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통합예술치료가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Integrative Arts Therapy on Social Interaction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원문보기
이 연구는 IT기반 통합예술치료(Integrative Arts Therapy)가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단계를 거쳤다. 첫째,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목표로 하는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기 위하여 예비연구를 시행하였다. 둘째, “카타르시스 모델”과 “투사 모델”을 적용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았다. 셋째, 치료과정에서 연구참여자의 반응은 어떠하였는지 살펴보았다. 넷째, 통합예술치료 진단법인 “게임놀이 검사(IT-GPT)”를 통하여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났는지 확인하였다. 연구는 질적 ...
이 연구는 IT기반 통합예술치료(Integrative Arts Therapy)가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단계를 거쳤다. 첫째,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목표로 하는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기 위하여 예비연구를 시행하였다. 둘째, “카타르시스 모델”과 “투사 모델”을 적용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았다. 셋째, 치료과정에서 연구참여자의 반응은 어떠하였는지 살펴보았다. 넷째, 통합예술치료 진단법인 “게임놀이 검사(IT-GPT)”를 통하여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났는지 확인하였다.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로서 직접관찰, 참여관찰, 인터뷰, 심층분석의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연구참여자 8명은 K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청소년이다. 프로그램은 예비연구 프로그램과 본 프로그램에 4명씩 배치하여, 두 집단 모두 주 1회, 100분씩 16회기로 진행되었다. 질적연구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특수학급 담임교사와의 면담자료, 프로그램 동영상 촬영본, 임상진행안, 회기일지, 관찰일지, 활동결과물, 설문지이다. 연구 도구는 IT진단법인 게임놀이 검사를 사용하였고,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연구를 통하여 프로그램 설계의 주안점, 치료 모델의 효과성, 진단법의 적절성을 검토함으로써,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IT기반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설계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진행을 통하여 카타르시스 모델과 투사 모델은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치료 모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카타르시스 모델의 “게임놀이 기법”은 참여자에게 놀이 규칙을 제공하고 실행케 함으로써 사회성 기술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하였다. “이완 기법”은 긴장을 완화시켜 환경에 적응하는 행동으로 이끄는 작용을 하였다. 투사 모델은 무용/동작매체와 음악매체가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무용/동작매체는 신체조절 능력 강화, 음악매체는 공감적 감수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그램 반응 분석 결과, 연구참여자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변화가 확인되었다. 연구자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변화를 사회적 시작행동과 사회적 반응행동으로 구분하여 관찰하였다. 사회적 시작행동에서는 ‘상대에게 자신이 원하거나 필요한 것을 요청하거나 요구하는 행동’인 ‘요구하기’에 변화가 가장 컸다. 사회적 반응행동에서는 ‘상대가 나를 부르거나 이야기할 때 몸과 눈빛으로 응답해주는 행동’인 ‘쳐다보기’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넷째, 게임놀이 검사의 하위 항목인 “부탁해요 게임 검사”와 “아이컨택 게임 검사”를 통하여 연구참여자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증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부탁해요 게임 검사를 통해서는 상대의 거절 혹은 수락의 반응을 기다릴 수 있게 된 것과, 상대의 거절에 공격적인 반응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아이컨택 게임 검사를 통해서는 눈동자의 좌우 움직임이 둔화 되어 불안한 모습이 소거된 점과, 눈맞춤 지속 시간이 증가된 점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증진될 수 있었던 변화요인으로는 자기표현력 향상, 인정욕구 충족, 자존감 증진으로 확인되었다. 변인의 배경에는 참여자들이 즐거운 예술체험을 하면서 통합예술치료의 핵심 개념인 “웃음카타르시스”로 인한 긍정의 힘이 강화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
주요어: 통합예술치료, 발달장애 청소년, 사회적 상호작용, 사회적 시작 행동, 사회적 반응행동, 웃음카타르시스
이 연구는 IT기반 통합예술치료(Integrative Arts Therapy)가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단계를 거쳤다. 첫째,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목표로 하는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설계하기 위하여 예비연구를 시행하였다. 둘째, “카타르시스 모델”과 “투사 모델”을 적용한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았다. 셋째, 치료과정에서 연구참여자의 반응은 어떠하였는지 살펴보았다. 넷째, 통합예술치료 진단법인 “게임놀이 검사(IT-GPT)”를 통하여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났는지 확인하였다.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로서 직접관찰, 참여관찰, 인터뷰, 심층분석의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연구참여자 8명은 K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청소년이다. 프로그램은 예비연구 프로그램과 본 프로그램에 4명씩 배치하여, 두 집단 모두 주 1회, 100분씩 16회기로 진행되었다. 질적연구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특수학급 담임교사와의 면담자료, 프로그램 동영상 촬영본, 임상진행안, 회기일지, 관찰일지, 활동결과물, 설문지이다. 연구 도구는 IT진단법인 게임놀이 검사를 사용하였고,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연구를 통하여 프로그램 설계의 주안점, 치료 모델의 효과성, 진단법의 적절성을 검토함으로써,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IT기반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설계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진행을 통하여 카타르시스 모델과 투사 모델은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치료 모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카타르시스 모델의 “게임놀이 기법”은 참여자에게 놀이 규칙을 제공하고 실행케 함으로써 사회성 기술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하였다. “이완 기법”은 긴장을 완화시켜 환경에 적응하는 행동으로 이끄는 작용을 하였다. 투사 모델은 무용/동작매체와 음악매체가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무용/동작매체는 신체조절 능력 강화, 음악매체는 공감적 감수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그램 반응 분석 결과, 연구참여자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변화가 확인되었다. 연구자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변화를 사회적 시작행동과 사회적 반응행동으로 구분하여 관찰하였다. 사회적 시작행동에서는 ‘상대에게 자신이 원하거나 필요한 것을 요청하거나 요구하는 행동’인 ‘요구하기’에 변화가 가장 컸다. 사회적 반응행동에서는 ‘상대가 나를 부르거나 이야기할 때 몸과 눈빛으로 응답해주는 행동’인 ‘쳐다보기’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넷째, 게임놀이 검사의 하위 항목인 “부탁해요 게임 검사”와 “아이컨택 게임 검사”를 통하여 연구참여자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증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부탁해요 게임 검사를 통해서는 상대의 거절 혹은 수락의 반응을 기다릴 수 있게 된 것과, 상대의 거절에 공격적인 반응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아이컨택 게임 검사를 통해서는 눈동자의 좌우 움직임이 둔화 되어 불안한 모습이 소거된 점과, 눈맞춤 지속 시간이 증가된 점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증진될 수 있었던 변화요인으로는 자기표현력 향상, 인정욕구 충족, 자존감 증진으로 확인되었다. 변인의 배경에는 참여자들이 즐거운 예술체험을 하면서 통합예술치료의 핵심 개념인 “웃음카타르시스”로 인한 긍정의 힘이 강화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
주요어: 통합예술치료, 발달장애 청소년, 사회적 상호작용, 사회적 시작 행동, 사회적 반응행동, 웃음카타르시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Integrative Arts Therapy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consists of the following research procedures. First,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to design an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to enhance social inte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Integrative Arts Therapy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consists of the following research procedures. First,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to design an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to enhance social interaction in such adolescents. Second, it examined how the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which uses the “Catharsis Model” and the “Projective Model,” influences social interaction in developmentally disabled adolescents. Third, it observed study participants’ responses in the treatment process. Fourth, it identified how the “Game Play Test”(IT-GPT), a diagnostic method in Integrative Arts Therapy, changes their social interactions. The study followed the procedures of qualitative case studies. The methodologies used were direct observation, participatory observation, interviews, and in-depth analysi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eight teenag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tending a special class at K High School. Four people were assigned to the preliminary research program, and four to the main program; both groups met once a week for 16 sessions, each lasting 100 minutes. The data used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were interviews with homeroom teachers in special classes, video recordings of the programs, clinical plans, session journals, observation journals, activity results, and questionnaires. The research tool was the IT-GPT,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a pre-test and a post-test.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foundation was laid by reviewing the focus of the program design, the effectiveness of the Therapeutic Model,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diagnostic method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atharsis Model and the Projective Models are effective in enhancing social interaction in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Catharsis Model’s “Game Paly Technique” improved participants’ social skills by providing them with game rules and inducing them to implement these rules. The “Relaxation Technique” relieved tension and led the participants to behavior that adapted to the environment. The Projective Models effectively enhanced social interaction through Dance&Movement as Therapy Tool and Music as Therapy Tool. Dance&Movement as Therapy Tool reinforced body control ability, and Music as Therapy Tool improved empathic sensibility. Third, an analysis of the program responses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the social interaction of the study participants. This study observed changes in social interaction by dividing it into social initiating behavior and social response behavior. In social initiating behavior, the biggest change was in “demanding,” which is “the act of asking or demanding what one wants or needs from the other person.” In social response behavior,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looking,” an “act of responding with one’s body and eyes when the other person calls one or talks to one.” Fourth, it was found that social interaction in the study participants was improved through the “Please Game Test” and the “Eye Contact Game Test”, which are sub-items of the IT-GPT. The Please Game Test confirmed that the participants learned to wait for the other person’s refusal or acceptance, and an aggressive response to the other person’s refusal decreased. The Eye Contact Game Test confirmed that anxiousness was reduced due to the slowing down of left and right movements of the eyes, and the duration of eye contact increased. This study showed that social interaction in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improved through enhanced self- expression, satisfied needs for recognition, and enhanced self-esteem. This was because the power of positivity was reinforced in the participants due to “Laughing Catharsis,” a core concept of Integrative Arts Therapy, as they had an enjoyable experience with art.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primary material for effective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s to improve social interaction in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Keywords: Integrative Arts Therapy,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ocial Interaction, Social Initiation, Social Response, Laughing Catharsi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Integrative Arts Therapy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consists of the following research procedures. First,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to design an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to enhance social interaction in such adolescents. Second, it examined how the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 which uses the “Catharsis Model” and the “Projective Model,” influences social interaction in developmentally disabled adolescents. Third, it observed study participants’ responses in the treatment process. Fourth, it identified how the “Game Play Test”(IT-GPT), a diagnostic method in Integrative Arts Therapy, changes their social interactions. The study followed the procedures of qualitative case studies. The methodologies used were direct observation, participatory observation, interviews, and in-depth analysi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eight teenag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tending a special class at K High School. Four people were assigned to the preliminary research program, and four to the main program; both groups met once a week for 16 sessions, each lasting 100 minutes. The data used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were interviews with homeroom teachers in special classes, video recordings of the programs, clinical plans, session journals, observation journals, activity results, and questionnaires. The research tool was the IT-GPT,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a pre-test and a post-test.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foundation was laid by reviewing the focus of the program design, the effectiveness of the Therapeutic Model,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diagnostic method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atharsis Model and the Projective Models are effective in enhancing social interaction in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Catharsis Model’s “Game Paly Technique” improved participants’ social skills by providing them with game rules and inducing them to implement these rules. The “Relaxation Technique” relieved tension and led the participants to behavior that adapted to the environment. The Projective Models effectively enhanced social interaction through Dance&Movement as Therapy Tool and Music as Therapy Tool. Dance&Movement as Therapy Tool reinforced body control ability, and Music as Therapy Tool improved empathic sensibility. Third, an analysis of the program responses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the social interaction of the study participants. This study observed changes in social interaction by dividing it into social initiating behavior and social response behavior. In social initiating behavior, the biggest change was in “demanding,” which is “the act of asking or demanding what one wants or needs from the other person.” In social response behavior,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looking,” an “act of responding with one’s body and eyes when the other person calls one or talks to one.” Fourth, it was found that social interaction in the study participants was improved through the “Please Game Test” and the “Eye Contact Game Test”, which are sub-items of the IT-GPT. The Please Game Test confirmed that the participants learned to wait for the other person’s refusal or acceptance, and an aggressive response to the other person’s refusal decreased. The Eye Contact Game Test confirmed that anxiousness was reduced due to the slowing down of left and right movements of the eyes, and the duration of eye contact increased. This study showed that social interaction in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improved through enhanced self- expression, satisfied needs for recognition, and enhanced self-esteem. This was because the power of positivity was reinforced in the participants due to “Laughing Catharsis,” a core concept of Integrative Arts Therapy, as they had an enjoyable experience with art.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primary material for effective Integrative Arts Therapy programs to improve social interaction in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Keywords: Integrative Arts Therapy,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ocial Interaction, Social Initiation, Social Response, Laughing Catharsi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