and 5th (2020) were used.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abolition of degrees of disabilities and then looked at the expansion policy regarding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policy. For a variable of the policy effect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 this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social exclusion by five areas (economic, health, housing, social relationship, and social particip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policy effect through double and triple difference regression analysis; policy user group was extracted to select the analysis target. The non-policy user group with similar general characteristics to the aforementioned group was constructed through propensity score match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disabled people who used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enjoyed the policy effect in terms of lowering subjective economic exclusion and family relationship exclusion. Also, for the disabled who used the policy in the capital area, the level of subjective economic exclusion and family relationship exclusion was lowered compared to the disabled using the capital area. This study examined the policy effect within each region with more details; while the policy lowered the exclusion of the disabled users in the capital area,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case of the disabled users in the capital area. Per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identified the problems and future tasks of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and presented policy recommendations regarding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to alleviate the social exclusion of the disab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licy effect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altered by the abolition of degrees of disabilities implemented in July 2019. For the analysis, data from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2nd Wave 3rd (2018) and 5th (2020) were used.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abolition of degrees of disabilities and then looked at the expansion policy regarding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policy. For a variable of the policy effect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 this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social exclusion by five areas (economic, health, housing, social relationship, and social particip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policy effect through double and triple difference regression analysis; policy user group was extracted to select the analysis target. The non-policy user group with similar general characteristics to the aforementioned group was constructed through propensity score match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disabled people who used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enjoyed the policy effect in terms of lowering subjective economic exclusion and family relationship exclusion. Also, for the disabled who used the policy in the capital area, the level of subjective economic exclusion and family relationship exclusion was lowered compared to the disabled using the capital area. This study examined the policy effect within each region with more details; while the policy lowered the exclusion of the disabled users in the capital area,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case of the disabled users in the capital area. Per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identified the problems and future tasks of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and presented policy recommendations regarding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 to alleviate the social exclusion of the disabl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