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MZ세대라고 지칭되는 젊은 세대가 지각하고 있는 뷰티헬스 멀티샵의 이용과정과 경험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질적연구 방법을 선택하여 탐색하였다. 연구 참가자는 유목적표집방법(purposeful sampling)과 눈덩이표집방법(snowball sampling)에 의해 여성 5명, 남성 5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 과정은 1차 면접을 통해 이론적 표본을 추출하였고, 2차 심층 면접에서 수집된 자료는 워드로 기술하여 전사(transcription)를 진행하였으며 녹음된 내용과 기술된 내용을 비교하여 일치성을 확인하는 단계로 진행하였다. 심층면담 내용의 ...
본 연구는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MZ세대라고 지칭되는 젊은 세대가 지각하고 있는 뷰티헬스 멀티샵의 이용과정과 경험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질적연구 방법을 선택하여 탐색하였다. 연구 참가자는 유목적표집방법(purposeful sampling)과 눈덩이표집방법(snowball sampling)에 의해 여성 5명, 남성 5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 과정은 1차 면접을 통해 이론적 표본을 추출하였고, 2차 심층 면접에서 수집된 자료는 워드로 기술하여 전사(transcription)를 진행하였으며 녹음된 내용과 기술된 내용을 비교하여 일치성을 확인하는 단계로 진행하였다. 심층면담 내용의 자료 분석은 근거이론의 분석 방법인 개방코딩(open cording), 축코딩(axial cording), 선택코딩(selective cording)의 단계를 거쳐서 수집된 자료는 개념, 하위범주, 범주, 패러다임으로 구분하여 유형별로 분류를 하였다. 분석 내용으로는 86개의 개념과 34개의 하위범주 및 1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개방코딩을 통한 축코딩의 패러다임 분석 내용을 살펴보면 인과적 조건의 범주에는 ‘외모로 인한 자존감 하락’, ‘뷰티인식 변화에 따른 SNS 활용 확대’, ‘외모 관심 증가’ 등으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의 범주에는 ‘지속적 관리 추구’, ‘ 멀티샵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긍정적 반응’ 등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의 범주에서는 ‘이용의 편리성’, ‘맞춤형 외모관리 만족’, ‘뷰티헬스 전문가 조언의 신뢰성’ 등으로 나타났다. 중재적 조건의 범주에는 ‘금액적 부담으로 지속적 이용 한계’, ‘다인룸 이용의 불편함’ 등으로 나타났다. 작용과 상호작용 전략의 범주에는 ‘SNS의 정보의 허실’, ‘샵 이용에 대한 즐거움’, ‘사회활동에 변화가 생김’ 등으로 나타났으며, 결과에는 ‘경험적 가치 소비 인지’ ‘또래 집단과 정보 공유와 이해’, ‘생활 습관의 변화’ 등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이야기 윤곽의 전개 과정을 통해 ‘MZ세대의 외모 관리에 대한 젠더의 편견 없는 대처 및 뷰티헬스 멀티샵 사용 인식 변화’ 라는 핵심범주를 도출하였다. 세 번째로 참가자 경험과 수용 태도에 따른 유형분류에서 참가자 유형(1)은 ‘외모 관리 중심형’ 참가자 유형(2)는 ‘경험적 소비형’으로 나타났으며, 참가자 유형(3)은 ‘이용 편리 추구형’으로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외모 관리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MZ세대의 뷰티헬스 멀티샵 이용 과정과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 접근을 통해 탐색적으로 내용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MZ세대의 경험적 가치 소비를 통한 외모 관리에 대한 편견 없는 사실적 의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뷰티헬스 산업에서 멀티 뷰티샵 연구 영역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을 기대한다.
본 연구는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MZ세대라고 지칭되는 젊은 세대가 지각하고 있는 뷰티헬스 멀티샵의 이용과정과 경험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질적연구 방법을 선택하여 탐색하였다. 연구 참가자는 유목적표집방법(purposeful sampling)과 눈덩이표집방법(snowball sampling)에 의해 여성 5명, 남성 5명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 과정은 1차 면접을 통해 이론적 표본을 추출하였고, 2차 심층 면접에서 수집된 자료는 워드로 기술하여 전사(transcription)를 진행하였으며 녹음된 내용과 기술된 내용을 비교하여 일치성을 확인하는 단계로 진행하였다. 심층면담 내용의 자료 분석은 근거이론의 분석 방법인 개방코딩(open cording), 축코딩(axial cording), 선택코딩(selective cording)의 단계를 거쳐서 수집된 자료는 개념, 하위범주, 범주, 패러다임으로 구분하여 유형별로 분류를 하였다. 분석 내용으로는 86개의 개념과 34개의 하위범주 및 1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개방코딩을 통한 축코딩의 패러다임 분석 내용을 살펴보면 인과적 조건의 범주에는 ‘외모로 인한 자존감 하락’, ‘뷰티인식 변화에 따른 SNS 활용 확대’, ‘외모 관심 증가’ 등으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의 범주에는 ‘지속적 관리 추구’, ‘ 멀티샵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긍정적 반응’ 등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의 범주에서는 ‘이용의 편리성’, ‘맞춤형 외모관리 만족’, ‘뷰티헬스 전문가 조언의 신뢰성’ 등으로 나타났다. 중재적 조건의 범주에는 ‘금액적 부담으로 지속적 이용 한계’, ‘다인룸 이용의 불편함’ 등으로 나타났다. 작용과 상호작용 전략의 범주에는 ‘SNS의 정보의 허실’, ‘샵 이용에 대한 즐거움’, ‘사회활동에 변화가 생김’ 등으로 나타났으며, 결과에는 ‘경험적 가치 소비 인지’ ‘또래 집단과 정보 공유와 이해’, ‘생활 습관의 변화’ 등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이야기 윤곽의 전개 과정을 통해 ‘MZ세대의 외모 관리에 대한 젠더의 편견 없는 대처 및 뷰티헬스 멀티샵 사용 인식 변화’ 라는 핵심범주를 도출하였다. 세 번째로 참가자 경험과 수용 태도에 따른 유형분류에서 참가자 유형(1)은 ‘외모 관리 중심형’ 참가자 유형(2)는 ‘경험적 소비형’으로 나타났으며, 참가자 유형(3)은 ‘이용 편리 추구형’으로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외모 관리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MZ세대의 뷰티헬스 멀티샵 이용 과정과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 접근을 통해 탐색적으로 내용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서 MZ세대의 경험적 가치 소비를 통한 외모 관리에 대한 편견 없는 사실적 의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뷰티헬스 산업에서 멀티 뷰티샵 연구 영역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을 기대한다.
In this stud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selected and explored to find out the process and experience of using the beauty and health multi-shop perceived by the younger generation, referred to as the MZ generation, in the changing modern society.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5 f...
In this stud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selected and explored to find out the process and experience of using the beauty and health multi-shop perceived by the younger generation, referred to as the MZ generation, in the changing modern society.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5 females and 5 males by purposeful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In the data collection process, theoretical samples were extracted through the first interview, and the data collected in the second in-depth interview was described in words and transcribed. In data collection, the recorded content and the written content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to confirm the consistency. The data analysis of th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hrough the stages of open coding, axial cording, and selective cording, which are the analysis methods of grounded theor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classified by type by dividing them into concepts, subcategories, categories, and paradigms. In the final analysis, 86 concepts, 34 subcategories, and 16 categories were derived. In the paradigm analysis of axis coding through the first open coding, the categories of causal conditions were 'decreased self-esteem due to appearance', 'expanded use of SNS due to changes in beauty perception', and 'increased interest in appearance'. In the categories of contextual conditions, 'pursuit of continuous management' and 'positive response to the effect of the multi-shop program' were found. In the category of the central phenomenon, 'convenience of use', 'satisfaction with customized appearance management', and 'reliability of advice from beauty and health experts' were found. Among the categories of arbitration conditions, ‘limitation of use due to financial burden’ and ‘inconvenience of using a shared room’ were found. In the categories of action and interaction strategies, 'good and bad points of information on SNS', 'pleasure of using the shop', and 'change in social activities' were found. As a result, ‘consumption of experiential value’, ‘sharing and understanding information with peers’, and ‘change of lifestyle’ were found. Second, through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outline of the story, a core category of ‘gender-free coping with the appearance management of the MZ generation and change in perception of using beauty and health multi-shop’ was derived. Third, there were three types of classification according to participant experience and acceptance attitude. Participant type (1) was 'appearance management-oriented', participant type (2) was 'experiential consumption type', and participant type (3) was 'use convenience seeking type'. As described above,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e beauty and health multi-shop use process and experience of the MZ generation, who are showing a lot of interest in appearance management, were explored through a grounded theory approach.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unbiased factual opinions about consumption patterns and appearance management through the consumption of empirical values of the MZ generation.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in the multi-beauty shop research area in the beauty and health industry.
In this stud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selected and explored to find out the process and experience of using the beauty and health multi-shop perceived by the younger generation, referred to as the MZ generation, in the changing modern society.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5 females and 5 males by purposeful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In the data collection process, theoretical samples were extracted through the first interview, and the data collected in the second in-depth interview was described in words and transcribed. In data collection, the recorded content and the written content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to confirm the consistency. The data analysis of th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hrough the stages of open coding, axial cording, and selective cording, which are the analysis methods of grounded theor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classified by type by dividing them into concepts, subcategories, categories, and paradigms. In the final analysis, 86 concepts, 34 subcategories, and 16 categories were derived. In the paradigm analysis of axis coding through the first open coding, the categories of causal conditions were 'decreased self-esteem due to appearance', 'expanded use of SNS due to changes in beauty perception', and 'increased interest in appearance'. In the categories of contextual conditions, 'pursuit of continuous management' and 'positive response to the effect of the multi-shop program' were found. In the category of the central phenomenon, 'convenience of use', 'satisfaction with customized appearance management', and 'reliability of advice from beauty and health experts' were found. Among the categories of arbitration conditions, ‘limitation of use due to financial burden’ and ‘inconvenience of using a shared room’ were found. In the categories of action and interaction strategies, 'good and bad points of information on SNS', 'pleasure of using the shop', and 'change in social activities' were found. As a result, ‘consumption of experiential value’, ‘sharing and understanding information with peers’, and ‘change of lifestyle’ were found. Second, through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outline of the story, a core category of ‘gender-free coping with the appearance management of the MZ generation and change in perception of using beauty and health multi-shop’ was derived. Third, there were three types of classification according to participant experience and acceptance attitude. Participant type (1) was 'appearance management-oriented', participant type (2) was 'experiential consumption type', and participant type (3) was 'use convenience seeking type'. As described above,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e beauty and health multi-shop use process and experience of the MZ generation, who are showing a lot of interest in appearance management, were explored through a grounded theory approach.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unbiased factual opinions about consumption patterns and appearance management through the consumption of empirical values of the MZ generation.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in the multi-beauty shop research area in the beauty and health industr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