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청소년의 탈비행화 진단척도 개발 및 타당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Diagnostic Scale for the Desistance Process of Juvenile Delinquency원문보기
청소년의‘비행(delinquency)’은 포괄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비행은 ‘일탈행동(deviant behavior)’, 범법 행위인 ‘범죄행동(criminal behavior)’ 등의 개념과 함께 사용된다. 과거에는 지위비행의 측면에서 청소년이 흡연과 술 먹고 싸움을 하는 소위 ‘불량배’나 ‘일진’ 정도의 범위였다면, 이제 청소년 비행은 다변화된 생활양식으로 인해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과 ...
청소년의 탈비행화 진단척도 개발 및 타당화에 관한 연구
청소년의‘비행(delinquency)’은 포괄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비행은 ‘일탈행동(deviant behavior)’, 범법 행위인 ‘범죄행동(criminal behavior)’ 등의 개념과 함께 사용된다. 과거에는 지위비행의 측면에서 청소년이 흡연과 술 먹고 싸움을 하는 소위 ‘불량배’나 ‘일진’ 정도의 범위였다면, 이제 청소년 비행은 다변화된 생활양식으로 인해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면서 나타나는 자기 파괴적인 행동 양상으로까지 나타나고 있다. 그래서 청소년 비행은 단순히 청소년 개인이 지닌 ‘특질’로 인한 개별적인 문제행동이기보다 개인과 사회구조의 변질된 상호작용의 결과로 인식해야 한다. 작금에 일어나고 있는 강도 높은 수위의 청소년 범죄사건과 그에 대한 대중적 비난, 격앙된 응보적 처벌의 목소리는 그동안 우리 사회가 부정적으로 누적시켜 온 역기능적 가족체계와 급격한 시대변화에 따른 청소년의 감각적이고 정서적인 표출에 대한 ‘사회적 긴장’을 드러내는 것이다.
현재 청소년 비행은 청소년의 인구통계학적 비율 대비 증가하는 추세이고, 소년범 재범률은 다년 간 30%대를 유지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결국 청소년 비행과 범죄의 예방을 위한 정책은 비행행동의 시작점에서 청소년에 대한 통합적 개입을 높이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과 재범률을 낮추기 위한 사회적 재통합 과정이 함께 맞물려 있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정책적 적용은 일상적 ‘생활교육’으로 전환되어 가정과 학교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하며, 청소년의 발달단계와 연령을 반영한 개별적 교육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실 그동안 청소년비행의 다양한 연구는 주로 비행의 인과관계와 그 속성을 밝히는 것을 중심으로 비행청소년을 대상화한 일반적 비행 현상을 드러내고, 단선적 교육과정에 대한 효과성에 집중하는 것들이 많았다. 많은 청소년 비행과 범죄 이론들은 비행의 출발선을 청소년기로 보았으며 청소년 비행의 위기요소를 다뤘다. 그러나 대부분의 청소년 비행을 설명하는 근거를 제공하고 있는 범죄이론들은 청소년 비행에 관한 낮은 수위의 해설적 측면과 사회 발전에 따른 범죄의 복잡성을 설명하지 못하는 등의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다는 비판적 시선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생활양식 중 취약성을 드러내는 요소가 무엇인지 발견하고, 그들의 생활 속에서 ‘탈비행화’의 조건을 검토할 수 있는 척도의 필요성을 피력(披瀝)한다. 탈비행화 요소는 청소년의 생활 곳곳에서 발견되는 내현적 문제행동과 외현적 문제행동의 현실적 취약성이 더 이상의 위기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발달궤적의 수정’과 맞물려 있다. 발달궤적을 수정해 나가는 탈비행화의 여정을 시작하려면 청소년 당사자에 대한 적절한 진단이 필요하고 이를 통해 그에 맞는 교육과정을 설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탈비행화로 이어지는 발달궤적은 청소년이 비행과 범죄를 더 이상 저지르지 않도록 수정해 나가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이를 위한 근거로 ‘사회통제이론(Social Control Theory)’,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 ‘생애과정이론(life course theory)’을 제시한다. 또한 이론적 배경을 기초로 청소년의 비행과 범죄 이전의 상황은 범죄 시작 단계와, 비행과 범죄자의 생애과정에 있어서 범죄에 관한 예측요인 및 범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사회통제이론에서 Hirschi의 4가지 사회유대(social bonds)인 애착, 개입, 참여, 신념의 요소와 Sutherland에 의해 정립된 사회학습이론을 구체화시킨 Akers의 정의, 차별적 접촉, 차별적 강화(보상, 처벌), 모방의 요소 등을 생애과정이론으로 연결시켰다. 이어 Thornberry의 상호작용이론(Interactional Theory)과 Moffitt의 생애지속 범죄자(life-course persistent offender)와 청소년기 한정 비행자(adolescence-limited delinquent) 유형 이론, Sampson과 Laub의 연령-등급 이론(Age-Graded Theory)은 사회통제이론과 사회학습이론의 지평을 생애과정으로 펼쳐냈다. 생애과정이론에 근거하면 인생의 주요 전이(transitions)가 붕괴되면 그로인해 삶은 파괴되고 범죄성은 촉진될 수 있다. 인생의 초입에 들어선 청소년의 경우, 비행성에 가려져 효과적이고 긍정적인 전이를 경험하지 못한 상태가 발생할 수 있지만, Sampson과 Laub은 연령-등급이론(Age-Graded Theory)에서 긍정적 삶의 경험과 사회와의 유대감, 사회적 자본 형성과 정체성(identity)의 변화를 위한 습관의 형성, 불안정한 애착을 극복할 수 있는 상호작용을 경험한다면, 청소년이 범죄와 비행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말한다. 범죄를 저지른 사람은 누구든지 인생사건(Life Event)의 발생으로 범죄가 지속되거나 중단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통제이론, 사회학습이론과 생애과정이론을 중심으로 청소년의 탈비행화 진단척도를 개발하고, 그 척도를 기초로 개인의 생애과정을 전환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설계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
청소년의 탈비행화 진단척도 개발을 위한 1차 조사의 주요 연구대상자는 범죄행위로 인해 보호처분을 받은 1호와 6호 처분을 받은 보호소년들을 중심으로 모집하였다. 비행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재범을 지속하거나 보이지 않는 곳에서 암수범죄를 저지르고 있는 비행청소년들의 생활을 정확하게 살펴보는 것이 탈비행화 요인 탐색을 위해 필요하기 때문이다. 2차 조사의 대상자로는 지역 학교에 재학 중인 일반 청소년을 대상으로 모집하여 탈비행화 진단척도가 비행성을 지닌 청소년들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일반 청소년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탈비행화의 내·외적인 절차는 Hirschi의 사회통제이론, Sutherland와 Akers의 사회학습이론, Thornberry의 상호작용이론, Moffitt의 생애지속범죄자와 청소년기 한정 비행자의 유형 이론, Sampson과 Laub의 연령-등급 이론을 검토하였다. 특히 각각의 학자들이 공통으로 제시하는 비행과 탈비행화의 변수인 가족과 부모애착, 학교, 또래집단, 사회유대관계 등의 요소를 우리 현실에 맞게 적용하여 의사소통, 공감, 관계행동, 진로성숙도, 사회적 지지, 자기조절, 생활관리, 중독대처, 학습능력의 9개 하위 차원과 24개의 구성요소로 개념화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먼저 선행연구를 통한 구성요인의 기초 요소를 탐색하여 문헌검토와 보호소년 인터뷰, 1차 전문가 평정을 통해 내용적 구성요인을 검토하였다. 이어 보호소년 인터뷰로 비행소년이 지닌 탈비행화의 요인을 범주화했으며, 2차 전문가 평정을 통한 문항검토를 실시하여, 최종 25문항의 청소년의 탈비행화 진단척도를 구성하였다. 탈비행화 진단척도에 대한 타당화 연구에서는 탈비행화 진단척도(Diagnostic Scale for the Desistance Process of Juvenile Delinquency: DDJD)의 구성 개념 및 교차 타당화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검증 모형에 대한 모형합치도 지수들은 모두 우수한 적합도 기준을 충족하였으며, 각 요인별 내적 신뢰도 계수(Cronbach α)도 모두 .8 이상의 비교적 높은 값을 나타냈다. 이로써 각각의 차원에 대한 구성 개념이 제대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척도 전체 문항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는 검증 모형에 대한 모형합치도 지수들은 모두 우수한 적합도 기준을 충족하였다. 척도의 하위 요인 간 상관분석 결과 또한 계수가 요인 간의 방향이 모두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관계수도 .8을 넘는 것이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척도의 하위요인은 서로 다른 개념으로 변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들 하위요인 간의 교차타당화 결과 1호와 6호 보호시설로 처분 받은 소년과 학교 학생에 따른 기관 차이에서 공감능력, 사회성, 의사결정성, 학업효능감, 진로효능감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성별에서는 공감능력, 사회성, 학업효능감에서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사결정성은 남자 청소년이 여자 청소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진로효능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청소년에 적용 가능한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이어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여 탈비행화 행동이 문제행동과 위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고 있는지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문제행동이 위기행동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탈비행화의 간접효과 모두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문제행동이 위기행동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문제행동이 위기행동에 미치는 경로에서 탈비행화를 통해서도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발한 청소년의 탈비행화 진단척도(DDJD)는 사회통제이론, 사회학습이론, 생애과정이론을 토대로 청소년의 발달궤적을 수정할 수 있는 통합적 개입을 위한 단초를 제공하리라 기대한다.
청소년의 탈비행화 진단척도 개발 및 타당화에 관한 연구
청소년의‘비행(delinquency)’은 포괄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비행은 ‘일탈행동(deviant behavior)’, 범법 행위인 ‘범죄행동(criminal behavior)’ 등의 개념과 함께 사용된다. 과거에는 지위비행의 측면에서 청소년이 흡연과 술 먹고 싸움을 하는 소위 ‘불량배’나 ‘일진’ 정도의 범위였다면, 이제 청소년 비행은 다변화된 생활양식으로 인해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면서 나타나는 자기 파괴적인 행동 양상으로까지 나타나고 있다. 그래서 청소년 비행은 단순히 청소년 개인이 지닌 ‘특질’로 인한 개별적인 문제행동이기보다 개인과 사회구조의 변질된 상호작용의 결과로 인식해야 한다. 작금에 일어나고 있는 강도 높은 수위의 청소년 범죄사건과 그에 대한 대중적 비난, 격앙된 응보적 처벌의 목소리는 그동안 우리 사회가 부정적으로 누적시켜 온 역기능적 가족체계와 급격한 시대변화에 따른 청소년의 감각적이고 정서적인 표출에 대한 ‘사회적 긴장’을 드러내는 것이다.
현재 청소년 비행은 청소년의 인구통계학적 비율 대비 증가하는 추세이고, 소년범 재범률은 다년 간 30%대를 유지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결국 청소년 비행과 범죄의 예방을 위한 정책은 비행행동의 시작점에서 청소년에 대한 통합적 개입을 높이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과 재범률을 낮추기 위한 사회적 재통합 과정이 함께 맞물려 있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정책적 적용은 일상적 ‘생활교육’으로 전환되어 가정과 학교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하며, 청소년의 발달단계와 연령을 반영한 개별적 교육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실 그동안 청소년비행의 다양한 연구는 주로 비행의 인과관계와 그 속성을 밝히는 것을 중심으로 비행청소년을 대상화한 일반적 비행 현상을 드러내고, 단선적 교육과정에 대한 효과성에 집중하는 것들이 많았다. 많은 청소년 비행과 범죄 이론들은 비행의 출발선을 청소년기로 보았으며 청소년 비행의 위기요소를 다뤘다. 그러나 대부분의 청소년 비행을 설명하는 근거를 제공하고 있는 범죄이론들은 청소년 비행에 관한 낮은 수위의 해설적 측면과 사회 발전에 따른 범죄의 복잡성을 설명하지 못하는 등의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다는 비판적 시선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생활양식 중 취약성을 드러내는 요소가 무엇인지 발견하고, 그들의 생활 속에서 ‘탈비행화’의 조건을 검토할 수 있는 척도의 필요성을 피력(披瀝)한다. 탈비행화 요소는 청소년의 생활 곳곳에서 발견되는 내현적 문제행동과 외현적 문제행동의 현실적 취약성이 더 이상의 위기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발달궤적의 수정’과 맞물려 있다. 발달궤적을 수정해 나가는 탈비행화의 여정을 시작하려면 청소년 당사자에 대한 적절한 진단이 필요하고 이를 통해 그에 맞는 교육과정을 설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탈비행화로 이어지는 발달궤적은 청소년이 비행과 범죄를 더 이상 저지르지 않도록 수정해 나가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
이를 위한 근거로 ‘사회통제이론(Social Control Theory)’,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 ‘생애과정이론(life course theory)’을 제시한다. 또한 이론적 배경을 기초로 청소년의 비행과 범죄 이전의 상황은 범죄 시작 단계와, 비행과 범죄자의 생애과정에 있어서 범죄에 관한 예측요인 및 범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사회통제이론에서 Hirschi의 4가지 사회유대(social bonds)인 애착, 개입, 참여, 신념의 요소와 Sutherland에 의해 정립된 사회학습이론을 구체화시킨 Akers의 정의, 차별적 접촉, 차별적 강화(보상, 처벌), 모방의 요소 등을 생애과정이론으로 연결시켰다. 이어 Thornberry의 상호작용이론(Interactional Theory)과 Moffitt의 생애지속 범죄자(life-course persistent offender)와 청소년기 한정 비행자(adolescence-limited delinquent) 유형 이론, Sampson과 Laub의 연령-등급 이론(Age-Graded Theory)은 사회통제이론과 사회학습이론의 지평을 생애과정으로 펼쳐냈다. 생애과정이론에 근거하면 인생의 주요 전이(transitions)가 붕괴되면 그로인해 삶은 파괴되고 범죄성은 촉진될 수 있다. 인생의 초입에 들어선 청소년의 경우, 비행성에 가려져 효과적이고 긍정적인 전이를 경험하지 못한 상태가 발생할 수 있지만, Sampson과 Laub은 연령-등급이론(Age-Graded Theory)에서 긍정적 삶의 경험과 사회와의 유대감, 사회적 자본 형성과 정체성(identity)의 변화를 위한 습관의 형성, 불안정한 애착을 극복할 수 있는 상호작용을 경험한다면, 청소년이 범죄와 비행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말한다. 범죄를 저지른 사람은 누구든지 인생사건(Life Event)의 발생으로 범죄가 지속되거나 중단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통제이론, 사회학습이론과 생애과정이론을 중심으로 청소년의 탈비행화 진단척도를 개발하고, 그 척도를 기초로 개인의 생애과정을 전환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설계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다.
청소년의 탈비행화 진단척도 개발을 위한 1차 조사의 주요 연구대상자는 범죄행위로 인해 보호처분을 받은 1호와 6호 처분을 받은 보호소년들을 중심으로 모집하였다. 비행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재범을 지속하거나 보이지 않는 곳에서 암수범죄를 저지르고 있는 비행청소년들의 생활을 정확하게 살펴보는 것이 탈비행화 요인 탐색을 위해 필요하기 때문이다. 2차 조사의 대상자로는 지역 학교에 재학 중인 일반 청소년을 대상으로 모집하여 탈비행화 진단척도가 비행성을 지닌 청소년들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일반 청소년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탈비행화의 내·외적인 절차는 Hirschi의 사회통제이론, Sutherland와 Akers의 사회학습이론, Thornberry의 상호작용이론, Moffitt의 생애지속범죄자와 청소년기 한정 비행자의 유형 이론, Sampson과 Laub의 연령-등급 이론을 검토하였다. 특히 각각의 학자들이 공통으로 제시하는 비행과 탈비행화의 변수인 가족과 부모애착, 학교, 또래집단, 사회유대관계 등의 요소를 우리 현실에 맞게 적용하여 의사소통, 공감, 관계행동, 진로성숙도, 사회적 지지, 자기조절, 생활관리, 중독대처, 학습능력의 9개 하위 차원과 24개의 구성요소로 개념화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먼저 선행연구를 통한 구성요인의 기초 요소를 탐색하여 문헌검토와 보호소년 인터뷰, 1차 전문가 평정을 통해 내용적 구성요인을 검토하였다. 이어 보호소년 인터뷰로 비행소년이 지닌 탈비행화의 요인을 범주화했으며, 2차 전문가 평정을 통한 문항검토를 실시하여, 최종 25문항의 청소년의 탈비행화 진단척도를 구성하였다. 탈비행화 진단척도에 대한 타당화 연구에서는 탈비행화 진단척도(Diagnostic Scale for the Desistance Process of Juvenile Delinquency: DDJD)의 구성 개념 및 교차 타당화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검증 모형에 대한 모형합치도 지수들은 모두 우수한 적합도 기준을 충족하였으며, 각 요인별 내적 신뢰도 계수(Cronbach α)도 모두 .8 이상의 비교적 높은 값을 나타냈다. 이로써 각각의 차원에 대한 구성 개념이 제대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척도 전체 문항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는 검증 모형에 대한 모형합치도 지수들은 모두 우수한 적합도 기준을 충족하였다. 척도의 하위 요인 간 상관분석 결과 또한 계수가 요인 간의 방향이 모두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관계수도 .8을 넘는 것이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척도의 하위요인은 서로 다른 개념으로 변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들 하위요인 간의 교차타당화 결과 1호와 6호 보호시설로 처분 받은 소년과 학교 학생에 따른 기관 차이에서 공감능력, 사회성, 의사결정성, 학업효능감, 진로효능감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성별에서는 공감능력, 사회성, 학업효능감에서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사결정성은 남자 청소년이 여자 청소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진로효능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청소년에 적용 가능한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이어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여 탈비행화 행동이 문제행동과 위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고 있는지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문제행동이 위기행동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탈비행화의 간접효과 모두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문제행동이 위기행동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문제행동이 위기행동에 미치는 경로에서 탈비행화를 통해서도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발한 청소년의 탈비행화 진단척도(DDJD)는 사회통제이론, 사회학습이론, 생애과정이론을 토대로 청소년의 발달궤적을 수정할 수 있는 통합적 개입을 위한 단초를 제공하리라 기대한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Diagnostic Scale for the Desistance Process of Juvenile Delinquency
A ‘delinquency’ of adolescents has a comprehensive meaning. A large scope of studies on juvenile delinquency has mainly focused on reveal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l...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Diagnostic Scale for the Desistance Process of Juvenile Delinquency
A ‘delinquency’ of adolescents has a comprehensive meaning. A large scope of studies on juvenile delinquency has mainly focused on reveal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linquency and the characteristics of delinquency, exposing phenomenon that target juvenile delinquents, focusing effectiveness of the linear curriculum beforehand. Thus, not a small number of juvenile delinquency and crime theories considered adolescence to be the starting point of delinquency and dealt with the crisis factors of juvenile delinquency. However, criminal theories that provide grounds for most juvenile delinquency cannot escape criticism, for they exhibit limitations, such as a low level of explanation regarding juvenile delinquency and the inability to explain the complexity of crimes caused by social development. The intensive level of youth crime cases, public criticism about that, agitated voice of punishment for retribution that is happening now, reveal ‘social tension’ about the dysfunctional family system which our society has accumulated negatively and the sensuous and emotional expression of adolescents due to rapid changes in the time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factors that reveal a vulnerability in adolescents' lifestyles, and to express the necessity of a criterion to examine the conditions of desistance of delinquency in their lives. The factor of desistance from delinquency is linked to the "modification of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which prevents the realistic vulnerability of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 behaviors found everywhere in adolescents' lives from leading to serious crisis behaviors. To start the journey of desistance from delinquency by modifying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an appropriate diagnosis of adolescents is required, and a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accordingly. Therefore,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focuses on the "process" of modifying so that adolescents no longer commit delinquency and crime.
The focus of this study is the previous situations of crime affecting the beginning stage of crime and the predictor and crime of lifetime process of criminals based on the Social Control Theory, Social Learning Theory, and Life Course Theory, which were used with developmental criminology as a ground to explain the phenomenon. Therefore, the factor of Hirschi's four social bonds, attachment, intervention, participation, and belief, the definition of Akers, which embodies the Social Learning Theory established by Sutherland, differential association, differential reinforcement (compensation, punishment), and factor of imitation, were linked to life process theory in this study. Thornberry's Interactive Theory, Moffitt's Life-Course Permanent Offender, and Adolescence-Limited Delinquent Type Theory, Sampson and Laub's Age-Grade Theory unfolded the prospect of Social Learning Theory and Social Review as a lifetime process. Based on the life process theory, when major transitions of life collapse, life can be destroyed and criminality can be nudged. In the case of adolescents who are in the early days of their lives, the condition of delinquency is that they may not be able to experience effective and positive transactions because it was hidden by characteristics of delinquency. In Age-Graded Theory, Samson and Laub assert that a boy can rid himself form crime and delinquency if he experiences positive life experiences, fellowships within society, formations of social capital, formation of habits to change identity, and interactions that can help overcome unstable attachment. A Life Event can be a turning point for anyone who has committed a crime, to either continue or stop committing the crime.
This study is a guide to developing a diagnostic scale of juvenile delinquency based on social control theory, social learning theory, and the biggest theme lifetime process theory, and designing a curriculum my transform an individual’s lifetime process based on that scale. Therefore, the main subjects of the first survey were protected juveniles who were placed on probation because of the criminal act, and general teenagers in schools with a high rate of delinquency for the development of a diagnostic scale for desistance from delinquency. This is because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examine the lives of juvenile delinquents who have not escaped from the swamp of delinquency and are committing hidden crimes where second conviction continues or is invisible. As subjects of the second survey, the priority was to recruit general teenagers in schools with the high rate of delinquency, and check that the diagnostic scale of desistance from delinquency could be applied to most delinquency adolescents.
The internal and external procedures of desistance from delinquency looked over Hirschi's Social Control Theory, Sutherland and Akers' Social Learning Theory Thornberry's Interactional Theory, Moffitt's Life-Course Permanent Offender, and Adolescence-Limited Delinquent Type Theory, and Samson and Laub's Age-Graded Theory. Especially, we conceptualized the factors that each scholar presented commonly with factors of desistance from delinquency, such as family and parent attachment, school, peer group, and social bond. By applying these factors accordingly to our reality, we conceptualized them into 9 sub-dimensions and 24 components of communication, sympathy, relation action, career maturity, social support, self-regulation, life management, reaction to addiction, and learning ability. As a method of study, we reviewed components and contents through literature review, protected juveniles’ interviews, and 1st expert evaluation by searching the primitives of component factors through the previous study and categorized the factors of desistance from delinquency that actual juvenile delinquents have by interviewing protected juveniles. And we organized a final 25 question scale for desistance from delinquency through a revision of the questions from 2nd expert evaluation. In propriety research of the diagnostic scale of desistance from delinquency, the constituent concept and cross-validation of the developed Diagnostic Scale for the Description Process of Juvenile Delinquency (DDJD) were verified. We do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this, and as a result, all models fit indices for the verification model met excellent fit criteria, and the internal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 α) for each factor also showed relatively high values of .8 or more.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the constituent concept of each dimension was properly implemented. Continually, we examine whether individual scales with similar psychological procedures are clearly discriminating and whether individual scales are converging properly to the higher concept of preparation.
Henceforward,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entire questions on the scale, all model fit indices for the verification model met excellent fitness criteri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subfacto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pathy, sociality, decision-making, academic efficacy, and career efficacy between protected juveniles who were placed on probation to No.1 and 6 protective facilities and institution types according to students. However, in the perspective of gender, women were found to have higher empathy, sociality, and academic efficacy than men, and men were found to have higher decision-making power than women.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efficacy.
The study result also identified that the directions between the factors were all consistent, and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doesn't exceed on accoun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ub-factors of the scale. That being the case,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sub-factors of this scale can be distinguished by different concepts. In addition, by performing an analysis of mediated effect by using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deviating behavior was mediating the effect on problem behavior and crisis behavior. It was confirmed both the direct effect that influences problem behavior on crisis behavior and the indirect effect of desistance from delinquency were positively significant. This data also proves that problem behavior has a direct positive effect on crisis behavior, but it also has an effect on desistance from delinquency in the process in which problem behavior affects crisis behavior. This study expects that the delinquency diagnostic scale of juvenile delinquents (DDJD) could provide a basis for integrated intervention that can modify adolescents' developmental trajectories based on Social Control Theory, Social Learning Theory, and Life Course Theory through this process.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Diagnostic Scale for the Desistance Process of Juvenile Delinquency
A ‘delinquency’ of adolescents has a comprehensive meaning. A large scope of studies on juvenile delinquency has mainly focused on reveal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linquency and the characteristics of delinquency, exposing phenomenon that target juvenile delinquents, focusing effectiveness of the linear curriculum beforehand. Thus, not a small number of juvenile delinquency and crime theories considered adolescence to be the starting point of delinquency and dealt with the crisis factors of juvenile delinquency. However, criminal theories that provide grounds for most juvenile delinquency cannot escape criticism, for they exhibit limitations, such as a low level of explanation regarding juvenile delinquency and the inability to explain the complexity of crimes caused by social development. The intensive level of youth crime cases, public criticism about that, agitated voice of punishment for retribution that is happening now, reveal ‘social tension’ about the dysfunctional family system which our society has accumulated negatively and the sensuous and emotional expression of adolescents due to rapid changes in the time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factors that reveal a vulnerability in adolescents' lifestyles, and to express the necessity of a criterion to examine the conditions of desistance of delinquency in their lives. The factor of desistance from delinquency is linked to the "modification of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which prevents the realistic vulnerability of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 behaviors found everywhere in adolescents' lives from leading to serious crisis behaviors. To start the journey of desistance from delinquency by modifying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an appropriate diagnosis of adolescents is required, and a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accordingly. Therefore,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focuses on the "process" of modifying so that adolescents no longer commit delinquency and crime.
The focus of this study is the previous situations of crime affecting the beginning stage of crime and the predictor and crime of lifetime process of criminals based on the Social Control Theory, Social Learning Theory, and Life Course Theory, which were used with developmental criminology as a ground to explain the phenomenon. Therefore, the factor of Hirschi's four social bonds, attachment, intervention, participation, and belief, the definition of Akers, which embodies the Social Learning Theory established by Sutherland, differential association, differential reinforcement (compensation, punishment), and factor of imitation, were linked to life process theory in this study. Thornberry's Interactive Theory, Moffitt's Life-Course Permanent Offender, and Adolescence-Limited Delinquent Type Theory, Sampson and Laub's Age-Grade Theory unfolded the prospect of Social Learning Theory and Social Review as a lifetime process. Based on the life process theory, when major transitions of life collapse, life can be destroyed and criminality can be nudged. In the case of adolescents who are in the early days of their lives, the condition of delinquency is that they may not be able to experience effective and positive transactions because it was hidden by characteristics of delinquency. In Age-Graded Theory, Samson and Laub assert that a boy can rid himself form crime and delinquency if he experiences positive life experiences, fellowships within society, formations of social capital, formation of habits to change identity, and interactions that can help overcome unstable attachment. A Life Event can be a turning point for anyone who has committed a crime, to either continue or stop committing the crime.
This study is a guide to developing a diagnostic scale of juvenile delinquency based on social control theory, social learning theory, and the biggest theme lifetime process theory, and designing a curriculum my transform an individual’s lifetime process based on that scale. Therefore, the main subjects of the first survey were protected juveniles who were placed on probation because of the criminal act, and general teenagers in schools with a high rate of delinquency for the development of a diagnostic scale for desistance from delinquency. This is because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examine the lives of juvenile delinquents who have not escaped from the swamp of delinquency and are committing hidden crimes where second conviction continues or is invisible. As subjects of the second survey, the priority was to recruit general teenagers in schools with the high rate of delinquency, and check that the diagnostic scale of desistance from delinquency could be applied to most delinquency adolescents.
The internal and external procedures of desistance from delinquency looked over Hirschi's Social Control Theory, Sutherland and Akers' Social Learning Theory Thornberry's Interactional Theory, Moffitt's Life-Course Permanent Offender, and Adolescence-Limited Delinquent Type Theory, and Samson and Laub's Age-Graded Theory. Especially, we conceptualized the factors that each scholar presented commonly with factors of desistance from delinquency, such as family and parent attachment, school, peer group, and social bond. By applying these factors accordingly to our reality, we conceptualized them into 9 sub-dimensions and 24 components of communication, sympathy, relation action, career maturity, social support, self-regulation, life management, reaction to addiction, and learning ability. As a method of study, we reviewed components and contents through literature review, protected juveniles’ interviews, and 1st expert evaluation by searching the primitives of component factors through the previous study and categorized the factors of desistance from delinquency that actual juvenile delinquents have by interviewing protected juveniles. And we organized a final 25 question scale for desistance from delinquency through a revision of the questions from 2nd expert evaluation. In propriety research of the diagnostic scale of desistance from delinquency, the constituent concept and cross-validation of the developed Diagnostic Scale for the Description Process of Juvenile Delinquency (DDJD) were verified. We do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this, and as a result, all models fit indices for the verification model met excellent fit criteria, and the internal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 α) for each factor also showed relatively high values of .8 or more.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the constituent concept of each dimension was properly implemented. Continually, we examine whether individual scales with similar psychological procedures are clearly discriminating and whether individual scales are converging properly to the higher concept of preparation.
Henceforward,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entire questions on the scale, all model fit indices for the verification model met excellent fitness criteri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subfacto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pathy, sociality, decision-making, academic efficacy, and career efficacy between protected juveniles who were placed on probation to No.1 and 6 protective facilities and institution types according to students. However, in the perspective of gender, women were found to have higher empathy, sociality, and academic efficacy than men, and men were found to have higher decision-making power than women.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efficacy.
The study result also identified that the directions between the factors were all consistent, and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doesn't exceed on accoun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ub-factors of the scale. That being the case,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sub-factors of this scale can be distinguished by different concepts. In addition, by performing an analysis of mediated effect by using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deviating behavior was mediating the effect on problem behavior and crisis behavior. It was confirmed both the direct effect that influences problem behavior on crisis behavior and the indirect effect of desistance from delinquency were positively significant. This data also proves that problem behavior has a direct positive effect on crisis behavior, but it also has an effect on desistance from delinquency in the process in which problem behavior affects crisis behavior. This study expects that the delinquency diagnostic scale of juvenile delinquents (DDJD) could provide a basis for integrated intervention that can modify adolescents' developmental trajectories based on Social Control Theory, Social Learning Theory, and Life Course Theory through this proces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